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국토관측위성 활용 방향과 전략

문서에서 위성영상으로 (페이지 36-40)

467호 2020 September

림 · 산림 위성이 발사될 예정이다. 다만, 5m 공간해상도로 계획되어 있어 보조금 지급대 상관리 등과 같이 구체적인 현장 상황을 파악하기 위한 운영 · 관리업무는 여전히 현장조 사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농림 · 산림 위성을 이용하여 이상지역을 탐지할 경우 후속 현장조사업무를 수행하기에 앞서 국토관측위성으로 현장 상황을 판단해야 한다. 그 래야 적합한 후속업무를 진행하여 적재적소에 제한된 조사관리 인력을 운영하는 데 활용 할 수 있을 것이다.

도시분야의 경우 매우 높은 공간해상도를 요구하므로 국토관측위성은 항공영상의 보 조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디지털 뉴딜사업과 관련하여 기존의 2년 주기 촬영을 매년으로 변경할 경우 국토관측위성의 활용 수요는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반면 토목건설사업과 같이 월 단위로 공정을 모니터링하거나, 해외사업과 같이 주변 지형이 나 토지이용 현황에 대한 제한된 정보만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활용 수요가 늘어날 것으 로 예상된다. 최근 건설 및 관리 분야에서는 위성기반 기본지형의 변화정보를 수집하고, 항공영상을 이용하여 정밀지형 · 형상정보를 수집하여 무인기 및 측량 · 조사인력에게 필 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건설 · 토목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한 예로 Plex Earth사는 <그 림 2>와 같이 토목설계전문 SW에 최신 위성영상은 물론, 일정 주기로 변화정보를 제공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를 통하여 공사일정별 설계도면과 실제 건설현장의 현 황을 신속하게 비교하여 지구상의 어느 건설현장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지원하는 것 이 가능하다. 현재로서는 이러한 원격모니터링 업무가 도입되지 않아 비용절감편익으로 계산되지 않았으나 향후에 이러한 기술이 확산됨으로써 실질적인 편익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금까지 영국의 Innovate UK에서 수행한 위성정보 편익분석 사례를 검토하고 국내

<그림 2> 위성영상과 토목설계전문 SW를 연계하는 Plex Earth사의 서비스

자료: Plexearth 홈페이지.

국토모니터링위성기반 국토모니터링위성기반

위성

기본지형·변화 정보

정밀지형·형상 정보

정밀구조·상태 정보

현장측량·조사 정보 무인기

항공기

측량·조사 인력 데이터 구축·갱신 필요 대상 정보

467호 2020 September

권헌영, 유지연, 신헌주, 김법연. 2014. 행정공간정보 서비스 활성화 방안 연구. 서울: 행정자치부.

Geospatial Media and Communications. 2018. GeoBuiz-Geospatial Industry Outlook & Readiness Index.

London Economics. 2018. Value of satellite-derived Earth Observation capabilities to the UK Government today and by 2020.

National Geospatial-Intelligence Agency. 2006. GEOINT Basic Doctrine Publication 1.0. https://fas.org/irp/agency/

nga/doctrine.pdf (2020년 8월 28일 검색).

Plex.Earth. https://plexearth.com/ (2020년 8월 25일 검색).

참고문헌

영상정보 활용 수요와 비교하였다. 항공영상 및 드론영상과 같은 국토관측기술이 빠르 게 발전하면서 과거와 같이 지도제작 중심의 활용은 점차 보조적이거나 제한적인 활용 수 요를 충족시킬 것이다. 12~25cm 수준의 항공영상이 보급되면서 위성정보는 항공사진으 로 생산된 정보의 변화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거나, 농림이나 산림 분야에서 저해상도 위성영상이 제공할 수 없는 현지의 상황정보를 적시에 촬영하여 제공하는 협력적인 모니 터링 역할을 수행해야 할 것이다. 이처럼 다양한 영상자료를 신속하게 수집 · 통합할 수 있 는 체계가 마련된다면, 기존 작업자에 의하여 수행되던 분석업무를 자동화할 수 있어야 하 며, 그 결과를 공간정보와 융복합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림 3>은 미군이 전 세계를 대상으 로 수집되는 영상자료를 분석하고 공간정보와 융복합하여 적시에 필요한 부대에 제공하는 GEOINT 체계를 보여준다. 국방 · 안보 분야를 중심으로 운영되던 이러한 영상공간정보 서비스가 국토관측위성과 국토위성센터의 운영으로 국토 관련 의사결정과정에서 제공됨 으로써 지능화된 국토의 이용과 관리를 지원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것이다.

<그림 3> 미국 NGA의 지구관측 영상분석과 공간정보 융복합 산출물

자료: National Geospatial-Intelligence Agency 2006.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재난안전법)에서는 ‘재난’을 국민의 생명 · 신체 · 재산과 국가 에 피해를 주거나 줄 수 있는 현상들로 정의하며 태풍, 홍수, 호우, 강풍 등 17종의 자연 재난과 화재, 붕괴, 폭발, 교통사고 등 8종의 사회재난으로 분류하고 있다. 또한 자연 및 사회재난에 준하는 피해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현상은 미래재난의 범주로 정의하고 있다.

재난은 종류가 다양하고 그 범위가 매우 광범위하며 대처를 위한 관리 단계도 예방 · 대 비 · 대응 · 복구로 세분되어 있다. 따라서 재난에 효과적으로 대응 · 대처하기 위해 요구되 는 정책적 · 기술적 접근방법은 재난관리 단계별로 달라야 한다. 한편, 과거 매우 드물게 발생하였거나 재난으로 인식되지 않았던 미세먼지, 폭염, 지진, 신종 감염병 등과 같은 현상들은 최근 발생빈도가 빈번해지고 대규모 인명 · 경제적 피해를 가져왔다. 이에 대처 하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기술이 필요하며, 그 수요 또한 증가하고 있다.

머리말

재난 분야 위성정보 공동 활용을

문서에서 위성영상으로 (페이지 36-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