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최근 10년간 위성활용

문서에서 위성영상으로 (페이지 27-32)

선진국의 동향

<그림 1> 위성 활용에 대한 메타분석 결과

대기, 국토, 해양, 산림도시 분야 활용

특정 주제별 위성자료 분석 증가 위성분석에 모델링의 중요성 강화

재난재해분석 활용에 대한 수요 급증 위성데이터의 민간활용 영역 증대

MDA Radarsat 영상과 인도 IRS LISS 영상에 이르기까지 유 · 무료 위성영상을 원스톱 으로 찾아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USGS의 EROS 데이터 센터는 그대로 유지하면 서(공공적 목적에 원시데이터 아카이빙 분야의 전통은 남겨두고) 각 지자체에서 목적에 맞게 활용할 수 있는 정보유통체계의 역할은 농림부가 진행한다. 민간과 공공 분야의 협 력모델을 확인할 수 있는 사례이다. 이렇게 농무성이 지자체 중개 권한을 갖게 된 이유가 무엇일까? 미국 국토의 농업 관련 면적이 44.6%를 차지하여 비교적 넓고, 특히 옥수수, 대두 등의 곡물 생산량은 세계에서 상위 국가에 속하고 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이수환 2017). 단, 미국 전체 산업에서 농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1% 수준으로 그리 크지는 않지 만, 위성정보 활용의 장점을 가장 많이 누리는 곳에서 업무를 담당하는 것은 자연스럽다.

반대로 농업면적보다 훨씬 넓은 산림 분야는 왜 그렇지 못했을까? 그 이유는 US Forest Service 정책에 의해 각 주에서 개별적으로 산림경영 지원 정책을 펼치고 있다는 점, 즉 주정부와는 다른 조직체계로 연계된다는 것이 하나의 이유가 될 것이다. 또, 산림의 특 성상 농업에 비해 임목의 라이프사이클이 길기 때문에 산림경영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 정보로써 위성영상은 한계가 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세 번째로 유의할 점은 엘론 머스크의 Space-X 사례와 같이 민간 분야의 위성체 개발 사업이다. 대부분의 매체에서는 우주여행 또는 전 세계 통신 및 인터넷사업 등에 더 관 심을 두고 있지만, 실질적으로 중요한 것은 위성정보 활용을 위한 핵심기술이다. 여러 경제 활동의 문제점을 짚어내고 해결하는 인공지능기술과의 접목이 필요하기 때문이 다. 예로 도시양봉업이라는 새로운 취미를 근사한 활동으로 내세우면서 꿀 채집이 가능 한 밀원(蜜原)의 분포를 더 정밀하게 분석하는 것을 기초로, 여기서 멈추지 않고 생태계 를 개선할 수 있는 방향까지 제안하고 있다(Hemanth 2020). 지구에서 벌이 감소하면 농 업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도시 내의 밀원 및 서식처 확보 전략을 통해서 지구의 환경문 제를 적극적으로 해결하는 것이다. 기존의 위성영상이 수직의 정사영상으로 건물을 말끔 하게 추출할 수 있던 시절과는 달리 더 작은 녹지가 패치로 이어지게 되면서 세심한 감독 분류의 필요성은 더 커지고 있고 이러한 훈련 데이터와 알고리즘을 추가하는 것이다. 즉, 책상에서 벗어나 사회에서 문제를 찾고 답하는 자세를 확인할 수 있다. 미국의 위성영상 활용의 특성은 농림업이 여전히 중심인 점, 복수의 영상을 함께 분석하고 서비스하는 환 경 마련, 활용주체로서 민간영역 활성화로 요약할 수 있다.

2. 유럽

유럽우주항공국(European Space Agency: ESA)은 유럽연합에서 공동으로 운영하는 우 주항공기관이다. 기존에는 EUFP 프로그램으로, 최근까지는 Horizon2020 프로그램에서 주로 지원을 받고 활용 분야를 연구해오고 있다. ESA 연구소는 파리, 로마 주변의 프라

467호 2020 September

스카티(Frascati) 등 여러 국가에 산재하 고 있고, 발사체 및 탑재체 개발 인력 이 외에도 활용 분야의 인력비중도 상당히 높다. 8개가 넘는 위성을 운영하고 있으 며, 대부분은 단일 국가 차원의 위성이 라기보다는 지구 전체 또는 중요한 이슈 별로 세분화된 센서와 위성을 지향하고 있다.

SPOT 시리즈나 독일의 Rapid Eye, Geoeye 시리즈 등은 ESA의 글로벌한 관 점과는 달리, 다수의 위성을 유지하면서 전 세계를 대상으로 위성정보를 생산 및 판매하고 있다. 최근에는 초분광영상의 탑재 및 위성라이더 탑재 등 센서의 다양화에 많 은 노력을 기하고 있다. 지도제작과 관련된 부분에서는 위성을 갖지 못한 제3세계 국가 의 기반지도를 제공하면서 실질적으로 글로벌 시장을 리드하고 있다. 각 회사의 본사는 독일, 프랑스에 위치하지만, 실제로 주식의 소유자를 보면 특정 회사를 지칭하기 어려울 정도로 여러 국가의 자본이 함께 투입되고 있다.

유럽국가가 직면한 국토 문제의 대부분은 농촌역량 강화, 일자리 관련 이슈, 중소기업 지원 이슈가 큰 축을 차지한다. 이 중에서 위성정보로 접근가능한 것은 농업 분야에서 지 역개발 분야와 농업수자원 분야, 미기후 정보제공 분야 등을 들 수 있고, 생태적 해결방 안을 지향하면서 배출탄소 저감에 대한 이슈를 들 수 있다. 농촌지역 개발시스템을 통하 여 정밀농업과 탄소순환 생태계, 자연형 에너지 분야, 도시는 대기오염 분석과 바람길 등 의 미기후 온도 변화에 대한 기술개발과 성과모니터링을 진행하고 있다. 미국과 같이 AI 접목 등 이슈에 민감하기보다는 공동체 운영과정에 참조할 수 있는 위성정보 생산을 강 조하는 것도 확인할 수 있다.

실시간 자료제공의 중요성은 재해 분야에서 가장 요구되고 있다. 현상을 촬영하여 제 공하는 단순분석의 단계를 넘어서 강수모델, 유역모델, 하천모델에 이르는 전문가의 모 델링이 위성영상정보로 사용되며, 그 결과는 몇 년 또는 몇 달간의 변화를 담아내어 복 합적인 정보를 사용자 또는 국민에게 제공한다. <그림 2>에서 볼 수 있듯 검은색 지중해 에 초록, 파랑, 빨강 점은 각각 다른 시기의 배의 위치를 보여준다. 위성영상정보를 도출 하는 것과 그 내용을 일반인에게 전달하는 것은 또 다른 일이다. ESA는 그러한 측면에 서 시스템을 갖추고 체계적으로 산출물을 생산하는 공장체계라기보다는 연구자들의 연 구성과를 잘 정비하여 제공하는, 스토리텔링을 하고 우수사례를 산출해내는 도제식 정보 가공체계라고 볼 수 있다. 단, 기상위성의 경우에는 유럽 기상위성기구(EUMESAT)의 자

<그림 2> 유럽우주항공국이 처리한 나폴리항구 주변의 시계열적 선박 분포지도

자료: esa.int/ESA.multimedia/image/2020/07?Bay_of_Naples_Italy

동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다양한 기상주제도를 넘어 방재에 활용할 수 있는 정보를 공장과 같이 생성한다. 정사영상은 항공사진으로 작성된 것과 위성영상으로 작성된 것을 공히 사 용하지만 변화추이에 대한 실시간 갱신을 지향하지는 않고, 매년 정사영상 데이터 한 세 트를 만들어 유럽 지리정보표준화기구(INSPIRE)의 표준에 맞게 생산하고 유통하고 있 다. 유럽의 위성영상 활용은 다국적 연구소 주관, 사회문제해결형 연구과제 진행, 재난재 해 활용의 중시로 요약할 수 있다.

3. 일본

일본은 RESTEC을 통해 활용 분야에 대한 정보체계를 구축하고, 학계와 업무를 분담하 여 다양한 위성주제도를 생산하고 있다. 홍수와 태풍, 지진 등의 자연재해는 오랫동안 위 성 활용 분야의 핵심으로 작동해 왔고, 야외조사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연구 특성을 확인 할 수 있다. Cosmos SkyMed 레이더 영상을 매일 촬영 분석하여 침수지역을 추정하는 방식으로 정리하여 국토교통성에 제공하고 있으며, ALOS 2 등의 레이어 영상정보를 학 계와 사용자 그룹에 제공하여 산사태, 지진, 지각운동, 화산활동 등의 지형변이를 모니터 링하여 기상청에 제공하기도 한다. 일본의 위성영상 활용은 산학연 협력체계 구축, 재난 재해 모니터링의 중시로 요약될 수 있다.

위성 활용 방식은 국가별로 지역 특성과 산업구조 등에 따라 상이하다. 그러나 활용 분 야를 지능형 국토라는 틀에서 본다면 지도제작을 넘어 사회적 이슈와 연동하여 제공되는

부분과, 간접적으로 원리를 이 해하고 연구하는 과학적 목적 의 예산투입 및 그 성과의 공 유로 구분할 수 있을 것이다.

선진사례를 리뷰하면서 우 리나라가 생각해야 할 함의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데이터 아카이빙의 장 소 및 관리와 서비스 주체의 문제에 대해 공공이냐 민간이 냐를 논하고 있는 반면, 우리 나라는 공공 분야의 부처 간 역할 분담이 이슈가 되고 있는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아직은

맺음말

<그림 3> 대한원격탐사학회에서 분석한 KCI 논문 키워드 간의 관계를 분석한 사례

자료: https://www.kci.go.kr/kciportal/po/search/poInsiResearchTrendDetail.k c i ? p o - ResearchTrendSearchBean.insiId=INS000001079

467호 2020 September

민간 분야의 위성영상정보 서비스가 매우 제한적이다. 위성정보 활성화를 위한 전략은 국토교통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함께 고민할 문제이다. 우주산업진흥과 공간정보산 업진흥이 별개가 아니라는 점을 생각해 주었으면 한다.

둘째, 업무와 밀접하게 연계된 위성영상정보 활용이 되어야 보다 효과가 클 것이다. 사 용자 그룹을 만들어 세미나를 하는 것보다 중요한 것은 영상정보가 활용될 응용모델, 즉 문제해결을 담당할 전문가 그룹의 손에서 나온 성과물이다. 모든 것을 자동화하여 산출 물로 생성할 수는 없으나 인공위성이 계속 운영되는 한, 국토의 문제를 모니터링하고, 가 치를 올릴 수 있고, 변화 이전에 변화를 추정할 수 있는 지능화된 모델링 개발이 전제되 어야 국토의 지능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셋째, ISPRS(International Society of Photogrammetry and Remote Sensing)이라

셋째, ISPRS(International Society of Photogrammetry and Remote Sensing)이라

문서에서 위성영상으로 (페이지 27-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