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지능화된 국토 이용·관리를 위한 위성정보 활용 해외사례

문서에서 위성영상으로 (페이지 24-27)

장은미 ㈜지인컨설팅 대표이사 (emchang21@gmail.com)

467호 2020 September

2. 메타분석 결과는 무엇을 말해주는가?

첫째, 전통적인 위성영상 교과서에 제시된 범위와 거의 유사하며, 아주 새로운 분야가 등 장할 확률은 거의 없어 보인다. 다만 세부적인 활용범위 내에서 구체성이 조금씩 확대되 고 있는데 과학적 탐구, 학술적 목적하에 과학위성이 추가되거나, 특정지역의 분석을 위 한 특수목적의 위성이 활용 분야로 추가되었다. <표 1>에는 기재하지 않았지만 극지의 환 경변화 또는 특정 가스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환경위성, 지구가 아닌 다른 목적물을 목표 로 두는 과학위성은 모두 인간의 지식 확대와 관련된 부분으로 추가될 수 있다.

둘째, 위성 프로그램을 주도적으로 운영하는 기관이 기계항공 분야가 아닌 응용 분야 의 산하기관일 경우 활용 범위는 다소 좁다. 그러나 주제의 깊이는 훨씬 깊어지고, 세부 적인 이슈 중심으로 확장된다. 예로 태양광 패널 배치에 관한 에너지 지도작성 작업에는 영상처리 과정에 전문화된 모델링이 들어가게 되므로, 전문가의 개입이 반드시 필요하 다. 인공위성 개발 초기에는 생각하지 못했던 것이 타 GIS 자료와의 결합, 전문화된 모델 링과의 결합, 실제 현장의 관측값과 비교분석 등 구체적인 활동이 요구되면서 활용기관 의 전문성은 점차 확대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인공위성과 센서 개발 및 탑재 등 우주개발계획에 들어가는 예산이 크므로 국회 또는 국민들은 투자의 당위성을 요구하게 된다. 이에 재난대응 이슈가 적절한 사유로 등 장한다. 빈도는 낮아지나 강도가 세지고 복잡해지는 재난 · 재해에 대응한 위성정보 활용 은 각 재해별로 구체성을 확보해가면서, 관측 대상범위가 자국을 넘어 국제협력 활동으 로 이어지고 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같은 기계, 항공 분야의 전문가들이 모인 곳까 지 인공위성 활용 분야에 방재를 포함시키고, 기상모델의 입력자료로 위성자료를 활용하 던 국가기상위성센터에서도 방재가 중요한 기상위성 활용 분야로 강조되고 있다.

상세 설명

<표 2> 미국의 위성영상 활용 확대 리스크 분석 분야

기술적 리스크

•위성 발사 실패로 인한 보험료의 증가

•위성 및 센서의 운용과정에 영상의 품질 저하로 기대에 부응하지 못함

•미성숙된 알고리즘과 소프트웨어의 적용으로 잠재 사용자의 실망

시장 리스크

•더 넓은 공간정보 시장과의 성장을 지렛대 활용 부족

•정보사회에 맞는 적절한 비즈니스 모델 발굴 부족

•기존 위성자료 서비스가 항공사진, 드론 등의 정밀도와 경쟁이 어려움

•위성정보에 대한 다국적 경쟁이 심화되고 있음

국제경쟁과 협력 •국가의 지원에 의존하는 위성영상처리 및 서비스체계

•고해상도 영상에 대한 활용을 제한하는 제3세계 국가의 법, 제도적 한계

미국의 정책과 규제 •민간영역에 투자를 제한하는 여러 법,제도적인 규제

•저비용 또는 무료 정보공개로 인한 마켓 수요의 감소 자료: https://apps.dtic.mil/dtic/tr/fulltext/u2/a399253.pdf (2020년 8월 27일 검색).

467호 2020 September

넷째, 위성정보 활용에 앞서 나가는 선진국에는 분야별 전문 모델링과 관련한 연구 체계와 그러한 과정을 전문으로 하는 민간영역이 존재한다. 따라서 활용의 주체가 점 점 공공에서 민간으로 이동하고 있다. 그러나 활용의 범위가 확대되고 전문화되어 간다 고 해도, 국가와 공공기관에 제한된 수요로 인해 시장 크기의 확대에는 한계가 존재한다.

Rand 컨설팅사의 보고서에 따르면 1990년대 중반에 비해 위성영상 활용시장의 규모가 커진 것도 사실이나 위험요인도 확대되고 있다는 점도 민간 시장 확대에 제한요소로 볼 수 있다. 상세한 것은 <표 2>를 참조하면 되며, 이는 우리나라의 위성정보 활용시장의 한 계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1. 미국

미국은 2014년부터 육지 분야 산출물 특성화 시스템(Land Product Characterization System: LPCS)을 구축하여 여러 종류의 위성에서 취득한 공통된 데이터를 상호 검증하 는 체계를 만들었다. 지표의 반사도, 정규식생지수, 지표온도 등과 관련된 자료들을 함께 비교 분석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해양대기청(NOAA)이 보유한 기상예보 목적을 가 진 Terra 위성과 Aqua 위성에 탑재된 MODIS 위성영상, 국가 프로그램으로 운영되는 랜 드샛, 해외 수입영상인 SPOT과 같은 중해상도 영상을 모아 인벤토리로 만들었다. 최종 목적은 사용자가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분석기능을 제공하여 별도의 소프트웨어 없이 공통의 주제로 다른 데이터를 활용하는 것이다. 사용 가이드라인을 봐 도 한 번에 완성된 것이 아니라 매년 업데이트되면서 3년에 걸쳐서 안정화되고 있으며, 공통의 정보로 각 영상의 밴드별 최댓값, 최솟값, 평균값의 통계자료를 함께 제공하고 있다.

또한 특이하게도 미 농무성은 민간위성 영상평가 조인트그룹(Joint Agency Commercial Imagery Evaluation: JACIE)에 참여하면서, 각 주에서 농업 관련 정보를 취득할 때 소요되는 비용을 최적화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정보 판매를 매개하는 역할을 한다. 민간위성인 GeoEye, Digital Globe 등의 고해상도부터 Eurimage, MDA federal,

최근 10년간

문서에서 위성영상으로 (페이지 2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