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진로성숙의 개념과 진로교육

Ⅱ. 이론적 배경

5. 진로성숙의 개념과 진로교육

진로성숙에 대한 이론은 진로발달적 측면에서 연구 되어진다.

Super(1960)가 생애발달이론에 더하여 탐색기부터 은퇴기까지의 발달단계 중에서 개인이 도달한 위치로 진로성숙개념을 설정한 것은 진로발달 이론에 대한 또 다른 중요한 공헌점이라고 볼 수 있다(김충기, 2000)

Crites(1961)는 직업발달 프로젝트 연구를 통해 진로성숙은 개인이 직업을 선택하고 결정하는 어느 시점에서 그와 동일한 연령층과의 기대행동의 유사성 정도에 따라 비교를 통해 나타나는 상대적인 직업 준비의 정도로 개념화하였 다(홍기형외, 1983). 그 후 Crites(1971)는 진로성숙 개념을 더욱 구체화하여 진로성숙도라는 개념적 모형을 제시하고 진로의식의 발달 수준을 나타내 보려

는 시도를 하여 진로성숙도검사(CMI : Career Maturity Inventory)를 제작 하였다. 이는 발달이론에서 주요 개념을 추출하고 종합하여 태도척도와 능력 척도를 만들어 진로성숙의 태도와 능력을 측정했으며 표준화했다(장성민, 1991)

김충기(1983)는 개인의 직업적 소양, 가치, 지식, 기술 등의 습득을 통해 궁 극적으로 직업성숙에 부합되는 행동과 판단력을 배양하여 직업적 성숙의 결과 를 낳은 과정이라고 정의하였다.

김현옥(1987)은 진로성숙을 진로의사 결정시 나타나는 의사 결정자의 결정 성, 관여성, 독창성, 타협성으로 정의하고 있으며, 정채기(1991)는 개인이 직업 을 선택 결정하는 어느 시점에서 그의 직업에 대한 준비도를 진로성숙이라고 보았다.

안창규(1999)는 진로성숙이란 자아의 이해, 일과 직업세계의 이해를 바탕으 로 자신의 진로를 자율적 능동적으로 계획하고 합리적으로 선택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의식이나 행동으로 동일한 연령층의 학생들과 비교하여 나타나는 상 대적인 진로의식도 내지는 준비정도라고 정의했다.

위에서 말한 진로성숙에 대한 여러 개념들을 종합해 보면 진로성숙이란 개 인이 현재 보이고 있는 진로행동이 그 개인의 연령층에 기대되는 진로행동과 얼마나 일치하는가에 의해 평가되는 것으로서 그 일치도가 높을수록 그의 진 로성숙도는 높다고 할 수 있는 상대적인 위치라고 정의 할 수 있다.

진로교육 프로그램과 진로성숙도와의 관계를 선행연구 위주로 살펴보면, 김수자(1991)는 진로탐색 프로그램이 고교생의 진로성숙 내외 통제성 및 자

아 개념에 미치는 효과에서 Chapman의 진로탐색 프로그램을 근간으로 재구 성한 것을 인문계 고등학교 2학년 여학생 36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진로 성 숙도를 높이는데 효과가 있었으며 그 효과가 지속적이라는 사실을 밝혔다.

김신출(1994)은 진로교육 프로그램에 의한 집단상담이 자아 존중감 및 진로 의식 성숙에 미치는 효과에 의하면 자신의 흥미, 적성 등을 올바로 파악하여 자신에게 대한 올바른 이해와 진로의 선택 및 결정에 대한 준비의 개념인 진 로의식 성숙도를 더욱 높여 준다고 하였다.

윤매리(1996)는 진로 집단상담이 중학생의 진로성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 보기 위해 중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진로 집단상담 실시 전․후의 진로성숙 점수에 차이가 있는가를 문제로 연구한 결과 진로 집단상담 실시 전에 비하여 실시 후에 진로성숙의 하위영역 모두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고 했다.

이금란(1999)은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진로의식 향상에 미치는 영 향에 의하면 서울특별시 K중학교 2학년 학생들을 중심으로 진로교육 프로그 램을 적용한 결과 진로의식 하위척도의 계획성, 독립성, 결정성, 직업세계의 이해, 직업선택, 의사결정 등의 변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므로 개발 이론에 의하여 만들어진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학교 교육에서 학생들의 인간적 인 성숙을 위하여 진로결정을 돕는데 이용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서헌희(2003)는 서울특별시 노원구 S중학교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NIE를 이용한 진로탐색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독립성과 직업세계 이해 하위요인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다 른 하위요인들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진로 성숙도 총점의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중학생의 진로성숙도를 향상시키는데 성과가 있었다고 하였다.

이상의 선행연구 결과들은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효율적으로 운영하면 진로 성숙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칠 것이라는 가능성을 시사해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재구성하여 적용 함으로써 그 효과를 규명하고 중학생에게 바람직한 진로지도를 할 수 있는 기 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생각된다.

구분 실험집단 통제집단 계

남 여 남 여 남 여

인원 5 5 5 5 10 10

계 10 10 20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