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Ⅴ. 결론 및 논의

2. 논의

가.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진로성숙도 전체점수에 미치는 효과가 있 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진로성숙도에 대한 사전․사후 검사를 통계적으로 t 검증해 본 결과, 실험집단의 경우 p< .05 수준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 났으며, 통제집단은 유의미한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진로교육 프로

그램은 중학생의 진로성숙도 향상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이는 순천시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신봉호(1995), 서울특별시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이 금란(1999), 박미숙(2001), 서헌희(2003), 경기도 군포시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권기화(2003)의 결과와도 일치한다. 이와 같은 긍정적 효과를 얻게 된 것은 체계적으로 구조화된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관련 교과를 통한 체계화 되지 않고 산만하게 구성된 진로교육보다는 진로성숙도 수준을 높이는 데 효과가 있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고등학교 서열화 환경에서 교과학습에 전념해야만 하는 중학생이 자신의 진로를 위해 허용된 분위기에서 진로교육 프로그램에 관심과 흥미 를 갖고 적극적으로 참여한 것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나.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진로 성숙도 태도영역에 미치는 효과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진로성숙도 태도영역에 미치는 효과를 알 아보기 위하여 진로성숙도 태도영역에 대한 사전․사후검사를 t검증해 본 결과 실험집단의 경우 하위요인인 진로 결정성, 계획성에서 유의미한 효과 를 보였다. 이는 정선화(2001)의 연구에서 진로의식 성숙도 태도영역에는 효과가 없었다는 것과 상이한 결과를 보이고 있고, 이금란(1999)의 연구에 서 진로성숙도 태도영역 하위요인 모두에서 효과가 있었다는 것과 약간의 차이를 보인다.

한편 서헌희(2002), 권기화(2003)의 연구에서 진로성숙도 태도영역의 하 위요인인 계획성, 결정성은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으나 독립성은 유의미한

효과가 없다고 밝힌 것과 동일한 결과를 가져왔다. 이는 중학생 수준의 발 달 단계에서는 단기간의 진로교육 프로그램 실시로 진로의 독립성을 향상 시키는 것은 무리라고 해석된다.

다.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진로 성숙도 능력영역에 미치는 효과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진로성숙도 능력영역에 미치는 효과를 알 아보기 위하여 하위요인인 직업세계, 직업선택, 의사결정에 대한 사전․사 후검사 결과를 통계적으로 t검증한 결과 p< .05 수준에서 직업세계, 직업 선택, 의사결정 모두에서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다. 이는 이금란(1999), 정선 화(2001)의 연구에서 능력영역의 모든 하위요인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고 밝힌 것과 동일한 결과를 가져왔다.

라. 제언

본 연구를 토대로 하여 추후의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실험대상 학생을 진로성숙도가 낮은 학생을 중심으로 했지만, 발표 위주의 진행을 하다보니 학생들이 말하기에서 자신감을 얻게 되었다. 이와 같은 프로그램을 학급 내에서 자신감이 부족한 학생 등 대상 을 확대해 적용효과를 검증해 보는 것도 의의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둘째, 본 연구의 프로그램이 단기간에 학교 내에서 실시되었기 때문에 참가 학생들이 직업세계를 이해하는데 시간적인 여유와 체험이 다소 부족

하였다. 전일제 특별활동 시간을 이용하여 한 학년도 동안 장기간의 실시 시간을 갖고 직업세계를 직접 탐색 교육할 수 있는 현장체험학습의 기회를 제공한다면 이를 바탕으로 중학생들이 자기의 진로 선택이나 탐색․결정 등 전반적인 과정에서 자기 스스로 결정을 할 수 있는 독립성을 향상시키 는데 있어 보다 효과적인 진로교육이 기대되리라 본다.

참 고 문 헌

경기도 교육정보연구원(2002). .

권기화(2003).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권선만(1997). 대전진로교육, 대전

광역시교육연구원.

김봉환 외(2003). . 서울: 도서출판사 학지사.

김수자(1991).

.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신출(1994).

. 순천향대학교 지역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인섭(1994). 경북 교육연구원. p. 58

김충기(1983). 서울:평민사.

...(1986). 서울: 배영사.

...(1992). 서울: 배영사.

...(2000). . 서울: 교육과학사.

김현옥(1987). . 건국대학교 대

학원 박사학위논문.

박미숙(2001).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1998). . 서울: 하우동설.

서울특별시 교육연구원(1993). . 서울특별시 교육연구원.

서울특별시 교육과학연구원(1994). . 서울: 서울특별시 교육 연구원.

서헌희(2003). 국

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송병국(2002). 한국진로교

육학회, 제15권, 2, 1-22.

신봉호(1996).

순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송재홍, 천성문(1995). 진로발달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이론적 고찰. 인간이 해 16, 1-27.

안창규(1999). 진로발달 검사의 해석과 활용. 서울: 한국가이던스.

윤매리(1996). 경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윤은숙(2003).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금란(1999). 건

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기학 외(1997). 진로태도 측정도구의 타당화를 위한 도구. 진로교육연구, 8, 219-225

이재창(1986). 진로상담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교육연구소.

이재창, 조성연(2002). 인터넷을 활용한 진로발달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한 국진로교육학회, 제15권, 1.

이정근(1988). . 서울: 성원사.

이현자(2003).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진로성숙도의 관계. 국민 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장석민 외(1985).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장석민(1986).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장석민 외(1991). 진로성숙도 검사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서울: 한국교 육개발원.

...(1991). 진로성숙도 검사요강.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장현덕(1992). 진로탐색훈련이 대학생의 진로의식성숙에 미치는 효과. 계명대 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선화(2001). 진로인식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하생의 진로성숙에 미치는 효과.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채기(1991).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최영표 외(1987).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개발원(1986). 서

울: 한국교육개발원.

...(1995). .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홍기형 외(1983). 초․중학생의 직업성숙도 발달 특성 조사 연구. 서울: 한국 교육개발원.

황응연(1978). 서울: 배영사 ...(1984). 서울: 교육출판사.

Baily, LJ, & R. Stadt(1973). Career Education: New Approach to human development, Blooment, Bloomington, Ⅲ: Manight Publishing Co.

Crites, J. O.(1961). A model for the measurement of vocational maturity,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8, 255-259.

...(1971). The maturity of vocational attitude in adolescence, Inquiry Series, Monograph No 2. Washington, DC: APA.

Ginzberg, E. el al.(1951).

Occupational choice: An approach to a general theory

.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Ginzberg, E.(1972). Restatement of Theory of Occupational choice.

Vocational Guidance Quarterly, 20(3), 169-176.

Holland, J. L.(1985).

Making Vocational Choices: A theory of vocational personalities and work environments

. Englewood Cliffs, N. J,:

Prentice-Hall.

Hoyt, K. B.(1974). An Introduction to Career Education, Policy Paper of the U, S. Office of Education. Washington, DC: The Department of Health Education and Welfare.

Roe, A.(1957). Early Determinants of Vocational Choice.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 212-217.

Pietrofesa, J. J., Bernstein, B., Minor, J., & Stanford, S.(1980).

Guidance : An introduction

. Chicago: rand McNally.

Super, D. E.(l955).

The dimensions and measurement of Vocational maturity

. Teachers College Record, 57, 151-l63.

...(1960). The carrer maturity of Ninth grade boys. New York: Teacher's Colloge Bureau of Publication.

...(1975). The Psychology of Careers. New York: Harper &

Row

Tiedeman, D, V., & O'Hara, R. P(1963). Career Development: Choice and Adjustment New York: Collego Entrance Examination Board.

Tolbert, E. L.(1980). Counseling for career development(2nd ed), Boston: Houghton Mifflin.

ABSTRACT

The Effect of Career Education Program on the Career Matur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Park, Bok-Soon

Major in counselling psychology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okmin University

Advised by Prof. Rhee, Ki-Ju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areer education program on the career maturity of middle school student.

For this purpose, the concrete subjects are as follows.

First, would the career search program make a positive effect on the career maturity of middle school student?

Second, would the career search program make a positive effect on the attitude category of career maturity of middle school student?

Third, would the career search program make a positive effect on the ability category of career maturity of middle school student?

For verifying the subjects, we administered the test of career maturity to 108 third grade students in H middle school located in

Uijeongbu city of Kyunggi-do. Based on the result of career maturity test, we selected 20 students belonging to lower 30 percentage and then classified 10 students who want to participate in program as experimental group and other 10 students as control group.

In terms of test tool, we used the test of career maturity developed by Korean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 (1991). The counselling program is reconstructed with the reference to seven categories of career education by Korean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1994), the programs used by Seoul education & science development institute(1994), Kyonggi education information research center(2001) and Daegu education information research center(2000), and other previous studies, advised by an expert.

In terms of study procedure, we conducted the group counselling to experimental group twice a week (50 minutes per a time) which total to ten times for five weeks by means of presentation, discussion and expressing the impression through giving materials, lecture and writing.

We took no measures on control group. And then the post test of career maturity was taken both to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at an interval, on the day of completing the group counselling.

For verifying subjects, we statistically analyzed the data from pretest and post test by using t-test.

The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result of t-testing the total score of career maturity after conducting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t score is -7.40 which shows the meaningful difference on the level of p< .05.

Second, after conducting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t score of subcategory of attitude section, 'deciding quality' is -5.00, which shows the meaningful difference on the level of p< .05. that of subcategory of attitude section, 'planning quality' is -5.49 which show the meaningful improvement on the level of p< .05. Another subcategory, 'independence quality' shows no meaningful difference.

Third, after conducting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t score of subcategory of ability section, 'choosing job' is -2.31, which shows the meaningful difference on the level of p< .05. that of subcategory of ability section, 'decision making' is -5.25 which show the meaningful improvement on the level of p< .05. Another subcategory, 'understanding job field' shows no meaningful difference.

Accordingly,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have an effect on improving the career matur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부 록

부록1 진로탐색 프로그램

부록2 진로성숙도 검사지

부록 1

회기 주제 방법 및 절차 자료

회기 주제 방법 및 절차 자료

회기 주제 방법 및 절차 자료

회기 주제 방법 및 절차 자료

자료1

집단 안에서 지켜야 할 것

-♧ 빠짐없이 참여하며 시간 약속을 잘 지킨다.

♧ 다른 친구들의 이야기를 주의 깊게 듣는다.

♧ 친구들에게 최대한 솔직해진다.

♧ 집단 안에서 한 이야기에 대해서는 절대 비밀을 지킨다.

♧ 자신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노력하는 한편, 다른 친구들이 그들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최대한 돕는다.

♧ 과제는 최선을 다해 수행한다.

우리 집단에 모인 사람들은

-♡ 집단 활동 시간 중에 열심히,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 나 자신에 대해서 항상 무엇인가 할 수 있는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 나의 적성, 성격, 흥미 등 나에 관한 정보를 다양하게 수집한다.

♡ 내가 원하는 직업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구체적인 진로계획을 세운 다.

♡ 내 마음 속에 있는 느낌, 내가 하고 싶은 말을 정확하고 부드럽게 상대 방에게 전달하는 법을 배운다.

♡ 인생계획을 통해서 나의 미래를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목표달성을

♡ 인생계획을 통해서 나의 미래를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목표달성을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