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4

작용하고 있는지를 파악해 보고자 했기 때문이다.

대가 과표집 될 가능성을 고려하여 연령 및 성별을 안배하여 연구 참여를 신청하였는데 선정되지 않은 사례도 일부 있었다.

참여자 모집은 심층면접을 통해 수집되는 자료에 유사한 내용이 반복 적으로 나오는 이론적 포화(theoretical saturation) 시점까지 이루어졌 다. 연구진은 심층면접을 수행하며 정기적으로 심층면접 내용을 논의하 였으며, 이러한 방법으로 총 16명의 청년을 대상으로 한 조사가 수행되었 다. 조사의 모든 과정은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생명윤리위원회에서 승인 받은 절차(승인번호: 2019-35)에 따라 다음과 같이 이뤄졌다.

연구진은 연구 참여에 동의한 참여자의 일정에 맞춰 전화통화로 가급 적 참여자의 편의를 고려하여 심층면접의 일시와 장소를 선정하였다. 심 층면접 장소는 참여자 면접 내용에 대한 비밀이 보장될 수 있는 유료 회 의실이나 혹은 조용한 카페를 활용하여 진행하였다. 인터뷰는 질적 연구 에 관한 훈련을 받고 심층면접 수행의 경험이 많은 사회복지학 교수 2인 이 각각 대면으로 수행하였다. 조사 참여자에게 연구진은 참여자 섭외 시 사전에 공지하였던 조사 방법과 개요 등에 대해 면접 전 대면하여 충분히 재설명하였고, 이를 숙지하였는지를 확인한 후 인터뷰 참여에 대한 서면 동의를 진행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조사 참여자의 불리 경험을 다루게 되어 개인적으로 민감한 내용이 포함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면접 과 정에서 알게 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철저히 비밀이 보장됨을 설명하였다.

또한 심층면접 내용은 자료의 정확한 분석을 위해 참여자에게 사전 동의 를 얻은 후 녹음하였고, 녹음의 개시와 종료를 명확히 알렸다. 인터뷰는 참여자의 피로도를 고려하여 최대 120분을 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하 였으나, 2회로 나눠서 인터뷰하는 것보다 시간이 많이 걸리더라도 한 번 에 인터뷰를 진행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조사 참여자와 연구진이 합의한 경우에는 120분을 초과하여 인터뷰를 진행하기도 하였다. 인터뷰 참여자

에게는 소정의 사례비를 제공하였다. 인터뷰의 주요 질문은 다음 <표 4-1-2>과 같다.

연구 문제 1. 생애과정의 불리 경험과 현재 청년기의 삶

 지금까지 살아오며 귀하의 삶에 큰 영향을 미친 사건은 무엇이었습니까?

 구체적으로, 성장 과정에서 가족 내 환경은 어떠했습니까? (부모의 건강, 직업, 학력, 관계 등)

 성장 과정에서 지역사회 내 환경은 어떠했습니까? (학교, 사회복지기관, 이웃, 공공기 관 등)

 귀하는 어떤 교육을 받았으며, 소득을 위해 어떤 일을 해 보셨습니까?

 귀하는 현재의 삶이 어떻다고 생각하며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연구 문제 2. 과거의 다양한 복지서비스 경험과, 현재 삶과의 관련성

 성장 과정에서 본인 혹은 가족이 복지서비스를 받았던 경험이 있습니까? 만약 제공받 았다면 그 경험은 어땠습니까?

 성장 과정에서 본인 혹은 가족이 복지서비스를 제공받은 적이 없었다면, 혹시 과거에 어떤 서비스가 필요했다고 생각하십니까?

연구 문제 3. 청년기의 더 나은 삶을 위한 지원에 대한 욕구

 귀하께서는 현재 청년들의 더 나은 삶을 위해 필요한 것이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표 4-1-2> 연구 문제에 따른 인터뷰 질문

인터뷰가 종료된 이후 연구진은 인터뷰 내용을 기록하였고, 이후 인터 뷰 질문 구성이나 참여자 선정 등에 반영하였다. 각 연구진은 인터뷰 종 료 이후 새롭게 알게 된 내용을 공유하고 수시로 토의하였으며, 인터뷰 녹음자료는 개인식별정보(이름, 소속 등)나 개인정보를 유추할 만한 내용 은 삭제하고 전체 내용을 전사하였다. 또한, 필사 시 이해되지 않는 내용 이나 파악하기 어려운 단어 및 어절은 표시하여 연구진이 녹음자료를 재 차 확인하는 작업을 거쳐 필사본의 완성도를 높였다. 인터뷰 전사본은 면 접을 수행한 2인의 연구진이 각자 자신이 인터뷰한 내용을 비교하고 점

검함으로써 오류를 바로잡았으며 완성된 전사자료는 효율적인 자료의 관 리와 분석을 위해 질적 연구 소프트웨어 Atlas.ti 8을 활용하였다.

연구진은 Braun & Clarke(2006)가 제시한 주제분석(thematic analysis)의 방법을 이용하여 전사본을 반복해서 읽고 자료에 대한 느낌 과 해석을 메모하고, 전사본의 각 어절과 문장에 대해 초기 코드를 생성 하였으며, 연구진은 생성된 코드들을 비교하며 새로운 코드로 통합하거 나 변경하는 작업을 실시하였다. 이후 각 코드에 대한 논의를 통해 점차 상위범주로 통합하면서 연구 질문에 해당하는 소주제와 대주제를 도출하 였다. 이후 인터뷰를 수행한 연구진 2인을 포함해 전체 연구진이 함께 정 기적인 회의를 통해 자료 해석에 대해 토의함으로써 연구 결과의 타당도 를 높이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