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Childbirth and Child-Rearing in Unwed Mothers’ Families and Policy Implications

2. 주요 연구 결과

가. 미혼모의 임신·출산기 특성

출산 후 양육에 대한 생각은 처음부터 직접 양육할 생각이었던 경우, 출산 하지 않을 생각을 했던 경우, 입양 등을 생각한 경우에 고르게 분포 해 있어, 미혼모의 임신기부터의 고민과 갈등 상황을 알 수 있다. 이 시기 의 특징 중 하나는 임신 사실을 인지하는 시기가 비교적 늦다는 것이다.

조사에 응한 미혼모의 임신 인지 시기는 평균 8.7주였는데, 미성년 시기

요 약 <<

4 미혼모가족의 출산 및 양육 특성과 정책과제

에 임신 및 출산을 한 경우는 평균 9.7주로 늦어지는 경향을 볼 수 있다.

또한, 미성년 미혼모 중 임신 사실을 16주 이후에 인지하는 비율이 4분의 1로 나타나 성인 미혼모보다 임신 사실을 늦게 인지하는 비율이 높았다.

초진 시기는 평균 약 10주로 나타났는데, 미성년 미혼모의 초진 시기는 성인 미혼모의 경우보다 더 늦었다. 또한, 산전진찰을 받은 경험은 평균 9.5회로 나타났는데, 산전진찰 경험이 전혀 없는 경우도 10% 이상으로 나타났다. 산전진찰을 받지 않은 이유는 받으려 했지만 비용이 부담됐다 는 응답과 출산이 가까워질 때까지 임신사실을 몰라서 못 받았다는 응답 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산전 상황에 있어서 기혼 유배우 여성의 경우 를 보면, 산전진찰을 안 받은 경우는 전혀 없고, 초진 시기 또한 5주 내외 로 빨라 미혼모의 취약한 산전 관리 상황을 알 수 있다. 산후진찰 경험 또 한 기혼여성보다 미혼모가 받은 경험이 낮았고, 그 이유는 받으려 했지만 시간이나 상황상 여유가 없어서, 또는 비용이 부담돼서 안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임신·출산 과정에서 가장 힘들었던 점은 경제적으로 어려웠던 것이 가 장 크게 나타났고, 그다음은 안정적으로 지낼 곳이 없었다는 점이었다.

특히, 미성년 미혼모의 경우 자신의 상황을 말할 곳이 없었다든가 사람들 의 부정적인 시선을 느끼는 정서적인 측면에서의 어려움이 성인 미혼모 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나. 미혼모가족의 양육기 특성

미취학 자녀를 양육하면서 가장 힘든 점은 첫 번째가 경제적인 이유로 아이 양육비와 교육비가 부담된다는 것이었다. 그다음은 아이 맡길 곳이 마땅치 않은 점과 아이를 돌보거나 챙길 시간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요약 5

자녀가 3세 이상인 경우는 취업한 상황이 많아서 아이를 돌보거나 챙길 시간이 부족한 점이 3세 미만의 자녀를 둔 경우보다 높아지는 경향이 나 타났다. 자녀 돌봄 방식에 있어 본인이 직접 돌보고 있는 경우 희망하는 돌봄과 괴리를 보였다. 즉, 본인 돌봄을 희망하는 비율보다 실제로 본인 돌봄을 하고 있는 비율이 높았다. 이는 미취학 자녀의 돌봄 방식에 만족 하지 않는 이유로 본인이 돌봐야 하는 시간이 길어서라는 응답이 높은 비 율로 나타나 미혼모가족의 단독 육아에 대한 어려움이 드러났다. 또한 가 족과 단절되거나 근거지를 떠나 생활하는 등 주변 자원이 별로 없어 급할 때 맡길 곳이 없는 문제도 드러났다.

미취학 자녀를 둔 경우는 경제활동을 안 하는 비율이 높았다. 3세 미만 의 경우 특히 높았고 전일제근로 비율이 매우 낮았다. 일·가정 양립에 있 어 극심한 어려움은 초등학생 자녀가 있는 경우보다 미취학 자녀를 둔 시 기였다. 현재 일을 하고 있지만, 생활비가 부족하거나 본인이 안 벌면 수 입이 없는 상황에서 일할 의향이 높았다. 일을 많이 하지 않기 때문에 평 균 수입이 매우 낮은 수준이었고, 기초생활보장이나 한부모가족 지원 중 하나를 받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 미혼모가족의 자립을 위해 3세 미만 자 녀를 둔 경우는 학업이나 일하는 동안 자녀 돌봄 서비스가 필요하다는 응 답 비율이 다른 그룹보다 상대적으로 높았고, 3세 이상 미취학 자녀를 둔 경우는 근무시간 조정이나 시간제 근무가 가능한 일자리가 필요하다고 응답한 비율이 매우 높았다.

초등학생 자녀를 양육하는 데 있어서는 역시 돌봄 비용과 교육비가 부 담스럽다는 것이 가장 어려운 이유였다. 또한 본격적으로 엄마가 일을 하 는 시기인 만큼 아이를 돌보거나 챙길 시간이 부족하다는 응답이 상승하 였다. 그리고 자녀가 고학년이 되면서 학습관리나 학교에서 차별받을까 봐 걱정하는 비율이 높아졌다. 사설교육기관 이용에 대한 비율이 기혼여

6 미혼모가족의 출산 및 양육 특성과 정책과제

성의 자녀와 미혼모의 자녀 사이에 크게 차이가 났다.

초중고생 자녀를 둔 경우는 경제활동을 안 하는 비율이 낮아지며 전일 제근로의 비율이 증가해, 자녀의 초등학교 시기에 엄마는 본격적으로 일 을 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에 따라 자녀의 미취학기보다 소득이 상승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하지만 지출액이 더욱 높아지는 현상으로 자녀의 학령 기에는 자녀 교육비 부담 상승으로 수입이 늘어도 여유가 생긴다고 볼 수 는 없을 것이다. 자립을 위해 근무시간 조정이나 시간제 근무가 가능한 일자리를 선호하는 것은 미취학 자녀부터 취학자녀를 둔 가족 모두에게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다. 미혼모가족의 주요 쟁점 특성

학업 및 자립의 측면에서는 미성년 미혼모가 학업을 계속하고 있는 비 율이 가장 높았다. 학업을 지속함에 있어서 학업과 양육을 병행하는 것이 체력적으로 힘들고, 개인적으로 공부할 시간이 부족하며, 학업시간 동안 아이를 봐줄 사람이 없다는 것이 학업을 지속하는 데 있어 주요 어려움으 로 나타났다. 미혼모가족은 자립을 위해 현재보다 높은 학력을 갖출 것을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자립을 위해서 가장 필요한 지원은 근 무시간 조정이나 시간제 근무가 가능한 일자리가 많아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다. 그 외에는 학업이나 일하는 동안 자녀 돌봄 서비스, 다양한 직업 훈련 과정, 학력을 갖출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에 대한 욕구가 나타났다.

직업교육과 일자리 경험에서는 직업교육을 받은 경험은 3분의 1이 약 간 넘는 수준이었다. 직업훈련 후에 일자리를 구하는 비율은 약 40% 수 준이었다. 직업훈련을 받아도 취업하려는 곳의 급여나 근로시간 조건이 맞지 않아서 못하거나 일할 상황이 아니어서 포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약 7

임신과 출산 과정에서 하던 일을 그만둔 경험이 약 80%로 높게 나타났 다. 일을 그만둔 이유는 몸조리나 육아 및 양육을 위해 그만둔 경우와 임 신 사실이 알려질까 봐 스스로 퇴직한 경우가 많았다. 구직 과정의 경험 에서는 혼자 양육한다는 사실만으로 취직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았 다. 직장을 다니면서는 차별 경험을 직접 하지 않은 비율이 반 정도이고 그 외에는 동료들의 따돌림이나 수군거림을 가장 많이 경험한 것으로 나 타났다.

미혼모가족이 현재 거주하는 곳은 자녀의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본인 집에서 거주하는 비율이 상승하고 시설 거주 비율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자녀가 3세 미만인 경우는 시설 이용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 으로 나타났다. 미혼모가족이 가장 원하는 주거지원 방식은 저렴한 가격 에 임대주택을 제공해 주는 것과 지원받는 주거인 것이 드러나지 않는 방 식인 것으로 나타났다.

미혼모는 스스로의 건강상태를 부정적으로 판단하는 경우가 약간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과 스트레스 정도가 높은 수준이었지만, 전문 가 상담 경험은 낮은 수준이었다. 특히 3세 미만의 자녀를 둔 경우 우울이 나 스트레스 정도가 약간 높았지만, 전문가 상담 경험 비율은 오히려 더 낮았다.

미혼모가족이 가장 많이 의지하는 사람은 부모님이나 형제, 자매 그리 고 친구나 지인이었다. 그 외에 같은 미혼모 당자사에게 의지하는 경향도 볼 수 있었다. 하지만 전혀 의지하는 사람이 없는 비율이 약 14%로 나타 났다. 미혼모가족이 가장 많은 도움을 받은 기관은 구청 및 주민센터, 모 자관련시설, 미혼모단체 순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도움받은 기관 없다는 응답도 20% 가까이 나타났다. 대부분의 미혼모가족은 우리 사회에 미혼 모가족에 대한 편견이 많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8 미혼모가족의 출산 및 양육 특성과 정책과제

미혼모가족의 가장 큰 고민은 경제적 고민이었고, 초중고생 이상의 자 녀를 둔 경우 미취학 자녀를 둔 경우보다 경제적 고민이 많았다. 미혼모 가족에게 가장 필요한 국가적 지원은 역시 경제적인 지원으로 나타났고, 경제적 지원을 제외하면 일과 돌봄 시간이 확보되는 업무 환경에 대한 욕 구가 높았다.

일반 국민의 미혼모가족에 대한 인식은 우리 사회 전반에는 차별이 있 지만 개개인의 편견은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동시에 미혼모가족의 어려움과 정책적 욕구에서 드러난 부분을 국민들도 비슷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우리 사회가 미혼인 여성 혼자 아이를 양육하기 에 좋지 않은 환경이라는 이해도도 미혼모와 비슷하게 하고 있으며, 미혼 모가족에 대한 지원이 더 많아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