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지역별 농업생산 전망

문서에서 세계농업 (페이지 31-36)

1. 생산

1.2. 지역별 농업생산 전망

농업생산의 확대는 지역별로 상이한 모습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며

,

특히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 지역과 아시아 지역의 농업생산 증가율이 가장 클 것으로 전망된다

<

그림

1>.

선진국은 농업생산 증가율이 낮을 것으로 보이며 특히 서유럽은 농수산물 생산 성장률이

전망기간 동안

3%

에 그칠 것으로 예상된다

.

<그림 1> 지역별 농수산물 생산 전망

10억 달러 % 1,800

1,600 1,400 1,200 1,000 800 600 400 200 0

35 30 25 20 15 10 5 사하라 사막 0

이남 아프리카 아시아 중동 및

북아프리카 아메리카 동유럽 및

중앙아시아 오세아니아 서유럽

2015-17 2027 ◆ 2015-17년 대비 2027년 농수산물 생산 증가율 자료: OECD/FAO(2018).

1.2.1.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 지역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 지역이 세계 인구의

13%

와 농지면적의 약

20%

를 차지함에도 불구하고 이 지역이 세계 농업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다

.

불리한 농업관련 자연 조건

,

제한된 기술 접근성 및 사용

,

그리고 많은 경우 인구성장률을 약간 웃도는 수준의 경제성장률 등은 농업생산 증대를 제약하는 요인이다

.

그러나 향후

10

년 간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 지역의 농업생산은 견고한 성장세가 예상된다

.

곡물류의 생산은

30%

성장할 것으로 기대되며 육류

,

낙농품 및 수산물 생산은 각각

25%, 25%, 12%

씩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

이러한 생산 증가와 함께 옥수수

,

대두

,

사탕수수의 경우 생산 면적 확대와 생산성의 증가도 함께 이루어질 것이다

.

이렇듯 빠른 성장세가 예상됨에도 불구하고

,

농업생산이 수요 증가에 미치지 못함에 따라 해당 지역의 식량안보는 여전히 국제시장에 의존적인 상황이 될 것으로 보인다

.

다만

,

일부 품목의 경우 아프리카 국가가 주변 국가에 대한 지역 내 공급자 역할을 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

예를 들어

,

잠비아는 생산한 옥수수의 일부 물량을 계속 수출할 것으로 보이며 서아프리카 국가들은 팜유부문의 성장에 주력하고 있다

.

최근 발생한 조밤나방

(farm armyworm)

과 같이 새로운 위기의 발생은 전술한 전망을 위협할 수 있다

.

밤나무유충은 총

28

개 국가에 피해를 입혔으며 이에 따라 해당지역의 옥수 수

,

,

수수 등의 생산과 식량안보에 심각한 영향을 미친 바 있다

.

1.2.2. 아시아 지역1)

아시아 지역은 여러 농산물의 주요 생산지역으로 세계 곡물 생산량의

40%(

쌀의 경우 약

90%)

와 육류 생산량의 약

40%

를 생산하고 있으며 세계 식물성 유지 생산량의 경우

50%

이상

,

어류 생산의 약

70%

를 공급한다

.

지속가능한 생산을 위해 일부 생산량을 감소시킬 필요가 있으나 아시아 지역의 생산량은 전망기간 동안

17%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

전체적으로 단수의 증가가 농산물 생산 증가를 이끌어 갈 것으로 예상되며

,

구체적으로 밀

,

옥수수 및 쌀

,

면화

,

그리고 대두의 단수는 각각

10%, 12%, 15%, 20%

씩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

특히 생산과 정보기술에 대한 투자 확대에 따라 인도의 유지종자

(oilseed)

단수가

1) 아시아 지역은 중국, 인도, 일본, 한국, 그리고 동남아 국가를 포함함.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

아시아지역은 육류와 유제품의 주요 생산자로

2027

년 전 세계 생산량의 각각

39%

44%

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

중국

,

인도 및 태국이 가금육과 양고기 생산을 증가시킬 것으로 보이나

,

돼지고기의 경우 중국의 생산량 감소에 따라 아시아지역의 돼지고기 생산은 보다 완만한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

어류 생산 또한 중국이 지속가능한 생산방식을 도입함에 따라 향후 생산량을 줄일 계획에도 불구하고 전망기간 동안

15%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

중국은 바이오연료 생산 증가에도 기여할 것으로 보이며

2027

년에는

110

억 리터를 생산 하여 세계 

3

위 에탄올 생산국에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

그러나 이 예상치는 중국의

E10

정책

(

휘발유에 에탄올

10%

첨가를 의무화하는 정책

)

을 고려하지 않은 것으로 해당 정책을 고려할 경우 중국의 에탄올 생산량은

290

억 리터까지 증가할 수 있다

.

중국 외에도 태국은

2027

32

억 리터를 생산하여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이며 바이오디젤의 경우 인도네시아

(2027

43

억 리터 생산전망

)

가 아시아지역 내 주요 생산자 역할을 유지할 것이다

.

1.2.3. 중동 및 북아프리카 지역

중동 및 북아프리카 지역은 전통적으로 곡물 생산에 불리한 자연 조건과 정치적 불안정으 로 인해 농업부문의 성장이 제한적이었다

.

그러나 향후

10

년 간 경제성장세가 개선됨에 따라 농수산물 생산은

2027

년까지

16%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

해당 지역 내에 물과 경작 가능한 농지 면적이 부족하여 생산성 향상이 생산량 증가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

육류 및 낙농품 생산은 주로 이란과 이집트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가금육이 주로 생산된 다

.

또한 우유

,

옥수수 및 유지종자의 생산은 지난

10

년에 비해 보다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

그러나 여러 생산 제약으로 인해 중동 및 북아프리카 지역은 주요 품목에 대해 여전히 수입량이 수출량을 초과하는 순수입국에 놓여있을 것으로 보인다

.

1.2.4. 아메리카 지역

아메리카 지역은 아시아 지역과 함께 대부분 품목의 주요 생산자 역할을 하고 있다

.

아메 리카 지역은 전 세계 대두 생산의 약

90%

를 차지하며 옥수수

(52%)

를 포함한 곡물류의 세계

생산량 대비 비율도

28%

에 달한다

.

또한 단백질 식품

(41%),

설탕

(39%),

바이오디젤

(42%)

등 고부가가치 농식품의 생산 비율도 높은 편이다

.

아메리카 지역의 곡물류 생산은 경지면적 증가 등에 따라

2027

년까지

14%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

브라질의 설탕 생산은 연작 규제

(replanting setbacks)

및 설탕과 사탕수수 기반 에탄올의 생산 대체관계에도 불구하고 매년

1.9%

씩 증가할 것으로 보이며

,

이러한 성장세에 따라 아메리카 지역의 설탕 생산 역시 매년

1.8%

씩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

에탄올 생산의 경우

,

브라질의 생산량이 매년

1.5%

씩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

아시아 지역의 생산 확대 로 인해 세계 시장점유율은

90%

에서

88%

로 일부 감소할 것으로 분석된다

.

미국과 브라질은 주요 대두 생산국으로서의 지위를 유지하며

,

생산된 대두는 지역 내 낙농품 생산과 글로벌 단백질 식품 및 식물성 유지 공급의 투입재로 이용될 것이다

.

이러한 흐름 속에서 콜롬비아는 전망기간 동안 식물성 유지의 순수출국이 될 것으로 보이며 파라과 이는 브라질과 같이 대두 생산을 확대하고 유지종자 파쇄를 늘릴 것으로 전망된다

.

1.2.5. 동유럽 및 중앙아시아 지역2)

동유럽 및 중앙아시아 지역은 지난

10

년 간 전반적인 경기 회복과 농업부문 현대화에 대한 투자로 인해 빠른 성장을 기록하였다

.

이러한 성장세는 전망기간인

2027

년까지 이어져 이 지역의 농수산물 생산은

14%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

세계

2

번째 밀 생산지역인 동유럽 및 중앙아시아 지역은

2027

년 세계 시장점유율을 약

22%

까지 늘릴 것으로 전망된다

.

옥수수 생산 또한 전망기간 동안

17%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 나 세계 시장점유율은 상대적으로 낮은

6%

미만이 될 것으로 보인다

.

이외에도 해바라기 및 유채 생산 면적이 확대됨에 따라 시장점유율이

2027

25%

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

이러한 품목의 생산 확대는 러시아연방 국가의 생산면적 확대와 이외 지역의 생산성 개선에 기인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

육류와 낙농품 생산을 포함한 축산의 경우 목초지 확대와 함께 생산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

육류 생산은 러시아연방의 낮은 증가율에도 불구하고 전체 지역을 기준으로

2027

년까지

16%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

특히 터키는 육류에 대한 자급정책에 따라 소고기

,

2) 중앙아시아는 러시아연방, 우크라이나, 카자흐스탄, 터키 등 주요 농업 생산국을 포함함.

양고기 및 가금육의 생산이 증가할 전망이다

.

낙농품의 경우 우유 생산이 연간

1.1%

씩 성장할 것으로 보이며 유제품 가공은 주로 치즈 생산에 집중되어 연평균

1.7%

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

한편

,

러시아의 낙농품 생산은 지난

10

년간의 흐름이 이어져 향후 전망기간 동안에도 큰 변화가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

1.2.6. 오세아니아 지역

오세아니아 지역은 육류

,

유제품 및 곡물의 순수출 지역이자 주요 생산지역 중 하나이다

.

주요 품목에 대한 오세아니아 지역의 농업생산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나 지난

10

년에 비해 그 성장세는 일부 둔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

호주와 뉴질랜드 양고기의 세계 시장점유율은 생산성의 개선에도 불구하고 개도국의 생 산 확대에 따라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

또한 토지 제약과 환경 규제 강화로 인해 뉴질랜드 의 우유 생산 증가율은 지난

10

년 간 연평균

3.3%

에서

1.5%

로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

식물성 유지의 연간 성장률은

2.2%

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며 특히 니치마켓 상품으로 코코넛오일 생산이 두드러질 것으로 보인다

.

면화의 경우 재배면적이

16%

증가함에 따라 생산규모도 확대될 전망이다

.

특히 호주는

GM

면화 도입에 힘입어 면화 생산이

2027

년까지

23%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

1.2.7. 서유럽 지역3)

서유럽 지역은 보리

,

귀리 및 호밀 등의 조곡

,

기타 유지종자

(

해바라기 및 유채

),

,

우유

,

그리고 육류의 주요 생산지역이다

.

그러나 향후

10

년 간 해당 품목에 대한 세계 시장점유율은 다른 국가 및 지역의 빠른 성장세로 인해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

이러한 감소세는 특히 바이오디젤에 대해 두드러질 것으로 보이며 세계 시장점유율은

40%

에서

34%

로 감소할 전망 이다

.

시장점유율의 하락에도 서유럽 지역은 바이오디젤의 주요 생산 지역으로서의 지위를 유지할 것으로 보이나 바이오디젤 혼합의무가 완화될 경우 생산이 급격하게 감소할 수 있다

.

서유럽 지역의 총 농수산물 생산은 여러 지역 중 가장 느리게 확대되어

2027

년까지

3%

증가에 그칠 것으로 예상된다

.

그러나 낮은 성장세에도 불구하고 해당 지역의 높은 생산성으

3) 서유럽 지역은 EU, 스위스 및 노르웨이 등을 포함함.

문서에서 세계농업 (페이지 31-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