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가격

문서에서 세계농업 (페이지 36-40)

OECD-FAO

농업전망은 미국 걸프포트 및 방콕 등 주요 시장의 품목별 거래 가격을 국제

기준가격으로 사용하며 해당 가격에 대한 전망을 제공한다

.

단기 가격 전망은 가뭄 및 정책 변화 등 최근에 발생한 시장 상황의 영향을 받으며 이후 전망기간은 기초 수급여건에 의해

좌우된다

.

곡물류

,

유지종자

,

낙농품

,

그리고 육류 등 서로 다른 품목 그룹 간 가격은 상관성이 매우 높으며

,

향후

10

년간 주요 품목 그룹의 실질가격은 하락할 것으로 예상된다

.

이는 곡물 및 유지종자의 실질가격의 경우

2006-08

년 고점 대비 낮게 형성되며

,

육류와 유제품의

가격은

2013-14

년 가격 대비 하락할 것임을 나타낸다

.

아래

<

그림

3>

은 품목별 연평균 실질가격 변화 전망을 나타낸다

.

전반적으로 대부분의 품목의 실질가격이 하락세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나

,

탈지분유의 실질가격은 연평균

1%

상승하며 전지분유의 실질가격 또한 약간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

전반적인 실질가격 하락 은 주로 향후 전망기간 동안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생산성 증가가 가격 하락에 대한 압력요소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

<그림 3> 품목별 연평균 실질가격 변화, 2018-27년

% 2.0 1.0 0.0 -1.0 -2.0 -3.0

자료: OECD/FAO(2018).

2.1.

가격 민감도

농산물 가격은 수요와 공급이 상대적으로 비탄력적임에 따라 가격 변화가 심한 편이다

.

이는 전망기간 중 발생할 수 있는 단기적 충격이나 불확실성이 가격에 미치는 영향이 소비나 생산에 대한 효과에 비해 크게 나타날 수 있음을 의미한다

.

이러한 불확실성을 반영하기 위해 부분적 확률분석

(stochastic analysis)

를 실시하였으며

,

유가

,

경제성장률

,

환율 등 여러 거시변수에 대한

1,000

개의 상이한 시나리오를 설정하였다

.

이러한 시나리오 분석을 통해

OECD-FAO

농업전망의 민감도를 확인할 수 있다

.

확률분석에 활용된 변동성은 과거의 변동성을 기준으로 한다

.

따라서 과거에 발생한 사건 보다 극단적인 변동성은 확률분석에서 반영되지 않았다

.

또한 농산물시장에 영향을 미칠

<그림 4> 일부 품목에 대한 실질가격 민감도 분석 결과

단위: 달러/톤

90% 신뢰구간 기준 전망치

90% 신뢰구간 기준 전망치 800

700 600 500 400 300 300 200 100 0

350 300 250 200 150 100 50 0

2008 2011 2014 2017 2020 2023 2026 2008 2011 2014 2017 2020 2023 2026

90% 신뢰구간 소고기 기준 전망치 돼지고기

90% 신뢰구간 기준 전망치 6000

5000 4000 3000 2000 1000 0

3500 3000 2500 2000 1500 1000 500 0

2008 2011 2014 2017 2020 2023 2026 2008 2011 2014 2017 2020 2023 2026 에탄올

90% 신뢰구간 기준 전망치 바이오디젤

90% 신뢰구간 기준 전망치 80

70 60 50 40 30 30 20 10 0

140 120 100 80 60 40 20 0

2008 2011 2014 2017 2020 2023 2026 2008 2011 2014 2017 2020 2023 2026 자료: OECD/FAO(2018).

수 있는 모든 변수

,

가령 가축질병에 따른 불확실성 등을 반영하지 못했다는 측면에서 해당 분석은 부분 확률분석이다

.

<

그림

4>

는 일부 품목에 대한 분석결과를 나타낸다

.

전망 가격

(projected price)

의 민감도 는

90%

신뢰구간으로 표시하였다

.

이는 확률분석에 따른 전망 가격의

90%

가 해당 구간에 포함됨을 나타낸다

.

분석 결과

,

곡물류에서는 쌀의 가격 민감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 며 이는 쌀 생산이 상대적으로 기후 조건에 영향을 덜 받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

한편 바이오연료의 가격 민감도가 가장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

이는 생산뿐만 아니라 수요 측면에 서의 불확실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데 기인한다

.

전반적으로 가격 상승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가 더 많을수록 가격 민감도는 비대칭적인 경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2.2. FAO

식량가격지수 전망

1996

년 도입된

FAO

식량가격지수는

2002-04

5

개 품목그룹별 평균 수출 비율을 가중치 로 한 명목가격 동향을 보여준다

. OECD-FAO

농업전망에서 사용된 가정들을 사용하여

FAO

식량가격지수 변화를 추정한 결과 명목가격은 향후

10

년 간 연평균

0.7%

씩 증가하는 데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하지만 실질가격을 기준으로 할 경우 가격지수가 감소하는 것으로 전망된다

.

명목 및 실질 가격지수 모두

2000

년대 초반 수준보다 높게 형성될 것으로 예상되 나

2008

년과

2014

년 고점에 비해서는 낮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

<그림 5> FAO 식량가격지수 전망

지수 2002-04년 = 100 250

200 150 100 50 0

1990 1992 1994 1996 1998 2000 2002 2004 2006 2008 2010 2012 2014 2016 2018 2020 2022 2024 2026 FAO 식량가격지수(명목기준) FAO 식량가격지수(실질기준)

주: FAO 식량가격지수(실질기준)은 FAO 식량가격지수를 미국 GDP 디플레이터로 나누어 계산하였음.

자료: OECD/FAO(2018).

문서에서 세계농업 (페이지 36-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