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이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한 조사도구로는 질문지를 사용하였다.질문지는 경력몰입,심리 변인인 직업가치,성장욕구,직무효능감 및 경력계획,직무 변인인 직무적합성 및 직무만족,조직 변인인 분배공정성,절차공정성 및 경력개발지원,개인 근무여건 변인 영역으로 구성하였다.응 답양식은 5점 리커트척도 및 선택형 문항을 활용하였다.

특히 경력몰입 측정도수는 Balu(1986),Carson& Bedeian(1994)의 연구에서 제시한 경력몰입 측정 도구를 참고하여 연구자가 우리나라 특성화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중소기업에 취업한 근로자의 경력몰입을 측정하기 적합하도록 직접 개발하였다.이 외의 직업가치,성장욕구,직무효능감,경 력계획,직무적합성,직무만족,분배공정성,절차공정성 및 경력개발지원에 대한 측정도구는 선 행 측정도구를 이 연구의 목적과 대상에 맞도록 번안하거나 기존 도구의 문항을 추출하여 수 정·보완하는 방식으로 활용하였다.이 연구에서 사용될 조사도구를 제시하면 <표 III-1>과 같다.

구분 문항수 문항번호

항 설정이 이루어졌는지 내용타당도를 검토 받았으며,그 외에 모든 변인의 측정문항의 진술이 나 표현방식이 조사 대상에 부합하도록 적절한지 의견을 조사하고 이를 반영하였다.

예비조사는 6개 중소기업 60명의 중소기업 특성화고졸 초기경력자를 대상으로 2013년 8월 25일부터 8월 30일까지 실시하였다.예비조사에서는 60명의 중소기업 특성화고졸 초기경력자가 모두 응답하였고,60명의 자료가 모두 분석에 활용되었다.특히 연구자가 개발한 경력몰입 측 정도구의 경우 내적합치도와 구인타당도를 검증하였다.내적합치도 검증을 위해서 Cronbachα 와 문항-전체 상관계수를 분석하였으며,구인타당도 검증을 위해서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그 리고 선행연구의 측정도구를 활용한 직업가치,성장욕구,직무효능감,경력계획,직무적합성,분 배공정성,절차공정성,경력개발지원 등의 측정도구는 내적일치도(Cronbachα)를 검증하였다.

본조사에서는 모든 측정도구에 대하여 최종적으로 내적일치도 계수를 통해 신뢰도를 확인하 고,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factoranalysis)을 통해 구인타당성을 확보하였다.확인적 요 인분석에서는 표준화적채지(표준화 회귀계수)가 0.5이상이면 구인타당성은 확보되었다고 할 수 있으나(김계수,2010),보다 엄격하게는 표준화적재치가 0.7이상일 때 개별 관측변수의 신뢰도 를 확보할 수 있다(배병렬,2011).이 연구에서는 0.7을 기준으로 하였다.

가.경력몰입 측정도구

이 연구에서는 중소기업 특성화고졸 초기경력자의 경력몰입 측정도구를 개발하여 관련 변인과 의 관계를 분석하며,경력몰입 측정도구 개발 절차는 [그림 III-4]와 같다.Aryee와 Tan(1992)의 경력몰입 개념 정의에 터하여 하위 영역을 설정하고 이에 대한 예비문항을 작성하였다.작성된 문항(안)은 전문가집단의 내용타당도 검토결과에 따라 수정하였으며,예비조사를 실시한 뒤 본조 사에 활용하였다.

단계 세부내용

구인화 -선행연구의 경력몰입 측정도구에 기반하여 하위영역별 개념 구명

⇩ 예비문항 작성

-핵심요소별 문항 pool구성 -반응양식 결정

-문항선정기준 마련

⇩ 내용타당도

검증

-구인화 및 예비문항(안)개발에 대한 전문가집단의 내용타당도 검증 -문항수정 및 확정

-에비조사용 최종 문항 작성

예비조사

-1차 예비조사 실시 및 분석:변별도,내적일치도,구인타당도 -1차 예비조사 문항 수정 및 보완

-2차 예비조사 실시 및 분석:변별도,내적일치도,구인타당도 -2차 예비조사 문항 수정 및 보완

본조사 -본조사 실시 및 분석:내적일치도,구인타당도(확인적 요인분석) -최종 측정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 보고

[그림 III-4]경력몰입 측정도구 개발 절차

1)구인화 모형 설정

경력몰입에 대한 구인화 모형은 Aryee와 Tan(1992)의 경력몰입 개념 정의 및 측정 도구에 터하여 잠정적으로 [그림 Ⅲ-5]와 같이 설정하였다.우선 경력몰입을 직업에 대한 감정적 개념 인 경력 애착과 행동적인 측면인 유지 의지 두 가지 영역으로 구분하였으며,각 영역에 해당하 는 문항을 수정하였다.

[그림 III-5]경력몰입 구인화 모형

2)예비문항 작성

구인화 모형을 토대로 경력몰입 측정을 위한 예비문항을 작성하였다.예비문항 작성에서는 하위영역별로 몇 개의 문항을 작성할 것인지가 먼저 논의되어야 한다.일반적으로 최종 검사에서 하위 영역별로 3-15개 정도의 문항을 구성할 것을 제안하고 있으므로(Croker& Algina,1986;

Walsh& Betz,1995),이 연구에서는 문항개발에 주로 참고한 Blau(1985),Carson과 Bedeian(1994), Colarelli과 Bishop(1990)의 문항을 참고하여 하위 영역별로 5-10개의 예비문항을 작성하였다.

이를 위해서는 앞서 살펴본 경력 애착과 유지 의지에 대한 구체적인 개념 정의가 필요한데, 경력 애착은 현재 자신이 종사하고 있는 직업에 대해 애착을 가지고 그 분야에서 경력을 이어 가고자 생각하는 마음을 의미하며,유지 의지는 자신의 현재 경력을 유지하기 위해 관심을 가 지고 계발하려고 노력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측정도구는 경력 애착 10문항,유지 의지 5문항으로 총 15문항의 예비문항이 개발 되었다.개발된 문항에 대하여 지시문과 응답양식을 결정하였다.지시문은 각 문항에 대하여 본인이 자기의 직업에 얼마나 애착을 가지고,이를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는지에 대해 응답하도 록 하였다.또한,측정도구의 반응양식은 ‘전혀 그렇지 않다(1)’에서 ‘매우 그렇다(5)’등의 5단계 Likert척도로 구성하였다.

3)내용타당도 검증

연구자가 선행연구를 통하여 개발한 예비문항이 실제로 중소기업 특성화고졸 초기경력자의 경력몰입을 측정하기에 타당한지에 대한 내용타당도를 검토하였다.내용타당도 검토는 직업교 육을 전공하고 경력몰입 및 관련 연구를 수행한 경험이 있는 교수 및 연구자 3인과 중소기업 특성화고졸 초기경력자가 소속되어 있는 집단의 상사 3인,중소기업 특성화고졸 초기경력자 3 인을 대상으로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 일반 직장인에 비해 문항을 보다 쉽게 풀어서 제시해야 한다는 수정·보완 의견이 제시되었다.또한,설문지 내에서 직업분야,직업,직업생활 등이 혼재되어 있는 것이 문제점을 지적되어 직업분야로 통일하였다.마지막으로 경력목표,경력계획,업무성과 등의 단어가 중소 기업 특성화고졸 초기경력자가 이해 할 수 있는 단어인가에 대한 논란이 있었으나,중소기업 특성화고졸 초기경력자나 상사의 검토 결과 이미 특성화고 재학 시절부터 익숙하게 접한 용어

이고 현장에서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문항에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의견이었으며,이를 수용하여 제시하였다.

4)예비조사

예비조사 자료를 통해 문항의 신뢰도 분석,문항-전체 상관분석,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경 력몰입 측정도구 15개 문항의 신뢰도 계수(Cronbachα)는 0.842로 높은 신뢰도를 나타냈으며, 4번 문항을 제거할 경우 전체 신뢰도 계수가 약간 증가하는 것 외에는 대체로 낮아지는 것으 로 나타났다([부록 3]예비조사 결과 참조).또한,하위변인별 신뢰도 계수 역시 ‘경력 애착’이 0.803,‘유지 의지’가 0.797등으로 비교적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문항의 변별도를 판단하기 위해 문항-전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문항-전체 상관분 석은 경력몰입 15개 문항의 총점과 개별 문항간의 상관계수 분석을 통해 이루어졌다.문항 간 내적 합치도가 높으면 개별 문항과 전체 총점과의 상관계수가 높아야 한다.분석결과 문항 4를 제외한 모든 문항에서 전체 경력몰입 값과 0.502~0.784의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나 변별도 가 확보되었다([부록 2]예비조사 결과 참조).

예비조사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4번 문항의 경우 문항의 신뢰도와 변별도가 모두 부적절한 것으로 나타났으며,이는 4번이 경력몰입을 측정한다기보다는 어려움 극복 혹은 효능감 등에 초점을 맞추어져 발생하는 문제라고 판단되어 본조사에서는 문항을 삭제하였다.

5)본조사

본조사에서는 최종적으로 개발된 14개 문항에 대하여 신뢰도 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 (confirmatoryfactoranalysis)을 실시하였다.먼저 경력몰입 14문항에 대한 신뢰도 분석 결과 신뢰도 계수(alpha)는 0.850으로 양호하게 나타났으며,하위변인별 신뢰도도 계수 역시 ‘경력 애 착’0.821,‘유지 의지’0.807등으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경력몰입 측정도구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표 Ⅲ-2>와 같다.확인 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든 문항이 각 하위변인에 유의미하게 적재되는 것으로 나타났으 며,하위요인별 요인적재량(표준화 계수)은 ‘경력 애착’이 0.503~0.724,‘유지 의지’가 0.499~

0.629로 대체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문항 6번,10번의 표준화 계수가 다른 문항에 비해 상 대적으로 낮은 수치를 보였으나,일반적으로 0.5이상인 경우 타당성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문 항을 제거하지 않고 그대로 활용하였다.모형 적합도 역시 대부분의 적합도 지수가 수용 가능 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다만,CFI값만이 0.9이상이며 1에 가까울수록 적합하다는 수용 가능 범위에 미치지 못하였으나,그 차이가 0.005로 매우 작으며,타 지수가 모두 적합하기 때 문에 경력몰입 도구의 신뢰도와 구인타당성은 모두 확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0.629로 대체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문항 6번,10번의 표준화 계수가 다른 문항에 비해 상 대적으로 낮은 수치를 보였으나,일반적으로 0.5이상인 경우 타당성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문 항을 제거하지 않고 그대로 활용하였다.모형 적합도 역시 대부분의 적합도 지수가 수용 가능 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다만,CFI값만이 0.9이상이며 1에 가까울수록 적합하다는 수용 가능 범위에 미치지 못하였으나,그 차이가 0.005로 매우 작으며,타 지수가 모두 적합하기 때 문에 경력몰입 도구의 신뢰도와 구인타당성은 모두 확보 되었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