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실험집단의 하위영역별 사전 - 사후검사 비교

Ⅳ. 결과 및 해석

4. 실험집단의 하위영역별 사전 - 사후검사 비교

가. 실험집단의 태도영역 하위요인별 사전-사후검사 비교

실험집단의 태도영역 하위요인별 사전-사후검사 비교는 표 7과 같다.

표 7 실험집단의 태도영역 하위요인별 사전-사후검사 비교

( )안은 표준편차

태 도 영 역 사전검사 평균 사후검사 평균 t

결 정 성 42.70(6.29) 52.70(5.33) -5.00* 독 립 성 42.90(11.61) 43.30(12.35) -.094 계 획 성 45.00(6.77) 55.40(4.40) -5.49*

*p < .05

표 7에서 진로성숙도 태도영역 하위요인 중 ‘결정성’의 사전검사 평균은 42.70(표준편차, 6.29), 사후검사 평균 52.70(표준편차, 5.33), t값은 -5.00으 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독립성’의 사전검사 평균은 42.90(표준편차, 11.61), 사후검사 평균은 43.30(표준편차, 12.35), t값은 -.09로 유의미한 차 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계획성’의 사전검사 평균은 45.00(표준편차, 6.77), 사후검사 평균은 55.40(표준편차, 4.40), t값은 -5.49로 p < .05수준에서 유 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적용이 중학생의 진 로성숙도 태도영역 하위요인인 계획성과 결정성의 평균을 향상시키는데 기

여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자신의 진로를 선택하기 위하여 다양한 자료와 정보를 활용하여 합리적으로 진로를 예측하는 정도가 높아졌다는 것과 성격, 적성, 흥미 등 자신의 특성을 고려하여 진로를 선택하고 결정하 는 정도가 높아졌다는 의미이다.

나. 실험집단의 능력영역 하위요인별 사전-사후검사 비교

실험집단의 능력영역 하위요인별 사전-사후검사 비교는 표 8과 같다.

표 8 실험집단의 능력영역 하위요인별 사전-사후검사 비교

( )안은 표준편차

능 력 영 역 사전검사 평균 사후검사 평균 t

직 업 세 계 42.20(11.54) 47.30(6.75) -1.89* 직 업 선 택 40.80(11.62) 47.70(5.50) -2.31* 의 사 결 정 41.30(5.91) 53.00(5.29) -5.25*

*p < .05

표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진로성숙도 능력영역 하위요인 중 ‘직업세계’의 사전검사 평균은 42.20(표준편차, 11.54), 사후검사 평균 47.30(표준편차, 6.75), t값은 -1.89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직업선택’의 사전검사 평 균은 40.80(표준편차, 11.62), 사후검사 평균 47.70(표준편차, 5.50), t값은 -2.31로 p < .05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의사결정’의 사전검 사 평균은 41.30(표준편차, 5.91), 사후검사 평균은 53.00(표준편차, 5.29), t

값은 -5.25로 p < .05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진로교 육 프로그램의 적용은 중학생의 진로성숙도 능력영역 하위요인인 직업세계 능력, 직업선택 능력, 의사결정 능력 모두에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직업에 대한 지식과 종합 정보를 높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자신의 적성, 흥미, 성격에 가장 적합한 직업을 선택하는 능력을 향상시켰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자기 자신에 관한 여러 요인들을 이해하고 일과 직업세계에 관한 올바른 이해와 지식을 바탕으로 진로와 관련된 의사결정 과정에서 발 생하는 여러 가지 갈등상황을 합리적으로 해결 할 수 있는 능력이 향상되 었다는 의미이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은 진 로성숙도 사후검사 결과 태도영역의 하위요인인 독립성에는 유의미한 차이 를 보이지 않았지만, 태도영역의 하위요인인 계획성, 결정성과 능력영역의 하위요인인 직업세계 능력, 직업선택 능력, 의사결정 능력 모두에는 유의미 한 차이를 보였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