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2절 성인 미혼모의 임신·출산

이 절에서는 성인 미혼모가 임신·출산 과정에서 겪었던 다양한 경험과 상황을 살펴보았다. 먼저, 성인 미혼모가 임신 당시 함께 살고 있던 사람 을 보면 부모(36.8%)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그다음은 혼자였거나 (15.2%), 본인의 형제자매(14.5%), 시설의 다른 가족(11.5%) 순이었다.

출산 시기를 2016년을 기준으로 전과 후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두 집단 간 경향성에 큰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다만, 출산 시점에서 본인의 연 령에 따라 다소 차이를 보였는데, 20대와 30대는 부모와 함께 사는 비율 이 각각 40.2%, 33.4%로 가장 많았지만, 40대 이상은 혼자 거주가 45.9%로 가장 많았다.

제3장 미혼모의 임신 및 출산기 특성 131

132 미혼모가족의 출산 및 양육 특성과 정책과제

제3장 미혼모의 임신 및 출산기 특성 133

다고. 입양 갈 곳이 다 정해져 있어서 원래는 바로 데려가겠다고 하셨다가.

(그때 마음이 바뀐 계기가 뭐였어요?) 그날 봉사자분들이 아기들을 봐주시 는 상황이었는데, 봉사자가 부족한 거예요. 그래서 저한테 한 며칠만 이제 한 명씩 번갈아 가면서 있어 달라고 해서 알겠다고 했는데, 정말 너무 힘든 거예요. 그 며칠 동안에도. 처음 겪어 보는 그런 아기 돌봄? 근데 이제 딱 든 생각이, 내 배 아파서 낳은 애인데, 이렇게 힘든데도 그냥 데리고 가시는 분 들은 그 힘든 걸 모르니까, 아이한테 정말 막 대할 수도 있는 거고. 그게 너 무 걱정되는 거예요. (처음에 임신하고서는 바로 입양 보내야겠다고 결정하 셨어요?) 아니요, 원래 지우려고도 했다가. 병원에 12주차에 가서 늦기도 했고, 근데 초음파를 봤는데, 두 명이 누워 있더라고요, 이미 형체가 다 있 어가지고. 아, 지우는 거는 정말 못 하겠구나 해서. (지우지 못하고 낳아야 겠다는 결정은 그때 했는데, 그때 이후로 입양할 수도 있다고 생각했어요?) 네, 그냥 고민을 항상 하다가, 이제 출산까지 가게 된 것 같아요. 그 상황까 지.”(B17)

성인 미혼모의 임신 사실 인지 시기는 평균 8.6주로, 본 조사 표본의 전체 미혼모 평균(8.7주) 수준이며, 5~8주에 인지한 경우가 42.1%로 가 장 많았다. 그다음은 4주 이전(22.7%), 16주 이후(15.3%) 순이었다. 특 히 미혼모의 연령대에 따라 임신 인지 시기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 하였다. 먼저, 30대의 경우 9주 이후부터는 임신 인지 비율이 소폭 감소 하여 16주 이후 인지 비율(9.7%)이 가장 낮았다. 반면, 20대는 9~11주 차에 인지하는 비율이 가장 낮고 16주 이후 인지 비율(18.6%)이 다른 연 령대에 비해 가장 높았다. 20대의 평균 임신 인지 시기는 9주로 30대(평 균 7.8주), 40대 이상(평균 8.2주)보다 다소 늦었고 미성년 미혼모(평균 9.7주) 보다는 0.7주 정도 이른 것으로 확인되었다.

134 미혼모가족의 출산 및 양육 특성과 정책과제

<표 3-31> 성인 미혼모의 임신 사실 인지 시기

(단위: %, 주, 명) 구분 4주 이전 5~8주 9~11주 12~15주 16주

이후 (명) 평균(주) 전체 22.5 41.5 9.1 10.5 16.4 100.0 (1,247) 8.7주 성인 미혼모 22.7 42.1 9.4 10.5 15.3 100.0 (1,111) 8.6주 자녀 출산 시기(χ2=8.41)

2016년 이전 25.0 41.2 9.2 11.9 12.7 100.0 (512) 8.3주 2016년 이후 20.7 42.9 9.5 9.3 17.5 100.0 (599) 8.8주 출산 시 모 연령(χ2= 18.83*)

만 20-29세 20.5 41.9 8.5 10.4 18.6 100.0 (682) 9.0주 만 30-39세 25.8 43.1 10.7 10.7 9.7 100.0 (392) 7.8주 만 40세 이상 29.7 35.1 10.8 10.8 13.5 100.0 (37) 8.2주 주: 1) *** p < .001, **p< .01, *p < .05

2) 승수 적용으로 합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

성인 미혼모인 경우도 예상하지 못했거나 자신의 신체변화에 대해 민 감하지 않은 경우에 임신 사실을 늦게 인지하는 상황이 발생하기도 했다.

“대학을 진학했었는데 자퇴해서 자취하면서 알바하고 지내다가…. 그러다 가 남자친구 사귀고. 근데 지금은 헤어져서… (아이 가진 거 알고 헤어지신 거예요?) 아이 가진 걸 늦게 알았어요. 헤어진 건 그전에 헤어졌는데 8개월 때 알아가지고. 알려도 반응도 없고. 첨엔 배 나오는 게 살찌는 건 줄 알고 굶고 그랬는데 엄마가 배만 나오는 게 이상하다고 산부인과 데려가니까 8개월이라는 거예요.”(B8)

성인 미혼모의 산전 진찰 장소는 병원(71.6%)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 고 그다음은 종합병원(7.9%), 의원(5.9%) 순이며, 본 조사 표본에서 성인 미혼모 10명 중 1명 이상은 산전 진찰을 받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12.1%). 특히 자녀 출산 시기에 따라 산전 진찰 경험이 통계적으로 유의 미한 차이를 보였는데, 2016년 이전에 출산한 성인 미혼모의 경우 산전 진찰을 받지 않은 비율이 14.6%였으나 2016년 이후 출산한 성인 미혼모 는 9.8%로 4.8%포인트 감소하였다. 같은 기간 미성년 미혼모의 경우 산

제3장 미혼모의 임신 및 출산기 특성 135

전 진찰을 받지 않은 비율이 10%포인트 이상 증가하여 서로 다른 양상을 보였다.

<표 3-32> 성인 미혼모의 산전 진찰 장소

(단위: %, 명)

구분 진찰받은

적 없음 종합병원 병원 의원 조산원 보건의료 (명) 전체 11.9 8.0 71.5 5.4 0.9 2.3 100.0 (1,247) 성인 미혼모 12.1 7.9 71.6 5.9 0.2 2.4 100.0 (1,111) 자녀 출산 시기(χ2=13.26*)

2016년 이전 14.6 8.0 66.8 7.2 0.2 3.1 100.0 (512) 2016년 이후 9.8 7.8 75.6 4.7 0.2 1.8 100.0 (599) 출산 시 모 연령

만 20-29세 12.8 6.9 72.7 5.3 0.0 2.3 100.0 (682) 만 30-39세 11.2 10.2 69.6 6.1 0.3 2.6 100.0 (392) 만 40세 이상 8.1 2.7 70.3 13.5 2.7 2.7 100.0 (37) 주: 1) *** p < .001, **p< .01, *p < .05

2) 승수 적용으로 합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

3) 5보다 작은 기대빈도를 갖는 셀이 20% 이상인 경우 χ2 값을 제시하지 않음.

산전 진찰 장소에서 ‘진찰받은 적 없음’에 응답한 경우를 제외하고, 진 찰을 받은 적이 있는 경우에만 산전 진찰 횟수를 알아본 결과, 성인 미혼 모의 산전 진찰 횟수는 6~10회(46.3%), 1~5회(22.9%), 11~15회 (19.3%), 16~20회(11.5%) 순으로, 본 조사 표본에서 성인 미혼모는 평 균 9.6회의 산전 진찰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미성년 미혼모의 산 전 진찰 평균 횟수(9회)와 비슷한 수준이다. 출산 시기를 2016년 이전과 이후로 구분하여 살펴보면 산전 진찰 횟수 평균은 각각 9.3회, 9.8회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출산 당시 미혼모의 연령에 따른 진찰 횟수를 보면 20대(9.9회), 30대(9.1회), 40대 이상(8.6회) 순으로 연령이 높은 집단일수록 산전 진찰 횟수는 소폭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앞서 미성년 미혼모 분석에서와 마찬가지로 지금까지 설명한 산전 진 찰 횟수는 ‘산전 진찰 받은 적 없음’을 제외한 분석 결과이다. ‘산전 진찰

136 미혼모가족의 출산 및 양육 특성과 정책과제

받은 적 없음’을 0회로 포함해 분석하면, 성인 미혼모(1111명)의 산전 진 찰 횟수 평균은 8.4회로 낮아진다. 또한 ‘산전 진찰 받은 적 없음’을 포함 한 2016년 이전에 출산한 성인 미혼모의 평균 산전 진찰 횟수는 7.9회인 반면, 2016년 이후에 출산한 경우는 8.8회로 나타났다. 출산 시 연령에 따라서는 20대 8.6회, 30대 8.1회, 40세 이상 7.9회로 나타났다.

<표 3-33> 성인 미혼모의 산전 진찰 횟수

(단위: %, 회, 명) 구분 1~5회 6~10회 11~15회 16~20회 (명) 평균(회) 전체 23.4 46.5 19.0 11.1 100.0 (1,099) 9.5회 성인 미혼모 22.9 46.3 19.3 11.5 100.0 (977) 9.6회 자녀 출산 시기(χ2=6.74)

2016년 이전 22.4 50.1 18.3 9.2 100.0 (437) 9.3회 2016년 이후 23.3 43.1 20.2 13.3 100.0 (540) 9.8회 출산 시 모 연령(χ2=6.10)

만 20-29세 21.0 46.4 20.3 12.3 100.0 (595) 9.9회 만 30-39세 25.9 45.4 18.7 10.1 100.0 (348) 9.1회 만 40세 이상 26.5 52.9 8.8 11.8 100.0 (34) 8.6회 주: 1) 승수 적용으로 합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

2) ‘산전 진찰 받은 적 없음’을 0회로 포함한 분석 결과: 전체 미혼모의 산전 진찰 평균과 성인 미 혼모의 산전 진찰 평균 8.4회, 2016년 이전/이후 출산 성인 미혼모의 평균 산전 진찰 횟수 각 각 7.9회, 8.8회. 출산 시 연령 20대 8.6회, 30대 8.1회, 40세 이상 7.9회

산전 진찰을 받은 경험이 있는 경우, 성인 미혼모의 초진 시기는 평균 10.4주이며, 5~8주(41.9%), 13주 이후(26.2%), 9~12주(16.4%) 순으로 나타났다. 2016년 이전에 출산한 경우 평균 9.9주, 2016년 이후에 출산 한 경우 평균 10.8주에 초진을 받은 것으로 나타나 큰 차이가 없었다. 다 만 출산 당시 성인 미혼모의 연령에 따른 초진 시기는 통계적으로 유의미 한 차이를 보였는데, 출산 당시 20대(11.1주)는 30대(9.4주), 40대 이상 (9.0주)보다 초진 시기가 늦었고 미성년 미혼모(12.9주)보다는 빨라 연령 이 낮을수록 초진 시기가 늦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제3장 미혼모의 임신 및 출산기 특성 137

<표 3-34> 성인 미혼모의 초진 시기

(단위: %, 주, 명) 구분 ~4주 5~8주 9~12주 13주 이후 (명) 평균(주) 전체 15.2 40.8 16.2 27.8 100.0 (1,099) 10.7주 성인 미혼모 15.6 41.9 16.4 26.2 100.0 (977) 10.4주 자녀 출산 시기(χ2=5.50)

2016년 이전 18.1 40.5 17.4 24.0 100.0 (437) 9.9주 2016년 이후 13.5 43.0 15.6 28.0 100.0 (540) 10.8주 출산 시 모 연령(χ2=18.95**)

만 20-29세 13.3 41.3 15.0 30.4 100.0 (595) 11.1주 만 30-39세 18.7 42.5 19.3 19.5 100.0 (348) 9.4주 만 40세 이상 23.5 44.1 11.8 20.6 100.0 (34) 9.0주 주: 1) *** p < .001, **p<.01, *p <.05

2) 승수 적용으로 합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

임신 사실을 알아도 바로 진료를 받지 않아 초진 시기가 늦어지기도 했다.

“원래 지우려고도 했다가.(못 지웠던 계기는 뭐예요? 물어봐도 돼요?) 쌍둥 이인 걸 알고 못 지운 것 같아요. 제가 병원을 좀 늦게 갔는데. (몇 개월에 갔어요?) 임신 사실은 임신하자마자, 한 달 되자마자 알긴 했는데, 이제 11 주? 12주차 때 병원을 갔어요. (왜 병원에 그때 갔어요?) 그냥 막, 그땐 어차 피 지울 거니까 이런 생각으로 안 가고 하다가. 초기에 막 입덧하고 이런 게 너무 심해 가지고, 내가 못 견디겠구나 싶어서 갔는데.”(B17)

산전 진찰을 받지 않은 성인 미혼모를 대상으로 산전 진찰을 받지 않은 사유를 확인한 결과 비용 부담(24.6%) 때문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이는 미성년 미혼모(35.7%)에 비해 다소 비율은 낮지만 성인 미혼모도 비용 부담이 산전 진찰의 가장 큰 장애요인임이 확인되었다. 다만 2016 년 이전에 출산한 성인 미혼모에 비해 이후 출산한 미혼모의 경우 비용 부담에 대한 응답률이 16.7%포인트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용 부담 다음으로 응답률이 높은 항목은 출산이 가까워질 때까지 임신 사실을 몰

138 미혼모가족의 출산 및 양육 특성과 정책과제

제3장 미혼모의 임신 및 출산기 특성 139

구분해서 살펴본 결과 큰 차이가 없었고, 출산 당시 미혼모의 연령을 기 준으로 살펴보면 40대 이상 성인 미혼모의 경우 종합병원(24.3%) 이용 비율이 20대(16.3%), 30대(20.7%)보다 다소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 미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표 3-36> 성인 미혼모의 분만 장소

(단위: %, 명) 구분 종합병원 병원 의원 조산원 보건

의료원 자택 기타 (명)

전체 18.0 71.7 6.2 1.9 1.0 0.7 0.6 100.0 (1,247) 성인 미혼모 18.1 71.7 6.6 1.4 1.0 0.6 0.6 100.0 (1,111) 자녀 출산 시기

2016년 이전 20.3 68.6 6.8 1.6 1.6 0.6 0.6 100.0 (512) 2016년 이후 16.2 74.5 6.3 1.2 0.5 0.7 0.7 100.0 (599) 출산 시 모 연령

만 20-29세 16.3 73.5 6.9 1.3 0.9 0.3 0.9 100.0 (682) 만 30-39세 20.7 69.9 5.6 1.3 1.3 1.0 0.3 100.0 (392) 만 40세 이상 24.3 59.5 10.8 2.7 0.0 2.7 0.0 100.0 (37) 주: 1) 승수 적용으로 합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

2) 기타: ‘미혼모시설’, ‘외국’

성인 미혼모의 분만 주수는 평균 38.2주로, 20대(38.2주), 30대(38.3 주) 성인 미혼모보다 40대 이상(37.6주)이 상대적으로 이른 것으로 나타 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표 3-37> 성인 미혼모의 분만 주수

(단위: 주, 명)

구분 평균 주수 (명)

전체 38.2 (1,247)

성인 미혼모 38.2 (1,111)

출산 시 모 연령(F=0.95)

만 20-29세 38.2 (682)

만 30-39세 38.3 (392)

만 40세 이상 37.6 (37)

140 미혼모가족의 출산 및 양육 특성과 정책과제

성인 미혼모 아이의 출생 당시 체중은 평균 3.11kg로 대체로 정상 체 중으로 출산하였다. 본 조사 표본 전체 미혼모 자녀의 출생 시 평균 체중

성인 미혼모 아이의 출생 당시 체중은 평균 3.11kg로 대체로 정상 체 중으로 출산하였다. 본 조사 표본 전체 미혼모 자녀의 출생 시 평균 체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