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지도교사 및 지도방법 분석

Ⅳ. 고등학교 디자인 교육의 실태조사 분석

1. 지도교사 및 지도방법 분석

교육과정에서 무엇을 강조하느냐에 따라 청소년의 성장되는 인간성이 달라지며, 학습환경․학습교재를 어떻게 갖추고, 교사 - 학습활동을 어떻게 전개하느냐에 따 라 학습의 질과 그 성과가 달라진다. 그렇기 때문에 교사는 전문가로서의 교육의 실질을 결정하는 최대의 중요한 지도자로 생각 되어져야 한다.

첫째로, 교사의 중요함을 바탕으로 광역시를 중심으로 고등학교를 대상으 로 미술교과중 디자인영역의 교육에 대한 미술교사들에게 설문조사를 실시 하였다. 교사용 설문지 70부를 배포하여 무응답과 성의없는 설문지를 제외 한 남자교사 42명과 여자교사 25명의 67부를 성별구분없이 분석하여 디자 인 교육시 문제점을 찾아 보았다.

(1) 미술지도교사 분석

<표6> “선생님의 교직경력은?”에서는 미술지도 교사의 교직경력을 알아보기 위 한 질문에서 11~15년이 38.8%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16~20년의 26.8% , 5 년 이하는 8.9% , 20년 이상은 7.4%로 경력이 20년 이상 지도한 교사가 가장 적었 다.

11~15년 경력의 교사가 가장 많이 있지만 오랜 세월이 흐르는 동안 특히 디자인 영역은 계속 변했기 때문에 경력이 많은 교사들이 디자인 교육의 재 교육은 꼭 필 요하다고 생각한다.

<표7> “선생님께서 전공하신 미술교과의 분야는?”에서는 미술교육을 전공한 교 사가 50.7%으로 가장 많았지만 미술교육에서도 서양화를 부전공으로 택한 교사가 34명중 29명으로 가장 많았다. 디자인 전공은 겨우 5.9%에 불과 했다. 다음으로 서 양화 전공 23.8% , 조소 전공 8.9% , 동양화 전공 5.9% , 공예를 전공한 교사가 가 장 적은 2.9%의 순서로 나타났다. 디자인과 공예를 공통 영역으로 보다도 10%로도 되지 않는 적은 수치이다. 그리고 기타 1명은 서예를 전공한 교사였다. 이 처럼 순 수회화분야로 교사의 전공이 편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현재의 시대적 흐름은 디자인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지만, 위의 결과로 알 수 있 듯이 전공교사의 부족으로 청소년기의 학생들의 디자인에 대한 다양한 흥미와 호 기심을 위해 디자인 분야의 교사가 확대되어야 한다.

(2) 미술교육 중 디자인 영역 분석

과학․기술․문화의 발전을 계기로 현대인의 지성적 인간 정신만을 가치로운 것 으로 인식하고, 정의적인간 정신은 소외시 하기에 이르렀다. 하지만 미술교육 중 디자인 영역은 기본적인 창조성과 다양함으로 정의적 감정에 보탬이 될 수 있다.

이조사는 디자인의 중요함을 미술교사로서 얼마나 알고 있는지와 필요를 재인식 해야하기 때문이다.

<표8> “미술과 학습에서 앞으로 디자인 영역에 대한 전망은 어떨 것이라 보십니 까?”에서는 현실에서 디자인의 중요함이 확대되고, 일반인들도 관심을 갖는 것과 마찬가지로, 미술교육 중 디자인영역이 확대될 것이다 43.2%로 가장 많았다. 그리 고 디자인 영역이 현재와 같이 유지 될 것이다 43.2%로 나타났다. 그리고 점차 영 역이 축소될 것이다2.9% , 모르겠다1.4% , 기타2.9% 였다. 하지만 교사들은 확대될 것이다에 많은 답변으로 디자인의 중요함을 알고 있는 것 같다.

<표9> “디자인 교육의 중요성은 어디에 두어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에서는 디 자인의 가장 중요부문이 창의성에서 56.7%로 과반수가 넘었다. 미의 요소도 중요 하지만 실용에 따른 창의적인 요소가 강조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실용성 28.3% , 경제성11.9% , 심미성1.4% , 기타1.4% 순으로 나왔지만 경제성의 11.9%의 8명은 모두 남자 교사답변이었다.

디자인의 5대 조건은 합목적성, 심미성, 경제성, 독창성, 질서성 모두 중요한 부분 으로 강조해야 바람직하다. 하지만 일반 학생들에게 다양한 흥미와 소질을 발견할 수 있도록 창의성이 강조되고 있음을 위의 결과로 알 수 있다.

<표10> “디자인영역에서는 어느 부분을 중점 지도하십니까?” 에서는 미술교육 전공으로 기초 디자인43.2% 와 시각 디자인 37.3%이 기초 영역의 수업이 가장 많 았다. 디자인의 일반적인 요소로 기초 디자인과 시각 디자인 수업에 중점을 두는 것 같다.

전문적인 요소가 많이 포함된 공예 디자인 13.4% , 공업 디자인 4.4% , 환경 디자 인 1.4%는 거의 응답이 없었다. 비전공 교사가 쉽게 가르칠수 있는 기초 디자인 영역과 미술 교과서에서는 시각디자인 부분이 설명이 잘 되어있어서 많은 답변이 나왔다. 교육적으로 학생들이 실천하기 힘든 심리적, 시간, 물질적, 공간적(실습을 위한 재료와 자료준비)등, 어려움이 따르는 환경 디자인, 공업 디자인은 이론적 설 명에 그칠 수밖에 없어서 일 것이다.

<표11> “디자인 교육 중 가장 어려운 점은?”에서는 가장 불만은 역시 입시 위주 중심에서 나타난 배당시간의 부족 40.2%로 고등학교 미술교사라면 누구나 마찬가 지 경험으로 가장 많은 답변이었다. 비전공 교사의 디자인 참고서의 부족으로 나타 난 관련정보 부족은 26.8%와 <표7>에서 디자인 전공교사가 겨우 5.9%의 결과로 알수 있다. 전공과 불일치로 인한 교사의 전문지식 부족 19.4%로 알 수 있다. 재료 구입의 어려움도 10.4% , 기타 2.9%로 나타 났다.

<표12> “디자인 교육시 지도 방법은 무엇입니까?”에서는 대부분 교사들은 이론 과 실기를 병행한다에 76.1%라는 높은 결과가 나왔다. 실기만 지도하는 7.4%보다 이론지도가 16.4%로 많이 나왔다.

<표13> “디자인 교육의 지도 형태는 주로 어떤 방법을 사용하고 계십니까?”에서 는 일제지도와 개인지도 병행의 답변이 73.1%로 나타났다. 일제(一齊)지도란 인간 에게 있어서 내재해 있는 동질성(同質成)을 바턍으로 지도하는 학습 형태로 최소한 의 필요량(minimum essentials)을 생각하고, 학생에게 동시적으로 공통된 학습을 시킨다. 미술교과에서 주로 도입과 정리 단계가 많이 쓰이며 기초 조형학습등에 많 이 사용되고 있는 방법으로 입시 위주의 고등학교에서 가장 많이 쓰이고 있지만, 특수영역의 디자인 교육은 타교과와 차별된 교육방법을 위해 교사의 노력이 필요 하다고 생각한다. 일제지도14.9% , 일제지도와 그룹지도 병행 4.4% ,개인지도만과 그룹지도.개인지도 병행이란는 답변은 2.9%로 같은 답변이 나왔다. 그룹지도만 수 업 형태는 가장 낮은 1.4%로 나왔다.

디자인은 개인적인 창의력 활동이라 하더라도 또다른 중요한 부분은 협동적 측면 을 많이 가지고 있다. 특히, 문제 해결에서 협동에 대한 개념은 디자인 교육의 본 질적 요구 일 수 있다. 타 수업에서 쉽게 할 수 없는 그룹작업은 문제 해결과 아이 디어를 다른 사람들의 의견을 듣고, 비교, 판단하면서 사고를 확장시키며, 개인뿐만 아니라 동시에 많은 학생들이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창의성과 다양성이 중요한 디자인 수업에서 좀더 다양한 수업형태가 발전해야 한다.

<표14> “연간 학생들의 실제로 완성시킨 디자인 과제는 얼마나 됩니까?”에서 가 장 많은 답변은 1~2회의 91%로 거의 전부인 답변의 결과가 나왔다. 하지만 대부 분 기초디자인(점, 선, 면, 평면 구성), 시각디자인(일러스트레이션, 포스트)으로 기 초영역과제에 그쳤다. 3~4회는 7.4% , 5~6%회는 1.4%로 밖에 없었다. 7회 이상은 한명도 없었다.

연간 1~2회의 과제를 통해 학생 개개인의 디자인 능력을 판단한다는 것은 모순점이 많다고 생각한다. 다양한 실기 과제도 더 많은 경험을 통해 학생들의 잠재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교사들의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표15> “디자인 교육 중 학생들의 흥미도는 어떻습니까?” 에서는 지금의 사회나 국가에서 디자인의 관심도가 높듯이 학생들도 디자인에 대한 관심이 많았다. 비교 적 높다44.7%와 매우 높다20.8%로 두가지 관심이 많은 답변이 과반수가 넘었다.

다음으로 보통이다23.8% , 비교적 낮다 1.4%로 나타났다. 수업 중 디자인의 흥미도 가 학생들은 많지만, 교사들의 디자인 전공부족으로 기초 영역에 그칠 수 있기 때 문에 흥미도를 떨어뜨릴 수 있을 것 같다.

(3) 미술교사의 디자인 재교육 연수 필요성 조사

디자인 교육의 대안으로 교사로서의 가장 중요한 노력은 재교육을 위한 연수 일 것이 다. <표7>의 조사의 결과로 알 수 있듯이 미술교사의 전공과 상관없이 디자인 교육을 함으로써 디자인의 모든 영역을 골고루 가르치는 것을 알수 있다. 이것은 보다는 어 느 한 영역에 치우쳐서 가르치면 자칫 학생들의 창의성과 댜양한 흥미를 줄 수 없는 교육이 될 수 있으므로, 비전공 교사의 연수는 꼭 필요함을 알기 위한 설문조사이다.

<표16> “디자인 영역 지도시 전문성 부족으로 어려움을 느낀적이 있다면 교사들 을 위한 디자인 연수가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에서는 연수가 꼭 필요하다 23.8%와 필요하다44.7%로 필요부분에서 거의 과반수가 넘는 숫자이지만, 의외로 그저 그렇다 16.4%와 별 필요성을 못 느낀다1.4% , 필요 없다13.4%의 부정의 답변 도31.2%로 많이 나왔다. 부정의 답변은 개인적인 사정에 의해 나온 답변일 수도 있다. 디자인 영역의 재교육은 1급 정교사 연수와 교과별 일반연수(미술과)에서 실 시 되고 있으며, 일반 연수의 경우 5년마다 1회의 기회가 주어지고 있다. 일반연수 의 경우 120시간(50분 수업)의 교육을 이수하고 있으며, 교육 내용은 교양 및 교직 과 전공(미술)으로 구성 되어있다.

본 연구 <표6>에서 67명의 교사에서 경력이 10년이상이 73%로 높았지만 연수를 받은 적이 있다는 26명(38.8%)이며 전혀 받은적이 없다가 41명(61.1%)로 휠씬 많 이 나왔다. 학생들에게 단지 미를 위한 표현 교육보다는 특정한 목적을 달성하는 디자인 교육을 중요한 부분으로 알고 있지만, 비전공 교사로서 연수를 받는 교사는

본 연구 <표6>에서 67명의 교사에서 경력이 10년이상이 73%로 높았지만 연수를 받은 적이 있다는 26명(38.8%)이며 전혀 받은적이 없다가 41명(61.1%)로 휠씬 많 이 나왔다. 학생들에게 단지 미를 위한 표현 교육보다는 특정한 목적을 달성하는 디자인 교육을 중요한 부분으로 알고 있지만, 비전공 교사로서 연수를 받는 교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