•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직무몰입은 일에 대한 몰입이나 조직몰입과는 구별되는 것으로 개인이 자신의 일 에 대하여 심리적으로 동일시하고 열중하는 정도를 의미한다(Morrow, 1993). 이 연구 에서는 Lodahl과 Kejner(1965)의 MJWI(Measurement of Job and Work Involvement) 와 Kanungo(1982)가 개발한 JIQ(Job Involvement Questionnaire)를 바 탕으로 직무몰입수준을 측정한 하영자(2005)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이 도구의 측정문 항은 직무애착 및 중요성 10개 문항, 직무책임감 4개 문항으로 총 2개영역 14문항으 로 구성되어 있으며, 신뢰도(cronbach α) 계수는 0.924로서 양호한 수준이었다. 이 연 구에서 직무몰입 측정도구는 2개영역 14개 문항으로 이루어졌으며, 응답범위는 5점 척도로 이루어졌다.

직무몰입 측정도구는 예비조사를 통해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예비조사 자료에 대한 신뢰도 분석 결과, 직무몰입은 14문항 전체의 내적일치도 계수는 0.861로 높은 신뢰 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하위요인별 내적일치도는 직무애착 및 중요성 0.879, 직무책임감 0.763로 비교적 양호하였다. 따라서 본 조사에서는 문항의 표현만을 일부 수정하여 활용하였다.

본 조사 자료에 대한 신뢰도 분석 결과, 직무몰입 14문항 전체의 내적일치도 계수 는 0.832로 양호하게 나타났고, 하위요인별 내적일치도는 직무애착 및 중요성 0.822 직무책임감 0.780로 비교적 양호하였다. 또한, 직무몰입 측정도구에 대한 확인적 요인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표 Ⅲ-11>과 같다.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든 문 항이 각 하위요인에 유의미하게 적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요인별 요인적재량 (표준화 계수)은 직무애착 및 중요성 0.502~0.767, 직무책임감 0.645~0.780로 대체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고, 모형 적합도 역시 대부분 적합도 지수가 수용 가능한 수준 인 것으로 나타나 취업지도능력 측정도구의 신뢰도와 구인타당성을 확보하였다.

구분 비표준화 계수 표준화 계수 표준오차 C.R.

직무애착 및 중요성      

문항1 1.000 0.687 -

-문항2 1.051 0.715 0.071 14.841***

문항3 1.047 0.767 0.778 13.604***

문항4 0.672 0.549 0.043 15.644***

문항5 0.735 0.551 0.048 15.713***

문항6 0.829 0.666 0.052 15.952***

문항7 0.996 0.711 0.068 14.782***

문항8 0.765 0.633 0.051 15.156***

문항9 0.972 0.705 0.066 14.701***

문항10 0.808 0.502 0.055 14.637***

직무책임감

문항11 1.000 0.698 -

-문항12 1.011 0.780 0.054 18.594***

문항13 0.821 0.645 0.047 17.397***

문항14 0.995 0.737 0.058 17.603***

1) 적합도 지수: =331.369(df=42, p=0.000), RMR=0.052, GFI=0.902, NFI=0.928, IFI=0.942, CFI=0.943

2) 유의도: ***=p<0.001

<표 Ⅲ-11> 직무몰입 측정도구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자료 수집은 e-mail 및 우편조사를 통해 이루어졌고, 수집기간은 2015년 5월 20일 부터 5월 27일까지였다. 자료 수집을 위해서 선정된 학교의 교사에게 개별적인 연락 을 취해서 협력자를 섭외하고 연구의 목적과 협조사항을 안내하였다. 협력교사로부터 응답 가능한 교사의 수를 파악하고 해당 수만큼의 질문지를 직접 방문 전달하거나 우편 및 e-mail로 발송하였다. 배포한 설문지는 총 621매였으며, 이 중 513매가 회수 되어 회수율은 82.6%였다(<표 Ⅲ-12> 참조). 회수된 513매의 질문지 가운데 무응답 이나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436매가 최종적으로 분석에 활용되었다. 분석에 적합하

지 않은 응답이 77매에 이르는 것은 문항수가 124문항으로 다소 많았기 때문인 것으 로 파악된다.

<표 Ⅲ-12> 자료 수집 결과

구분 대도시 중소도시 읍면지역 합계

농업계

표본 교사 수 7 24 25 56

응답 수 5 20 22 47

응답률(%) 71.4 83.3 88 83.9

공업계

표본 교사 수 114 85 67 266

응답 수 96 66 45 207

응답률(%) 84.2 77.6 67.2 77.8

상업계

표본 교사 수 105 82 69 256

응답 수 97 68 56 221

응답률(%) 93.3 82.9 81.2 86.7

가사 실업계

표본 교사 수 15 19 9 43

응답 수 14 17 7 38

응답률(%) 93.3 89.5 77.8 88.4

전체

표본 교사 수 243 205 173 621

응답 수 212 171 130 513

응답률(%) 87.6 83.4 75.1 82.6

이 연구에서는 연구의 목적에 따라 변인들 간의 관계를 구명하기 위하여 빈도, 평 균, 표준편차, 백분율 등의 기술통계, t검증 및 ANOVA 등의 추리통계, 위계적 회귀 분석(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등을 활용하였다(<표 Ⅲ-13> 참조).

먼저 응답자의 일반적적 특성, 학교장 변혁적 리더십, 컨설팅장학, 학습공동체 참여, 학교-지역사회파트너십, 교사효능감 및 직무몰입의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빈도, 평균, 표준편차, 백분율 등의 기술통계와 취업지도능력 수준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t검증

연구 문제 통계방법

1. 특성화고등학교 취업지도 담당교사의 취업지도능력 수준과 차이

기술통계 t 검증 One-Way ANOVA 2. 특성화고등학교 취업지도 담당교사의 취업지도능력과 학교환경

변인(학교장 변혁적 리더십, 컨설팅장학, 학습공동체 참여, 학교-지역사회파트너십), 교사효능감 및 직무몰입의 효과

위계적 회귀분석

3. 특성화고등학교 취업지도 담당교사의 취업지도능력과 학교장 변혁적 리더십, 컨설팅장학, 학습공동체 참여의 관계에 대한 교사효능감의 매개 효과

위계적 회귀분석 (매개변인 분석)

4. 특성화고등학교 취업지도 담당교사의 취업지도능력과 학교장 변혁적 리더십, 컨설팅장학, 학교-지역사회파트너십 및 교사효능 감의 관계에 대한 직무몰입 매개 효과

위계적 회귀분석 (매개변인 분석)

<표 Ⅲ-13> 통계 분석 방법

및 ANOVA 등의 추리통계를 활용하였다. 다음으로 취업지도 담당교사의 취업지도능 력과 관련변인들 간의 관계를 구명하기 위하여 취업지도 담당교사의 일반적 특성을 통제한 상태에서 취업지도능력과 각 변인간의 영향관계를 단순회귀분석을 사용하였 다. 그리고 각 변인의 하위요인들이 취업지도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각 변인의 하위요인들을 투입하여 하위요인들의 영향력을 다중회귀분석으로 구명하 였고, 또한 취업지도능력에 대한 모든 변인들의 상대적인 영향력의 크기를 검증하기 위하여 모든 변인을 투입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교사효능감과 직무몰 입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Baron & Kenny(1986)가 제시한 매개변인 분석 모 형(mediator model)에 근거하여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통계분석에는 Windows SPSS 20.0 프로그램을 활용하고, 전체적인 통계분석에서 유의도 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구분 빈도(명) 백분율(%)

성별

남자 343 78.6

여자 93 21.4

436 100.0

직급

교사 142 32.5

부장교사 294 67.5

436 100.0

최종학력

대졸 188 43.2

대학원졸 248 56.8

436 100.0

교직경력

5년 미만 39 8.9

5년 ∼ 10년 미만 54 12.4

10년 ∼ 15년 미만 48 10.9

15년 ∼ 20년 미만 127 29.1

20년 이상 168 38.7

436 100.0

<표 Ⅳ-1>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IV. 연구 결과 및 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