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농산업 고용 정책 추진체계 구축, 농산업 고용의 질 제고, 농산업체와 학 교 간 산학협력 강화 등 세 가지 기본 방향별로 세부 추진과제를 제시하였다.

2.1. 농산업 고용 정책 추진체계 구축

농산업 고용 정책의 추진체계로 중앙 정부 차원의 농산업 고용 정책 전담 조직 구성, 농산업 고용 통계 및 일자리 정보 체계 구축·강화 그리고 지역단 위 농산업 고용 거버넌스 활성화, 마지막으로 세부 농산업 부문별 교육·고 용 전문성 지원 등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 농산업분야 고용 전담조직 구성

농산업 고용 추진체계로서 우선 농산업분야 고용 관련 업무를 전담할 안 정적인 조직 운영이 필요하다. 농산업 세부 부문별 파편화된 정책 추진이 아닌 농산업 전 분야를 아우르는 포괄적인 고용 정책이 추진되기 위해서는 고용 문제가 현안으로 등장할 때만 담당 조직을 임시로 운영(TFT 형태)하 는 것이 아니라, 항시 조직으로 운영하도록 해야 한다. 현재 농산업분야 고 용 관련 총괄 조직은 농촌정책과이지만 매우 한정된 범위에서 관련 행정 통 계를 정리하고 있는 정도이다. 실제로 관련 업무가 농촌정책국의 농촌정책 과(귀농·귀촌), 농촌산업과(6차 산업), 경영인력과(농가, 법인체), 농기자재 정책팀(농기계·자재, 비교·농약), 종자생명산업과(종자), 친환경축산팀(사료), 식품산업정책과(식품, 외식, 유통) 등에 분산되어 있다. 보다 체계적이고 적 극적인 고용 및 인력 정책 추진을 위해 농산업 인력·고용 관련 업무를 총괄 하는 농산업인력과(안)의 신설이 필요하다30(산업통상자원부의 경우 산업인

농산업분야 청년 고용 활성화 방안 101

력 양성 및 공급 관련 정책의 총괄 조정 및 성과 분석을 위해 산업인력과를 두고 있다)<그림 7-2>.31

<그림 7-2> 농산업 인력·고용 관련 전담 부서 신설 안

농정 분야의 경우 2000년대 중반 이후 농촌 정책과 식품 정책이 강조된 이후 넓어진 정책 범위만큼이나 산업적으로나 고용 측면으로 볼 때 전체 산 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커졌다. 하지만 고용 활성화와 관련하여 그동안 제 대로 된 역할을 해오지 못한 데는 전담부서의 부재가 가장 큰 원인 중 하나 이다. 기존 농촌정책국의 경영인력과가 인력 육성이나 고용과 관련하여 가 장 전문적으로 업무를 해오고 있지만 농업 생산·서비스 등 전통적 농업 영 역에 한정되어 있는 한계가 있다. 조직 신설을 통해 농산업 인력 교육-육성-공급-활용을 포괄하는 정책을 체계적으로 추진하도록 해야 한다. 전담 부서

30

경영인력과의 명칭 변경과 더불어 관련 업무를 총괄하는 방안도 가능함.

31

산업인력과는 다음의 업무를 담당하고 있음(산업통상자원부 2016a).

- 산업인력의 양성 및 공급 관련 정책의 총괄 조정 및 성과 분석 - 산업 분야 노사 관련 동향 분석, 노사 협력 및 제도 개선 - 산업 분야 일자리 창출에 관한 시책의 수립‧추진

- 해외 진출 및 해외 전문인력 유치, 외국인력 정책 지원 - 산업별 인적자원 개발 협의체의 구성 및 운영 지원 - 산업 인력 역량강화 관련 예산의 조정 및 편성

- 산업 분야 고용 동향. 산업인력 활용실태 조사 및 분석, 자격 및 직무표준 관련 업무

농산업분야 청년 고용 활성화 방안

102

가 신설되면 기존에 짜깁기 형태로 느슨하던 관련 사업 간 연계는 자연스럽 게 강화될 것이다. 농산업 전 분야 인력사업의 총괄기능 강화를 통해 농림 축산식품부 인력양성사업의 체계적인 운영 및 운영 성과 분석, 신규 사업기 획 등 인력정책 총괄기능을 조속히 정착시켜야 한다. 또한 교육부, 고용노 동부, 산업부, 기획재정부 등 농산업 인력 육성 및 고용과 관련 부처와의 능 동적 협력을 수시로 추진하여 고용 및 교육 관련 정책에 있어 농산업 특성 이 제대로 반영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그림 7-3>. 농산업 인력·고용 관련 전담 조직이 고용노동부 및 산업통상자원부 등과 농산업계 고용보험, 인턴, 관련 자격 문제 등에 대해 협의를 진행할 수 있을 것이고, 교육부 및 기획재 정부 등과는 농업계 학교 전반에 대한 체계적인 성과관리를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예산 및 각종 재정지원뿐만 아니라 노동시장 변화와 인력 수급 전 망에 따른 교육과정시스템 변화, 산학네트워크 지원, 교원 양성 및 역량 강 화 지원 등을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미래창조과학부와는 창업 인재 양 성, 농산업분야 미래 창의 인재 양성 등을 논의하고, 국방부와는 농업계 학 교 졸업생 및 농산업분야 청년 근로자들의 병역 문제 등에 협의를 진행할 수 있다.

<그림 7-3> 농산업 고용 관련 전담 부서 및 기타 부처와의 협력

농산업분야 청년 고용 활성화 방안 103

농산업분야 청년 고용 활성화 방안

농산업분야 청년 고용 활성화 방안 105

<그림 7-4> 농산업고용포털(안)

농산업 일자리 미스매치 해소 차원에서는 농산업 전 분야를 아우르는 농 산업 일자리 통합 정보 플랫폼(농산업고용포털(안)) 설치·운영이 필요하다

<그림 7-4>. 미국의 경우 Agcareers.com이라는 민간 회사가 미국 전역의 농 업계 대학과 농산업(농업, 식품, 바이오테크놀로지 분야) 일자리를 연계하 고 있었다. 정기적인 고용 수요 조사 및 관련 연구, 관련 전문가 회의(Ag &

Food Roundtable) 및 책자 발간(Ag & Food Career Guide, Agbusiness HR Review) 등을 통해 미국 농산업 일자리 고용 정보 연결의 구심점 역할을 하고 있다. 현재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에서 운영하는 단순노동 및 영농 분야 중심의 일자리 정보포털 ‘농산업인력센터(agriwork.kr)’를 농산업 전 영역이 포괄되도록 확장 개편해야 한다. 그리고 고용노동부 워크넷, 잡 코리아, 사람인 등 공공·민간 기관 사이트 등과 연계하여 농산업 일자리(구 인·구직) 정보와 더불어 각종 농업계 관련 학교, 학과의 (산학협력)교육 및 구직 정보를 통합 제공해야 한다. 더불어 지역별·산업별 농산업 협회나 거 버넌스 관련 정보 및 각종 통계와 조사 정보도 제공하여 농산업 고용·(산학 협력)교육·통계·조사 관련한 농산업 관계자들 간 모든 교류 활동의 구심점 역할을 하도록 해야 한다.

농산업분야 청년 고용 활성화 방안

106

미국 AgCareers.com

○ 2003년 설립된 농산업분야 직업정보 제공 회사

- 농업, 식품, 천연자원, 바이오테크놀로지 분야 직업 관련 종합 정보를 제공 - 일자리 연계 및 관련 교육과 컨설팅 실시

- 미국 농과대학과의 연계 속에 미국뿐 아니라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유럽의 농 관련 일자리 연계 - 매달 4,000개의 일자리가 연계됨.

- 농기업에 대한 정기적 수요 조사 등을 통해 Agribusiness Job Report에서 매년 직업시장을 전망(Outlook)하고 있음.

자료: 미국 AgCareers.com(http://www.agcareers.com: 2016. 9. 30. 14시).

□ 지역별 농산업 고용 거버넌스 활성화

농산업 고용 촉진을 위한 지방 차원의 체계로, 지방자치단체 단위 농산업 인력육성 및 고용을 위한 거버넌스33가 활성화되도록 해야 한다. 지역 간 고 용 활성화 정도는 차이가 많은데, 이는 기본적으로 절대적 일자리의 양의 차이에서 발생하지만, 많은 경우 지역 특성에 맞는 고용활성화사업과 관련 주체들의 활동들에서도 발생한다. 이 연구에서 농산업 고용과 관련한 우수

33

거버넌스란 정책의 계획‧실행‧평가 등의 과정에서 민과 관이 체계적으로 협력

하는 활동을 말함(마상진 외 2014: 3).

농산업분야 청년 고용 활성화 방안 107

사례에서 보았듯이 지역 산업체와 연계된 농업계 학교 프로그램이 운영되 는 데 지방자치단체나 지역 교육청의 역할이 중요하였다. 지자체 주도하에 농산업과 관련하여 가용한 각종 인적·물적 자원을 연계하는 중추역할을 하 는 담당(조직)을 지정하고, 농산업 공공·민간 협의기구를 활성화해야 한다.

농업계 학교와 농산업체를 위시하여 관련 행정기구(농산업 행정, 고용 행정, 교육 행정)와 관련 중간지원기구(6차산업지원센터, 농촌활성화지원센터, 고 용센터, 지방중소기업청, 농어업회의소, 상공회의소, 테크노파크, 창조혁신 센터 등)가 참여하여 지역 농산업 고용의 수요와 전망 그리고 인력 육성·배 치·활용 방안을 논의하고 관련 활동을 연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를 통해 칸막이로 집행되는 기존 범부처 사업 간 연계를 지역 단위에서 활성화 해야 한다.

고용노동부는 지역단위 고용, 노사정 협의기구로 ‘지역노사민정협의회’

를 두도록 하고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부천시는 정책 결정, 사업 집행 등의 영역에서 활발한 협치와 더불어 업종별 협의회, 의제별 포럼 등을 통해 인 력개발 및 고용 관련 정책 활성화를 위한 파트너십을 성공적으로 구축하고 있었다. 중앙 농정 당국은 지역별 농산업 고용 거버넌스 활성화를 위해서, 지방자치단체의 농산업 고용 관련 민관 협의체 구성‧운영을 위해 관련 정보 를 제공하고, 관련 조직 운영 시 활동비나 전담자 인건비 및 전문성 지원 등을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기본 토대 마련 차원에서 지역단위 농산업 관·학·산·연 주체 간 정보 교류를 촉진하고 학습의 장을 마련하는 농산업고 용포럼34을 활성화하는 사업을 시작할 필요가 있다(김주섭 외 2009: 226).

34

한국농어민신문(2003)은 2003년부터 정부의 농산업(농림 투입재 산업) 육성 의

지 고취, 농산업정책 진단과 발전방향 모색, 업계의 세계화, 글로벌 전략 마련,

관·학·산·연 교류 증진 등을 위해 ‘농산업포럼’을 운영하고 있음.

농산업분야 청년 고용 활성화 방안

108

부천시 지역노사민정협의회

자료: 전명숙 외(2011: 92-94), 부천지역노사민정협의회(http://www.bcnsj.org/: 2016. 9. 30. 15시).

□ 세부 농산업 부문별 교육·고용 전문성 지원

대다수 영세한 농산업체의 세부 산업별 특수성에 맞는 고용과 관련한 전 문성 있는 활동 지원이 필요하다. 식품 가공이나 외식산업과 같이 전담 공 공기관(농수산식품유통공사)이 관련 통계 생산35 및 기업활동을 지원36해주 는 분야도 있지만 대다수 농산업 부문은 정부의 지원 활동이 전문적이지 못 하고, 관련 협회도 매우 열악하여 기본적인 회원관리와 정부 위탁사업 수행 이상의 전문성 있는 산업 부문별 지원 활동을 해 나가고 있지 못한 실정이

35

식품산업통계정보(http://www.atfis.or.kr: 2016. 9. 23.).

36

농수산식품기업지원센터(http://www.foodbiz.or.kr: 2016. 9. 23.).

농산업분야 청년 고용 활성화 방안 109

다. 산업통상자원부의 경우 ‘산업별 인적자원개발협의체(SC)’ 사업을 통해 업종별 인력 문제에 대한 조사 연구, 업종별 인력 육성 및 각종 대책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2004년 「산업발전법」에 근거하여 시작된 이 사업은 구체적으로 ① 인력 수급 및 교육훈련 수요에 관한 분석, ② 자격 및 직무능 력에 관한 기준의 개발 및 제안, ③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개발 등을 세부 산업별로 실행하고 이에 대해 정부가 그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지원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강순희 외 2015: 25).37

산업별 인적자원개발협의체(SC) 사업

자료: 강순희 외(2015: 25-33).

37

2004년 3개로 시작하여, 현재까지 기계, 전자, IT 비즈니스, 조선, 철강, 섬유, 반도체, 디

스플레이, 바이오, 나노, 로봇, 자동차(부품), S/W, 의료기기, 디자인, 신재생에너지, 뿌리

산업, 플랜트 산업 등 총 18개가 지정‧운영 중임(강순희 외 2015: 28).

농산업분야 청년 고용 활성화 방안

농산업분야 청년 고용 활성화 방안 111

농산업분야 청년 고용 활성화 방안

농산업분야 청년 고용 활성화 방안 113

농산업분야 청년 고용 활성화 방안

농산업분야 청년 고용 활성화 방안 115

2.3. 학교와 농산업체 간 산학협력 활성화

농산업 현장과 교육 현장의 양적인 일자리 미스매칭은 일차적으로 일자

농산업 현장과 교육 현장의 양적인 일자리 미스매칭은 일차적으로 일자

문서에서 농산업분야 청년 고용 활성화 방안 (페이지 118-145)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