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Ⅱ. 이론적 배경

1. 진로발달 이론

진로교육을 적용할 때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은 진로발달 과정에 대한 이해이 다(김충기, 2000).

진로발달과 그 과정에 있어서 가장 우리의 관심을 끄는 것은 왜 어떤 사람 은 어떤 특정한 진로를 택하게 되는가 하는 의문이다(이재창, 1986). 이것은 결국 진로결정에 대한 의문으로서 이 의문에 대한 대답을 얻기 위해 많은 사 람들이 노력해 왔는데 이러한 노력이 체계화 된 것이 바로 진로발달 이론이 다.

진로발달 이론은 학자에 따라서 다양하게 분류되고 있으나, 크게 다음의 두 가지 측면에서 설명될 수 있다(Pietrofesa, Bernstein, Minor, & Stanford, 1980). 첫째는 진로선택의 과정을 하나의 사건으로 성격화하려는 구조론적 입 장이고, 둘째는 진로선택을 개인의 전 생애를 통해서 발생하는 사건의 장기적 인 연속으로 성격화하려는 발달론적 입장이다(이재창, 조성연, 2002).

첫 번째 이론에는 특성요소이론, Roe(1957)와 Holland(1985) 등의 욕구이론 이 속하는데, 이들은 개인의 욕구와 흥미를 진로선택의 기초로 삼고 있다. 두 번 째 이론에는 Ginzberg(1951), Super(1955), Tiedeman과 O'Hara(1963) 등의 발달이론과 의사결정이론, 정신분석이론, 등이 속하는데 이들은 진로에

관한 자아개념과 발달적 측면을 강조한다(송재흥, 천성문, 1995).

이 중 본 연구에서 적용하고자 하는 발달론적 이론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 다.

(1) Ginzberg의 진로발달이론

Ginzberg(1951)의 진로발달이론의 중요한 요점은 직업선택이 한번에 순간 적으로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단계에 따라 발달하는 과정으로 이해하고, 진로 발달 단계를 환상기, 잠정기, 현실기 등 세 단계로 나누어 제시하고 있다(김충 기, 2000).

환상기는 11세 이전으로 직업선택의 문제에서 자신의 능력이나, 가능성, 현 실 여건 등을 고려하지 않고 욕구를 중시하는 시기이다. 잠정기는 대략 11세 에서 시작되어 17세에 끝나는 것으로 자신의 흥미나 취미에 따라 직업선택을 하려는 경향을 갖는다. 현실기는 17세 이후에서 성인 초기로 직업 선택이 이 루어지는 시기로 개인은 직업에 요구하는 조건과 자신의 개인적 욕구의 능력 등을 고려하여 현명한 선택을 하고자 한다.

Ginzberg(1972)는 그의 이론을 제시한지 약 20년 후에 이론의 일부를 수정 하였다. 그는 개인의 진로결정이 생의 어느 한 시기에 이루어지는 일회적인 것이라는 주장을 번복하고 개인의 진로선택은 생애단계에 따라 변화, 발달하 는 것이라고 하였다(장석민, 1986).

(2) Super의 진로발달이론

Super(1975)의 이론은 Ginzberg의 진로발달 이론에 대한 비판에서 출발하 여 Ginzberg이론의 미흡성을 비판하고 당시의 직업선택 및 직업발달에 대한 지식을 충분히 분석, 종합하여 보다 포괄적이고 발전된 이론을 정립하였다(이 정근, 1988).

Super 이론의 대표적 공헌점은 자아개념과 진로발달의 관계에 대한 규명이 라 할 수 있다(김충기, 2000).

개념적으로 진로성숙은 계속적인 일련의 생애단계 내에서 성공적으로 수행 한 발달적 과업을 통해 획득된다고 보고 개인의 직업발달단계를 전 생애 과정 을 통하여 5단계로 나누었다.

성장기는 출생에서 14세까지의 시기로서 이 시기에는 가정과 학교에서 중요 한 타인에 대해 동일시를 함으로써 자아개념을 발달시킨다고 보았다. 이 단계 의 초기에는 욕구와 환상이 지배적이지만 사회참여와 현실 검증력이 발달함에 따라 점차 흥미와 능력을 중시하게 되고, 다시 하위단계인 환상기(4-10세), 흥 미기(11-12세), 능력기(13-14)로 나뉜다고 하였다. 탐색기는 15세에서 24세까 지의 시기로서 이 시기에 개인은 학교활동, 여가활동 등을 통해 자아를 검증 하고 역할과 직업 탐색을 시도하며 다시 잠정기(15-17세), 전환기(18-21세), 시행기(22-24세)로 나뉘어진다. 확립기는 25세부터 44세까지의 시기로 이 시 기에 개인은 자신에게 적합한 분야를 발견해서 종사하고 생활의 터전을 잡으 려고 노력한다. 이 시기는 다시 시행기(25-30세), 안정기(31-44세)로 나뉘어진 다. 유지기는 45세부터 66세까지의 시기로 이 시기에 개인은 안정된 속에서

비교적 만족스런 삶을 살아가는 시기이며 쇠퇴기(65세 이후)는 개인의 내외적 기능이 쇠퇴하여 직업세계에서 은퇴를 하는 시기이다(김충기, 1986; 김현옥, 1987; 장현덕, 1992).

(3) Tiedeman과 O'Hara의 진로발달이론

Tiedeman과 O'Hara(1963)는 진로발달의 의미를 직업정체감을 형성해 가 는 과정으로 보았다. 새로운 경험을 쌓을수록 개인의 정체감은 발달되고 분화 와 통합의 과정을 거치면서 개인은 자아정체감을 형성해 가며, 이러한 자아정 체감은 직업정체감의 형성에 중요한 기초요인이 된다고 보았다. 이 이론에서 개인은 자신의 특성을 파악하고 자아를 실현시킬 수 있는 일이 무엇인가를 인 식하는 과정을 중시하며, 어떤 문제에 직면하거나 어떤 결정을 내려야 할 때 의사결정의 단계에 접어들게 된다고 한다. 이러한 단계들을 Tiedeman과 O'

Hara는 예상기와 실천기로 나누어 구분하고 있다.

예상기는 전직업기라고도 부르며 네 가지 하위단계인 탐색기, 구체화기, 선 택기, 명료화기로 구분한다. 실천기는 적응기라고도 하며, 이 단계는 앞에서 내린 잠정적 결정을 실천에 옮기는 과정으로 세 가지 하위단계인 순응기, 개 혁기, 통합기로 구분한다.

위에서 기술한 ‘탐색-구체화-선택-명료화-순응-개혁-통합’의 연속과정은 진 로선택 시에 거치게 되는 과정으로서 직업적 자아개념은 연령이 증가하고 경 험이 쌓일수록 발달하게 된다(김충기, 2000).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