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Ⅴ.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자 질적 조사 결과

1. 질적 연구의 개요

가. 조사 방법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자에 대한 면접방식을 통해 이용자 입장에서 체감하 는 사회복지서비스 이용과정 및 현재 서비스에 대한 만족정도, 이용자의 욕 구와 제공된 서비스간의 격차 등과 관련한 실제 상황을 살펴보았다. 면접은 반구조화된 조사표를 설계하여 진행되었다. 이는 구조적 면접방식보다는 심 층면접 방식에 보다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즉 구조화된 질문지를 미리 준 비하지만 면접 도중 질문 이외의 추가적인 내용이 발견되는 경우 질문을 확장시켜 보다 풍부한 정보를 습득할 수 있게 된다.

수집된 자료에 대해서는 내용분석(content analysis)방법을 적용하였다.

이 방법은 질적자료의 분석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며 방대한 정보를 분류하 여 자료가 지니고 있는 의미를 조사하는 방식이다. 또한 내용분석에서는 분 류된 범주에 대해 통계적 분석을 시도할 수도 있는데(이익섭·이윤로, 2007) 본 연구에서도 몇몇 문항에 대해서는 이러한 양적 접근방식을 병행하였다.

면접 참여자는 서울‧경기지역 종합사회복지관과 구청 사회복지부서의 사 회복지담당공무원의 추천을 받아 선정하였다. 면접참여자의 조건은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① 조사시점 현재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자로서 ② 장애, 질병, 가족문제 등 다양한 문제를 보유하고 있으며 ③ 최소 3개월 이상 공

148

공 혹은 민간의 서비스를 이용하였으며 ④ 본 연구에 대해 충분한 설명을 듣고 자발적으로 면접에 참여할 의사가 있는 사람이다.

연구를 위한 조사에 참여를 동의한 예비 참여자들에게 본 연구진 및 조 사원이 전화와 가정방문을 통해 연구목적을 충분히 설명하고 연구절차를 설명하였으며, 이러한 면접참여자 모집과정을 통해 최종 면접에 참여한 인 터뷰 참여자는 총 28명이다.

나. 면접 질문

면접에서 제시한 연구 질문은 총 8개였고, 각 연구 참여자와의 친화관계 형성을 위한 대화 후 본격적인 면접을 진행하였다. 거부감을 최소화하기 위 해 참여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연령, 성별, 가구원수, 가구유형 등)은 연구 질문이 끝난 후에 파악하였다. 참여자의 불편함을 최소화하기 위해 가구소 득은 조사하지 않았다. 면접에서 활용한 질문 문항은 다음과 같다.

면접 질문

1. 언제쯤 어떻게 현재 복지기관을 이용하게 되었습니까?

2. 그 전에는 어떤 기관들의 서비스를 이용하셨나요?

3. 복지관, 동주민센터, 보건소, 고용센터, 기타 복지기관 등을 어느 정도 알 고 계십니까? 믿고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고 생각하는 곳은 어디인지요?

4. 지금 어떤 서비스를 어느정도 받고 있습니까?

5. 도움이 필요한 시점에서 서비스를 받았고, 실제로 서비스를 받기 시작하기 까지 얼마나 걸리셨습니까?

6. 서비스 신청 시 편안하게 모두 말씀하셨는지요? 질문 받은 내용은 무엇입 니까?

7. 서비스를 받는 과정에서 만족스러웠던 부분은 무엇이고 불만족스러웠다면 개선할 점은 무엇입니까?

8. 서비스를 받을 때 중요한 사항은 무엇이라 생각하십니까?

149

다. 조사대상의 일반적 특성

본 조사에 참여한 이용자 28명의 일반적 특성은 다음의 표와 같다.2) 우 선 조사대상의 성별을 살펴보면 남성은 전체 28명 중 5명(17.9%)이었고, 여성은 23명이었다. 연령대의 경우 40대가 17명으로써 전체 유효응답자 중 68.0%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60대 이상이 3명(12.0%), 20대와 30 대가 2명씩 8%였으며, 50대도 1명이었다. 가구유형은 별거나 이혼, 사망 등의 원인으로 부모 중 한쪽이 없으며 홀로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한부모 가구가 전체 조사대상 28명 중 18명(64.3%)으로 가장 많았다. 그 다음으 로 부부 혹은 3세대 이상 가구를 포함한 부부와 자녀로 이루어진 부부중심 가구가 5명(17.9%)으로 그 뒤를 이었다. 18세 미만 아동이 부모와 떨어져 조부모와 함께 사는 조손가구는 2명(7.1%)이었으며 그 외 기타가구가 3명 (10.7%)이었다. 기타가구의 내용으로는 조카와 함께 사는 부부 1명, 시부 모 외 시동생과 함께 사는 가구 1명, 동생과 함께 사는 가구 1명이 있었다.

〈표 5-1-1〉조사에 참여한 서비스이용자의 일반적 특성

항목 구분 빈도(%) 구분 빈도(%)

성별 남성 5(17.9) 여성 23(82.1)

연령대

20대 2(8.0) 30대 2(8.0)

40대 17(68.0) 50대 1(4.0)

60대이상 3(12.0)

가구유형 부부중심가구 5(17.9) 조손가구 2(7.1)

한부모가구 18(64.3) 기타 3(10.7)

가구원수

2명 5(17.9) 3명 15(53.6)

4명 5(17.9) 5명 1(3.6)

6명 1(3.6) 7명 1(3.6)

2) 모든 분석결과 표에 제시된 응답자 수는 28사례였음.

150

항목 구분 빈도(%) 구분 빈도(%)

진입시기

1년 미만 7(25.0) 1년이상 2년미만 7(25.0) 3년이상 4년미만 3(10.7) 4년이상 5년미만 4(14.3)

5년이상 7(2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