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I. 서론

2. 연구의 목적

이 연구는 일반고 직업교육 위탁과정 학생의 학습된 무기력, 자기주도성, 전공 만족도 및 부모 진로지지와 취업포부의 관계에서 진로적응력의 매개효과를 구명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세부적인 연구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고 직업교육 위탁과정 학생의 학습된 무기력, 자기주도성,

전공만족도, 부모 진로지지, 진로적응력 및 취업포부의 수준을 구명한다.

둘째, 일반고 직업교육 위탁과정 학생의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취업포부의 차이를 구명한다.

셋째, 일반고 직업교육 위탁과정 학생의 학습된 무기력, 자기주도성, 전공만족도, 부모 진로지지 및 진로적응력이 취업포부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한다.

넷째, 일반고 직업교육 위탁과정 학생의 학습된 무기력, 자기주도성, 전공만족도 및 부모 진로지지와 취업포부의 관계에서 진로적응력의 매개효과를 구명한다.

3. 연구 문제

이 연구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일반고 직업교육 위탁과정 학생의 학습된 무기력, 자기주도성, 전공만족도, 부모 진로지지, 진로적응력 및 취업포부의 수준은 어떠한가?

1-1. 일반고 직업교육 위탁과정 학생의 학습된 무기력, 자기주도성, 전공만족도, 부모 진로지지, 진로적응력 및 취업포부의 수준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일반고 직업교육 위탁과정 학생의 인구통계학 변인에 따른 취업포부 수준의 차이는 어떠한가?

2-1. 일반고 직업교육 위탁과정 학생의 성별에 따른 취업포부 수준의 차이는 어떠한가?

2-2. 일반고 직업교육 위탁과정 학생의 위탁과정 선택주체에 따른 취업 포부 수준의 차이는 어떠한가?

2-3. 일반고 직업교육 위탁과정 학생의 위탁과정 기관 유형에 따른 취업포부 수준의 차이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3. 일반고 직업교육 위탁과정 학생의 학습된 무기력, 자기주도성, 전공만족도, 부모 진로지지 및 진로적응력과 취업포부의 관계는 어떠한가?

3-1. 일반고 직업교육 위탁과정 학생의 학습된 무기력이 취업포부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3-2. 일반고 직업교육 위탁과정 학생의 자기주도성이 취업포부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3-3. 일반고 직업교육 위탁과정 학생의 전공만족도가 취업포부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3-4. 일반고 직업교육 위탁과정 학생의 부모 진로지지가 취업포부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3-5. 일반고 직업교육 위탁과정 학생의 진로적응력이 취업포부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4. 일반고 직업교육 위탁과정 학생의 학습된 무기력, 자기주도성, 전 공만족도 및 부모 진로지지와 취업포부의 관계에서 진로적응력은 매개효과를 가지는가?

4-1. 일반고 직업교육 위탁과정 학생의 학습된 무기력과 취업포부의 관계에서 진로적응력은 매개효과를 가지는가?

4-2. 일반고 직업교육 위탁과정 학생의 자기주도성과 취업포부의 관계에서 진로적응력은 매개효과를 가지는가?

4-3. 일반고 직업교육 위탁과정 학생의 전공만족도와 취업포부의 관계에서 진로적응력은 매개효과를 가지는가?

4-4. 일반고 직업교육 위탁과정 학생의 부모 진로지지와 취업포부의 관계에서 진로적응력은 매개효과를 가지는가?

4. 용어의 정의

가. 일반고 직업교육 위탁과정 학생

일반고 직업교육 위탁과정이란 일반계 고등학교 2학년 학생 중 대학진학을 원 치 않고 직업교육을 희망하는 학생들이 산업정보학교, 공공직업능력 훈련기관 및 민간직업능력 훈련기관 등 위탁 교육기관에서 요구하는 입학절차를 거친 뒤 고등학교 3학년 1년간 위탁 교육기관으로 등교해 전공교과 및 직업교육을 받는 과정이다. 이 연구에서 일반고 직업교육 위탁과정 학생은 위와 같은 위탁과정에 현재 재학 중인 학생을 의미한다.

나. 취업포부(Employment aspirations)

취업포부란 취업을 하고자 하는 욕구와 직업에서 성취하고자 하는 바가 뚜렷 한지, 취업을 위한 구체적인 계획이 있는지, 취업문제를 헤쳐 나갈 각오를 지니 고 있는지와 같이 취업을 하고자하는 기대수준을 의미한다(이선민, 1994; 정선 정, 2014). 이 연구에서 취업포부는 일반고 직업교육 위탁과정 학생이 위탁과정 을 이수한 이후 자신의 전공계열로 취업을 희망하는 기대수준으로 정의하며, 이 선민(1994)의 도구에 응답한 점수를 의미한다.

다. 진로적응력(Career adaptability)

진로적응력이란 진로발달의 과정에서 원만한 진로전환을 위해 예측 가능한 과 제에 대한 준비도와 미래 직업 환경의 변화로 생길 수 있는 불확실한 상황에 대 처하는 능력을 의미한다(Savickas, 1997). 이 연구에서 진로적응력은 일반고 직업교육 위탁과정 학생이 아직 맞이하지 않은 미래를 염두에 두고, 현재 마주 한 진로상황에서 긍정적이고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태도 및 능력으로 정의하며, 정지은(2013)의 도구에 응답한 점수를 의미한다.

이 연구에서는 국내 선행연구에서 ‘career adaptability’를 진로적응성, 진

로적응, 진로유연성 등으로 번안해 혼용하고 있는 용어들을 진로적응력으로 일 관되게 명기하였다.

라. 학습된 무기력(Learned helplessness)

학습된 무기력이란 부정적인 결과나 고통스러운 자극을 피하기 위해 일련의 행동을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통제에 거듭 실패한 경험을 통해 더 이상 부정적인 상황을 통제하려는 노력 자체를 포기하는 현상을 의미한다(이명진, 봉미미, 2013). 이 연구에서 학습된 무기력은 일반고 직업교육 위탁과정 학생이 원적교 (본래 재학 중이던 일반고등학교)에서 경험한 학업 및 적응의 실패로 인해 위탁 과정에서 자신의 행동이나 노력으로는 앞으로 자신이 겪는 문제들을 바꿀 수 없 다고 자각할 때 느끼는 무기력으로 정의하며, 배정희(2008)의 도구에 응답한 점수를 의미한다.

마. 자기주도성(Proactive personality)

자기주도성이란 스스로 의도적이고 직접적으로 현재 자신이 처한 환경을 변화 시키고자 주도적으로 행동하는 기질적인 구성개념의 개인차를 의미한다(Bateman

& Crant, 1993). 이 연구에서 자기주도성은 일반고 직업교육 위탁과정 학생이 자신의 상황에서 상대적으로 구속받지 않고 자신이 처한 환경을 개선하고자 적극 적으로 행동하는 기질의 정도로 정의하며, 황애영, 탁진국(2011)의 도구에 응답 한 점수를 의미한다.

바. 전공만족도(Major satisfaction)

전공만족도란 개인이 설정한 진로나 직업에 대한 기대와 비교하여 현재 자신 이 소속한 전공을 평가하는 판단과정의 산물로 전공교과를 공부하면서 개인이 느끼는 주관적인 즐거움과 미래의 진로에 대한 긍정적인 사고가 결합되어 나타 나는 결과의 정도를 의미한다(김가영, 2018). 이 연구에서는 일반고 직업교육

위탁과정 학생이 현재 위탁기관에서 학습하고 있는 전공분야에 대한 포괄적인 만족도로 정의하며, 이동재(2004)의 도구에 응답한 점수를 의미한다.

사. 부모 진로지지(Career related parent support)

부모 진로지지란 부모로부터 제공되는 지지 중 진로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청 소년들의 관계 내 경험에 대해 자녀가 진로 목표에 도달할 수 있게 하는 적극적 인 지지를 자녀가 인식하는 정도를 의미한다(Young, 1944; 이경원, 2017). 이 연구에서 부모 진로지지는 일반고 직업교육 위탁과정 학생이 인식하는 평소 자 신의 부모님께서 자신의 진로에 대한 관심을 바탕으로 응원 및 지원을 제공해주 는 정도로 정의하며, 김판수(2014)의 도구에 응답한 점수를 의미한다.

5. 연구의 제한

이 연구가 갖는 제한은 첫째, 2018년 일반고 직업교육 위탁과정 참여자의 정 확한 수를 확인할 수 없어 2017년 일반고 직업교육 위탁과정에 참여하고 2018 년 2월에 이수한 총 이수자 수를 전체 모집단 수로 설정하고, 현재 위탁과정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비율 층화표집을 실시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의 결과는 실제 모집단의 속성 및 수치와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연구의 결과를 일반고 직업교육 위탁과정 학생 전체의 결과로 일반화하기 어려운 한계를 가지 고 있다. 둘째, 이 연구에서는 일반고 직업교육 위탁과정 이후 진로를 전문대학 진학 또는 취업으로 구분하지 않고 취업을 목적으로 하는 취업포부만을 질문하 였으므로 연구의 결과를 일반고 직업교육 위탁과정 학생 전체의 취업 기대수준 결과로 일반화하기 어려운 한계를 가지고 있다. 셋째, 일반고 직업교육 위탁과정 의 학사 일정이 반 이상 진행된 10월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기 때문에 원적교 의 경험에서 비롯한 학습된 무기력의 수준을 명확히 측정한 결과로 보기 어려운 한계를 가지고 있다.

구분 일반고 자율고 특목고 특성화고

학교 수 2,360 1,556 158 155 491

100% 65.9 6.7 6.6 20.8

학생 수 1,669,429 1,193,562 133,896 67,690 274,281

100% 71.5 8.0 4.1 16.4

자료: 교육통계서비스. (2017). http://kess.kedi.re.kr/index에서 자료 얻음.

<표 Ⅱ-1> 전국 고등학교 학교 및 학생 수

II. 이론적 배경

1.일반고 직업교육 위탁과정

가. 일반고 직업교육 위탁과정 개념 및 도입배경

1) 일반고 직업교육 위탁과정 개념

초⋅중등교육법 제45조에 따르면 고등학교는 “중학교에서 받은 교육의 기초 위에 중등교육 및 기초적인 전문교육을 목적으로 한다.”라고 명시하고 있다(법 제처, 2012). 고등학교는 크게 일반고등학교, 특수목적고등학교, 특성화고등학 교, 자율고등학교로 구분할 수 있고, 인문계와 실업계를 한 학교에 병치하는 종

초⋅중등교육법 제45조에 따르면 고등학교는 “중학교에서 받은 교육의 기초 위에 중등교육 및 기초적인 전문교육을 목적으로 한다.”라고 명시하고 있다(법 제처, 2012). 고등학교는 크게 일반고등학교, 특수목적고등학교, 특성화고등학 교, 자율고등학교로 구분할 수 있고, 인문계와 실업계를 한 학교에 병치하는 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