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Ⅲ. 연구방법

3. 조사도구

이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한 조사도구로는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질문지는 현업적용도, 개인 성과 및 조직성과, 독립변인 중 개인특성 변인인 자기효능감, 경력계획 및 인지된 유용성, 프로 그램특성 변인인 교육내용, 강사의 교수능력, 교육훈련 환경과 조직특성 변인인 상사지원, 동료 지원, 변화가능성, 조직보상 인구통계학적 특성으로 구성하였다. 측정도구 가운데, 현업적용도 와 개인성과 및 조직성과는 직접 개발하였으며, 이 외 관련변인들은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도구 를 사용하였다. 응답양식은 5점 리커트 척도 및 선택형 문항을 활용하였다.

변인명 연구자 문항번호 문항수 현업적용도

직접 개발

Ⅰ. 1~8 8

개인성과 Ⅱ. 1~9 9

조직성과 Ⅰ. 1~10

(관리자용) 10

인구통계학적 특성 - Ⅵ. 1~6 6

개인 특성

자기효능감 Holton et al.(1998)

최창환(2008) Ⅳ-1. 1~4 4

경력계획 정동열(2014) Ⅳ-2. 1~6 6

인지된 유용성 Ruona et al.(2002) Ⅳ-3. 1~5 5

프로그램 특성

교육훈련 내용 Grove & Ostroff(1991)

이재형(2005) Ⅲ. 1~5 5 강사의 교수능력 Buckley & Caple (1995)

이재형(2005) Ⅲ. 6~11 6 교육훈련 환경 Alliger et al.(1997)

김재훈(2002) Ⅲ. 12~17 6

조직 특성

상사지원 박경란(2014) Ⅴ-1 1~8 8

동료지원 최창환(2008) Ⅴ-2. 1~4 4

변화가능성 한안나(1999) Ⅴ-3. 1~6 6

조직보상 Holton et al.(1998)

나영신(2005) Ⅴ-3. 7~12 6

<표 Ⅲ-3> 조사도구 구성

가. 현업적용도 측정도구

이 연구에서는 중소기업컨소시엄 훈련참가자의 현업적용도 측정도구를 개발하여 관련 변인 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현업적용도란 직무교육훈련 참가자가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통해서 학 습한 지식, 기술 및 태도를 업무에 적용하기 위해 노력하고 그 결과로서 현업에 적용하는 정도 를 의미하며, 이러한 개념 정의를 바탕으로 하위 영역을 설정하고 이에 대한 예비문항을 작성 하였다. 작성된 문항(안)은 전문가 집단의 내용타당도 검토결과에 따라 수정하였고, 예비조사로 문항을 검증 한 뒤, 본조사를 실시하였다.

1) 구인화

현업적용도의 구인화 모형은 직무교육훈련 현업적용도의 측정도구에 관한 선행연구의 고찰 (이도형, 1995,1996, 박영용, 2006, 이진화, 2009, 박병식 등, 2015, 이찬 등, 2012)과 컨소시엄 직 무교육훈련 교육과정에서 몇 개의 사례를 추출하여 프로그램 목표, 학습목표 등의 분석을 통하 여 현업적용도를 구성하는 주요 요인들을 도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현업적용도를 중소기업 컨소시엄 직무교육훈련에 참가한 재직자가 직무교육 훈련을 이수하고 현업으로 복귀한 뒤,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통해서 학습한 지식, 기술 및 태도 를 업무에 적용하기 위해 노력하고, 그 결과로서 현업에 적용하는 정도로 정의하고, 선행연구 에서 적합한 도구를 탐색하였다. 선행연구 분석결과, 불특정 프로그램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하 거나, 복수 프로그램 참여자를 대상으로 할 경우, 구체적인 전이 측정방법 대신 일반적인 수준 의 단순한 전이 측정도구가 사용될 수밖에 없었다. 이 연구의 대상인 중소기업 컨소시엄 직무 교육훈련은 연간 약 10만명의 근로자가 참여하고 있고, 훈련과정의 수도 약 2,600여개에 달한 다. 따라서, 중소기업의 재직근로자 직무교육훈련의 현업적용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기업의 재직자를 대상으로 측정한 여러 선행연구(임효창, 1999, 2009, 정재삼과 한영진, 2004, 곽지훈과 김진모, 2007, 최창환과 정철영, 2008, 정완영, 2016)에서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받은 이도형 (1995)의 현업적용도 도구를 활용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도형의 연구는 현업적용도 측정내용에 개인성과를 측정하는 항목이 포함되어 있어, 그대로 사용하기 어려웠다(③ 내가 이수한 교육훈련 프로그램에서 배운 것에 의해 업무성과가 실제로 향상되었다, ⑤ 나는 내가 이수한 교육훈련 프로그램에서 배운 것에 의해 업무수행이 향 상되었다는 이야기를 상사 혹은 동료로부터 들었다). 여러 선행연구에서 현업적용도의 측정을 현업적용과 변화된 결과, 즉 개인성과를 측정하는 문항이 혼재되어 있어, 현업적용도와 개인성 과 및 조직성과를 분리하여 영향관계를 구명하는 본 연구에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았다.

김진모(1997)는 교육훈련을 통해 학습한 지식과 기술에 대한 전이수준을 측정하는 설문을 교 육훈련을 받고 난 지 3개월이 지난 후에 프로그램에서 배운 지식과 기술을 ‘직무에 사용하고자 얼마나 노력했는지’와 현재 직무에 얼마나 많이 사용하고 있는지‘로 구분하여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현업적용도를 선행연구 검토 결과와 본연구의 대상인 중소기업 컨소시엄 직무교육 훈련 과정내용의 검토를 통하여 도출된 결과로서 ’현업적용 노력‘과 ’현업적용‘으로 하위요인을

분류기준 문항

현업적용 노력

나는 교육훈련 프로그램에서 배운 지식을 나의 업무에 적용하고자 노력 하였다.

나는 교육훈련 프로그램에서 배운 기술을 나의 업무에 적용하고자 노력 하였다.

나는 교육훈련 프로그램에서 배운 새로운 지식과 정보를 나의 업무에 적 용하기 위하여 좀 더 자세히 알고자 노력하였다.

구성하여 측정하였다. 이 연구에서의 현업적용도의 개념정의와 선행연구의 검토, 그리고 본 연 구의 대상인 중소기업 컨소시엄 직무교육훈련 프로그램 사례에 근거하여 선행연구에서 도출한 구인화 모형은 아래 [그림 Ⅲ-2] 와 같다.

[그림 Ⅲ-2] 현업적용도 구인화 모형

2) 예비문항 작성

구인화 모형을 토대로 현업적용도 측정을 위한 예비문항을 작성하였다. 예비문항 작성에는 구성요인별로 몇 개의 문항을 작성할 것인지가 먼저 논의되어야 하는데 일반적으로 최종검사 에 구성요인별로 3~15개 정도의 문항을 구성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Croker & Aligina, 1986;

Wash & Betz, 1995). 이에 이 연구에서는 연구자가 구인화한 현업적용도의 구성요인이 기존 현업적용도 측정도구에 포함되어 있지 않아, 이 연구의 개념정의에 따라서 이 연구에 맞게 문 항을 개발하였다. 측정도구의 반응양식은 현업적용도에 대한 자기보고식 측정도구를 개발한 선 행 연구들의 측정도구를 근거로 하여 “전혀 그렇지 않다(1)”, “그렇지 않은 편이다(2)”, “보통이 다(3)“, ”그런 편이다(4)“, ”매우 그렇다(5)“등의 5단계 리커트 척도로 구성하였다.

<표 Ⅲ-4> 도출된 현업적용도 측정문항

실제 현업적용

나는 교육훈련 프로그램에서 배운 사례를 나의 업무에 적용하였다.

나는 교육훈련에서 배운 내용을 토대로 업무프로세스의 문제점을 발굴하 고 개선하였다.

나는 교육훈련 프로그램에서 배운 내용을 토대로 업무에서의 실수를 줄 이는데 활용하였다.

나는 교육훈련 프로그램에서 배운 내용을 동료 또는 부하직원들에게 전 파하였다.

나는 교육훈련 프로그램에서 배운 내용을 동료 또는 부하직원 등과 같이 업무에 활용하고 있다.

3) 내용타당도 검증

연구자가 선행연구를 통하여 개발한 예비문항이 실제로 중소기업 컨소시엄 직무교육훈련 참 가자의 현업적용도를 측정하기에 타당한지에 대한 내용타당도를 검토 받았다. 내용타당도는 직 업교육을 전공하고 직업교육훈련 관련 연구 경험이 있는 대학교수 1인(교육학 박사) 및 국책연 구원의 교육학 박사 2인과 중소기업 컨소시엄 훈련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기업의 HR 담당자 2 인 및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중소기업 컨소시엄 사업을 담당하고 있는 실무자 1인(경영학 석사 학위 소지자) 등 총 6인을 대상으로 검토를 받았다.

검토 결과, 중복되는 문항과 현업적용을 측정하기에 적절치 않은 문항 3개를 삭제하였고, 한 개의 문항은 측정하고자 하는 내용을 명확히 하기 위해 두 문항으로 분리하는 것이 좋겠다는 의견에 따라 두 문항으로 분리하여 구성하였다. ‘현업’이라는 표현보다는 ‘나의 업무’로 표현하 는 것이 이해하기 쉽다는 의견에 따라 용어를 수정하였고, 이밖에 ‘한다’ -> ‘하였다’, 또는 ‘하 고 있다’ 로 교육훈련에 참가하고 일정시간이 지났으므로 시제를 일관성 있게 수정하였다. 최 종 수정 후 도출된 결과는 <표 Ⅲ-4>와 같이 8개로 구성하였다.

4) 예비조사 및 본조사

연구자가 개발한 8개 문항의 구인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현업적용도 측정도구 8개 문항의 내적일치도 계수는 0.911으로 높은 신뢰도를 나타냈으며, 문 항 삭제 시 내적일치도 계수가 증가하는 것은 없었다. 또한, 하위요인의 내적일치도 계수 역시 현업적용노력이 0.901, 현업적용이 0.892로 높은 신뢰도를 나타냈으며, 문항 삭제 시 내적일치 도 계수가 증가하는 것은 없었다. 그 결과는 <표 Ⅲ-5>와 같다.

분류기준 문항번호 공통성 요인

1 2

현업적용도

1 .857 .891

2 .885 .888

3 .769 .803

4 .629 .680

5 .692 .804

6 .717 .785

7 .723 .805

8 .761 .830

주) 요인추출방법: 주성분분석, Kaiser 정규화가 있는 베리멕스,

<표 Ⅲ-5> 현업적용도 측정문항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예비조사와 본조사의 신뢰도는 <표 Ⅲ-6>와 같다. 예비조사의 내적일치도 계수는 현업적용 도 .911로 나타났고 본조사는 .914로 다소 높게 나타났다.

분류기준 문항 수 내적일치도 계수(Cronbach’s α) 예비조사(n=44) 본조사(n=213)

현업적용도 8 .911 .914

현업적용 노력 3 .901 .886

실제 현업적용 5 .892 .898

<표 Ⅲ-6> 현업적용도 측정도구의 신뢰도 계수

나. 개인성과 측정도구 1) 구인화

종속변수인 개인성과의 구인화 모형은 직무교육훈련 성과의 측정도구에 관한 선행연구 고찰 (Williams & Anderson, 1991, Chan & Schmitt, Pincus, 1986, 이원석과 주동범, 2013, 유명희, 2007)을 통하여 개인성과를 구성하는 주요 요인들을 도출하여, [그림 Ⅲ-3]과 같이 개인성과의 구인화 모형을 설정하였다.

[그림 Ⅲ-3] 개인성과 구인화 모형

2) 예비문항 작성

이 연구에서의 개인성과의 개념정의에 근거하여 선행연구에서 도출한 문항은 아래 <표 Ⅲ

이 연구에서의 개인성과의 개념정의에 근거하여 선행연구에서 도출한 문항은 아래 <표 Ⅲ