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중동 및 북아프리카의 농업자원 이용 현황

문서에서 세계농업 (페이지 47-51)

중동 및 북아프리카의 농업 환경은 물과 토지의 부족

,

바람과 물의 침식작용에 따른 토지 의 노후화

,

기후 변화로 인한 사막화 심화 등 매우 열악한 조건을 가지고 있다

.

2.1.

경작 면적 및 토지생산성

중동 및 북아프리카의 농경지 및 목초지는 총 국토면적의

1/3

이고 나머지 면적은 도시 또는 사막이다

.

또한 목초지를 뺀 경작 가능 토지는

5%

에 불과하다

.

건조한 기후로 농경지의

40%

는 관개

(irrigation)

가 필요하고

, 4%

만 관개 없이 곡물 재배가 가능하다

.

바람과 물의 침식작용에 의해 경작 가능한 토지 부족현상이 심화되는 한편 관개 토양의 염분 농도가 상승하는 문제점도 있다

.

이 지역의 염분에 의한 농업 생산성 손실은 연간 총

10

억 달러로 추정된다

.

중동 및 북아프리카의 토지 단위 면적 당 생산액은 사하라사막 이남 지역 다음으로 낮다

.

중동 및 북아프리카의 이집트와 바레인 등은 상대적으로 풍부한 토지와 관개시설로

1ha

당 각각

6

천 달러

, 4

천 달러의 높은 생산성을 보이는 반면

,

요르단

,

레바논

,

팔레스타인

,

쿠웨이트 등 국가는

1ha

당 약

1

천 달러의 농산물을 생산하는데 그치고 있다

.

<표 1> 세계 지역별 농경지 단위 면적 당 생산액 추이

단위: 10 달러/1ha, 1년 구분 1960년대 1970년대 1980년대 1990년대 2001~2014

세계 평균 189 234 286 334 449

서유럽 1,284 1,541 1,810 1,878 1,962

북아메리카 261 326 375 449 540

동아시아 209 269 364 518 829

라틴아메리카 및 카리브해 138 169 213 258 373

사하라사막 이남의 아프리카 55 67 79 104 146

중동 및 북아프리카 85 111 142 162 226

주: 단위는 2004~2006년을 고정금리로 연평균 1ha당 10 달러임.

자료: OECD/FAO(2018).

중동 및 북아프리카의

1970

년대 토지 단위 면적당 생산액은 다른 개발도상국과 비교했을 때

,

증가율이 컸으나 이후에는 개발도상국 가운데 가장 낮은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

.

원예작물인 오렌지

,

토마토의 단위 면적당 생산량인 토지생산성은 세계 평균보다 높으나

,

온대작물인 밀과 유지작물의 생산성은 낮은 수준이다

.

국가별

,

작물별 토지생산성은 물과 비료 등 투입 요소에 따라 달라지는데

,

특히 이집트

,

사우디아라비아

,

오만 등은 상대적으로 풍부한 수자원과 비료 투입으로

1ha

3

톤 이상의 밀을 생산하고 있다

.

중동 및 북아프리카의 원예작물과 곡물의 생산량은 면적 확대와 토지생산성 증가에 따라 증가하나 유지작물은 생산성과 생산량이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

중동 및 북아프리카의 농장은 규모가 작고 전문화가 부족한 실정이다

.

풍부한 노동력을 바탕으로 노동집약적인 원예작물에 비교우위를 갖지만 새로운 기술과 자본 투자 능력이 부족한 한계가 있다

.

상대적으로 곡물은 저투입

,

저수익 작물이므로 이 지역의 소규모 생산 자들은 원예작물과 곡물을 함께 생산하여 위험을 분산시키는 전략을 사용하고 있다

.

<표 2> 세계와 중동 및 북아프리카 작물별 토지생산성 증감률 (1971~2016년, 전년 대비 평균 변화율)

단위: %

구분 오렌지 토마토 유지작물

세계 평균

생산량 2.3 3.5 1.7 4.4

단위당 생산량 0.4 1.4 1.7 2.2

면적 1.9 2.1 0.1 2,2

중동 및 북아프리카

생산량 3.1 4.2 2.4 -1.0

단위당 생산량 0.6 2.5 2.2 -1.2

면적 2.5 1.6 0.2 0.2

자료: OECD/FAO(2018).

2.2.

농업용 수자원

중동 및 북아프리카 지역의 물 부족 문제는 매우 심각한 현안이며 이로 인해 장기적으로 지하수 고갈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 FAO

에 따르면 이 지역 절반 이상의 국가는

2014

년에 재생 가능한 수자원

(renewable water resources)

1)보다 많은 담수를 사용했다

.

이는 수자원 생산성이 세계 절반 수준으로 낮을 뿐만 아니라

(World Bank 2018)

세계 최저 수준인 수도세 와 물 소비량에

GDP

의 약

2%

에 달하는 보조금을 지급하기 때문이다

.

중동 및 북아프리카 국가 대부분의 연간

1

인당 이용 가능한 수자원 양은

1,000

㎥ 이하이다

.

물은 농업의 주요 자원으로 수자원의 관리는 토양 황폐화를 막고 기후 변화에 적응하는 데 중요한 요소이다

.

수자원의 생산성은 중동 및 북아프리카 지역 농업의 주요 이슈 중 하나이며 다음 두 가지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

첫째

,

물리적 수자원 생산성은 사용된 물의 단위당 농산물 생산량으로 계산된다

.

작물별 물리적 수자원 생산성은 채소와 과일이 높고 곡물과 축산물 등은 낮다

.

토양의 비옥도

,

병해충

,

재배 기술 및 재배 시기 등을 보다 더 적절히 관리할 경우 물리적 수자원 생산성은 높아질 수 있다

.

둘째

,

경제적 수자원 생산성 은 사용된 물의 단위당 생산액으로 계산된다

.

중동 및 북아프리카의 경제적 수자원 생산성은 토마토

,

양파

,

사과

,

감자

,

올리브

,

대추

,

렌틸콩

,

곡물

,

소고기 순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다

.

따라서 중동 및 북아프리카의 경우 과일 및 채소를 생산할 때 다른 작물보다 적은 양의

1) 재생가능한 수자원(renewable water resources)은 강우에 따른 지표수와 지하수의 이용가능한 수자원의 양을 계산한 것 임(FAO 2003).

물로 더 많은 수익을 얻고 있다

.

농축산물 생산에는 물 이외에도 다양한 투입요소가 필요한 데 이용 가능한 토지 유형

(

목초지 또는 경작지

)

과 농장 위치

(

수자원 이용 방식

),

경영주의 위험에 대한 태도 등이 생산 품목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다

.

<표 3> 중동 및 북아프리카 주요 농축산물의 수자원 생산성 비교

품목

물리적인 수자원 생산성 (중간값, kg/)

중동 및 북아프리카의 평균 생산자가격 (‘10~’16, US$/kg)

경제적인 수자원 생산성 (평균값, US$/)

(1) (2) (1)*(2)=(3)

토마토 12.5 0.40 4.98

양파 6.5 0.42 2.76

사과 3.0 0.88 2.64

감자 5.0 0.45 2.23

올리브 2.0 0.90 1.80

렌틸콩 0.7 1.17 0.82

대추 0.6 1.33 0.80

0.6 0.98 0.54

옥수수 1.2 0.45 0.51

0.9 0.59 0.51

육류 0.1 7.48 0.49

0.7 0.51 0.33

땅콩 0.3 1.33 0.33

주: 물리적인 수자원 생산성은 중동 및 북아프리카 국가별 생산성의 중간 값이고 평균 생산자가격은 작물별, 국가별 평균가격임.

자료: OECD/FAO(2018).

2.3.

기후변화와 농업생산성

중동 및 북아프리카 지역의 기후 변화는 세계적 추세와 같이 농업의 위협요인이 되고 있다

.

이 지역은 지하수 고갈과 빈번한 가뭄으로 물 부족을 겪고 있으며 지난 세기 동안 평균 기온은

0.5

℃ 상승했다

.

특히 중동 및 북아프리카 서부 지역은 강수량 감소와 온도 상승폭이 상대적으로 커 더 뜨겁고 건조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

기온 상승과 강수량 감소는 지표수 손실을 가속화하고 가뭄 또한 빈번해질 것으로 예측된다

.

중동 및 북아프리카의 농산물 생산성은 기후 변화 등에 따라 이전보다 감소하고 있으며 세기말까지 총 농업 생산량 은

2000

년 대비

21%

까지 하락할 것으로 전망된다

.

<그림 2> 중동 및 북아프리카의 농장 규모(1996~2003년)

%

1ha 1~2ha 2~5ha 5~10a

10~20a 20~50a 50ha 자료: OECD/FAO(2018).

여름철 우기인 예멘의 경우 평균 기온이

2

℃ 상승할 때 작물의 재배기간은 약

6

주까지 지연될 것으로 예상된다

.

기온 상승의 영향으로 지역에 따라 겨울철 작물 재배의 생산성이 높아지거나 또는 강수량이 많아 생산성이 높아지는 한편

,

홍수 빈도가 증가할 가능성도 있다

.

향후 중동 및 북아프리카의 평균 기온은 대부분 상승하겠지만 강우량은 국가별로 차이를 보일 수 있다

.

이러한 기후변화가 농업에 미치는 영향은 농업 방식과 정책 등에 따라 다르며 적절한 대응으로 극복해 나갈 수 있지만 그렇지 못할 경우 도태되는 지역 또는 농가가 발생할 것으로 전망된다

.

문서에서 세계농업 (페이지 47-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