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청년기의 장기간 실업 경험은 개인적 불행뿐 아니라 사회적·국가적 낭비 이다. 장기 실업은 청년의 자아 존중감과 미래에 대한 기대 수준을 낮춘다.

마음에 큰 상처를 입을 경우 자포자기의 상태에서 각종 사회적 일탈행위로 이어질 수 있다. 실업은 청년 개인뿐 아니라 주위의 가족, 친구, 지인 모두를 우울하게 한다. 국가적으로는 수십 년간의 교육 투자의 무용화를 넘어 국가 세수의 감소, 혼인 기피에 따른 저출산 문제로 이어져 미래 성장 동력을 상 실하게 되는 것이다.

이 연구의 학생 설문조사 결과에 의하면 많은 청년들이 기회가 되면 농산 업분야에 일자리를 가지기를 원하고 있었다. 실제로 농산업 고용 시장은 전 체 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7%로 어느 산업보다도 비중이 높다. 농산업 고용 정책을 어떻게 펼치느냐에 따라 우리나라 전체 청년 고용 여건이 달라 질 수도 있는 규모이기도 하다. 하지만 범부처 차원의 정책이나 농정 당국 의 관련 정책은 이를 반영하고 있지 못하고 있는 듯하다. 이행노동시장이론

요약 및 결론

부 록 129

부록 1

농산업의 개념과 범위

○ 농업의 개념은 광의의 개념과 협의의 개념으로 구분할 수 있음.

- 협의의 개념은 농작물의 재배와 사육 활동과 관련한 1차 산업으로의 농업만을 포함하지만 생산 농업 부문 없이는 존재할 수 없는 관련산 업(농업 관련 산업)이 있는데 이를 포함하여 광의의 농업으로 봄.

- 1957년 하버드 대학의 데비스(John H. Davis)와 골드버그(Roy A.

Goldberg)가 농업 관련 산업(Agribusiness)이란 용어를 처음 사용하 였으며 이들의 정의에 따르면 농업 관련 산업은 “농업 내의 자재공급 산업, 농산물의 저장, 가공, 판매와 관련한 모든 산업을 통합한 것임”

이다(김철민 2008 재인용).

○ 김완배 외(2000)는 ‘농업 관련 산업의 통계지표 개발’을 하면서 농림 관 련 산업을 ① 농업 생산에 전방으로 연관되는 자본재 등 투입재산업, ② 후방으로 연관된 가공‧유통산업, ③ 이를 원활하게 하는 서비스 및 지식 산업으로 구분하였음.

130 부 록

부 록 131

132 부 록

부 록 133

- 농림어업: 농업, 임업(특용 임산물), 어업

- 관련 제조업: 식품 공업, 자재 공급 산업(사료, 화학 비료, 유기질 비 료, 농약 등 주로 농림 어업에 사용되는 생산 자재)

- 관련 투자: 농업 기계, 어선, 식품 가공 기계 등의 농림 어업 및 식품 제조에 관한 고정 자본재 및 농림어업 관계 공공사업 등 투자 - 관련 유통업: 농림 어업, 식품 공업, 자재 공급 산업 및 관련 투자의

생산물, 제품 및 수입 등의 유통에 수반되고 국내에서 발생한 상업 마진 및 화물 운임

- 음식점: 일반 음식점(레스토랑, 초밥점, 소바‧우동점 등), 유흥주점 (요정, 바 등) 및 다방

○ Downey와 Erikson(1987)은 농업 관련 산업을 농업 투입재 부문, 농업 생산 부문, 생산물 유통 및 가공 부문 등 3부분으로 구분. 이는 미국 농 무성의 농업 관련 산업 고용 통계파악 시 기준으로 사용함.

- 농업 생산, 가축 번식, 축산, 임업 생산

- 농업 생산과 관련된 서비스의 제공과 농업 투입재의 제조 및 유통 - 농기계, 설비, 전력 등의 설계, 설치, 수리, 운영, 서비스와 농업 생산

에 이용되는 건물의 건축

- 농업생산물의 검사, 가공, 유통과 관련된 활동 - 온실, 종묘장, 조경, 원예

○ Malcolm과 Davidson(1998)은 전체 경제활동에서 Agribusiness의 위상과 영역을 정의하면서 <부도 1-5>를 제시하고 있음.

134 부 록

<부도 1-5> 애그리비즈니스 연속(Agribusiness Continum)

자료: Malcolm & Davidson(1998).

부 록 135

부록 2

농산업 소분류별 고용 현황 및 전망

산업 부문 1995년 2000년 2005년 2010년 2013년

농림 생산(A) 27,953 34,042 36,865 44,157 47,769

- 농업 20,704 24,481 23,766 25,183 28,800

136 부 록

부 록 137

138 부 록

부 록 139

산업 부문 2013 2018 2023

종자자 증감 연평균 변화(%)

’13~’18 ’13~’23 ’13~’18 ’19~’23 ’13~’23 농림 생산(A) 1,418 1,303 1,287 -116 -131 -1.7 -0.2 -1.0

140 부 록

산업 부문

2013년 기준 은퇴 연령 도래자 비율(%) 은퇴 예상 인력(명)

2018년 2023년 2018년 2023년

농림 생산 (A) 29.5 44.2 418,616 626,135

- 농업 34.0 50.0 393,043 578,004

- 축산업 8.9 16.7 17,474 32,789

- 임업 12.3 23.3 8,099 15,342

농림 서비스 (B) 6.1 13.4 11,426 25,100

농림 투입재 (C) 6.0 15.2 2,368 6,037

- 비료, 농약, 사료 5.2 15.5 906 2,700

- 농기계 3.6 8.9 169 418

- 농림 토목 7.4 16.7 1,293 2,919

식품 산업 (D) 10.6 21.5 37,700 76,927

- 농산가공 12.5 24.0 24,150 46,368

- 축산가공 7.2 17.2 3,092 7,388

- 임산가공 8.0 19.0 8,299 19,710

- 음료품 12.6 20.2 2,159 3,461

외식 산업(E) 8.3 19.6 128,582 303,640

농림 유통업(F) 9.1 16.5 37,700 68,015

- 도·소매 9.8 17.1 32,657 56,983

- 운수 및 보관 6.4 14.0 5,043 11,032

농산업 전체 16.1 27.9 636,394 1,105,855

<부표 2-5> 향후 농산업 취업자 중 은퇴 예상 인력

부 록 141

142 부 록

부 록 143

144 부 록

부 록 145

146 부 록

부 록 147

148 부 록

부 록 149

150 부 록

-합 1,509(100.0%) 500(100.0%) 합 500(100.0%)

<부표 5-2> 조사 응답 학생 전공

부 록 151

152 부 록

부 록 153

학력 농업 생산 농업 투입재 식품 가공 농업 서비스 전체

고졸 이하 8 (38.1%) 64 (41.3%) 56 (45.5%) 0 (0.0%) 128 (39.3%) 전문대 졸 5 (23.8%) 20 (12.9%) 12 (9.8%) 1 (3.7%) 38 (11.7%) 4년제대 졸 7 (33.3%) 65 (41.9%) 52 (42.3%) 8 (29.6%) 132 (40.5%) 대학원 이상 1 (4.8%) 6 (3.9%) 3 (2.4%) 18 (66.7%) 28 (8.6%) 합 21 (100.0%) 155 (100.0%) 123 (100.0%) 27 (100.0%) 326 (100.0%)

<부표 5-12> 조사 응답 농산업 근로자 성별

연령 농업 생산 농업 투입재 식품 가공 농업 서비스 전체

29세 이하 1 (4.8%) 25 (16.2%) 21 (17.1%) 3 (11.1%) 50 (15.4%) 30~39세 8 (38.1%) 50 (32.5%) 43 (35.0%) 15 (55.6%) 116 (35.7%) 40~49세 9 (42.9%) 47 (30.5%) 30 (24.4%) 6 (22.2%) 92 (28.3%) 50세 이상 3 (14.3%) 32 (20.8%) 29 (23.6%) 3 (11.1%) 67 (20.6%) 합 21 (100.0%) 154 (100.0%) 123 (100.0%) 27 (100.0%) 325 (100.0%)

<부표 5-13> 조사 응답 농산업 근로자 연령

근무경력 농업 생산 농업 투입재 식품 가공 농업 서비스 전체

1년 이하 3 (17.6%) 24 (17.8%) 18 (17.3%) 10 (41.7%) 55 (19.6%) 2~3년 3 (17.6%) 34 (25.2%) 26 (25.0%) 4 (16.7%) 67 (23.9%) 4~5년 3 (17.6%) 32 (23.7%) 23 (22.1%) 5 (20.8%) 63 (22.5%) 6~10년 3 (17.6%) 21 (15.6%) 19 (18.3%) 3 (12.5%) 46 (16.4%) 11년 이상 5 (29.4%) 24 (17.8%) 18 (17.3%) 2 (8.3%) 49 (17.5%) 합 17 (100.0%) 135 (100.0%) 104 (100.0%) 24 (100.0%) 280 (100.0%)

<부표 5-14> 조사 응답 농산업 근로자 근무 경력

154 부 록

부록 6 조사지

- 농고생 농산업분야 취·창업 의식 조사 - 농대생의 농산업분야 취·창업 의식 조사 - 일반대생 농산업분야 취·창업 의식 조사

- 농산업분야 취·창업에 대한 농고 교사 의식 조사 - 농산업분야 취·창업에 대한 농대 교수 의식 조사

- 농산업체 근무 실태 및 의식 조사: 경영주 또는 인사담당자용

- 농산업체 근무 실태 및 의식 조사: 근로자용

부 록 155

156 부 록

부 록 157

158 부 록

부 록 159

160 부 록

부 록 161

162 부 록

부 록 163

164 부 록

부 록 165

166 부 록

부 록 167

168 부 록

부 록 169

170 부 록

부 록 171

172 부 록

부 록 173

174 부 록

부 록 175

176 부 록

부 록 177

178 부 록

부 록 179

180 부 록

부 록 181

182 부 록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