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I. 서론

4. 용어의 정의

가. 중소기업 직무교육훈련 (Job Training Programs for SMEs)

중소기업 직무교육훈련이란 근로자의 직무능력향상을 위하여 실시하는 직무교육훈련 중 중 소기업 근로자를 대상으로 고용노동부가 지원하는 직무교육훈련을 의미한다. 이 연구에서는 기 업현장에서의 요구를 반영하여 중소기업 근로자에게 맞춤형으로 훈련을 제공하는 중소기업 컨 소시엄 직무교육훈련 가운데 채용예정자 훈련을 뺀 재직자훈련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나. 현업적용도 (Transfer of Training)

현업적용도는 직무교육훈련 참가자가 교육훈련에서 배운 것을 실제 업무에 적용하여 나타나 는 행동상의 변화를 평가하는 것(Kirkpatrick,1994)으로서, 이 연구에서는 직무교육훈련에서 배 운 것을 업무에 적용하기 위한 노력과 실제 현업에 적용하는 정도로 정의하였다. Kirkpatrick의 4수준 평가모형 중에서 3단계 행동(Behavior) 평가에 해당되며, 연구자가 개발한 측정도구에 직무교육훈련에 참가한 중소기업 재직자가 응답한 점수를 의미한다.

다. 개인성과 (Individual Performance)

개인성과란 근로자 개인의 속성과 노력, 조직의 지원을 통해 직무를 얼마나 성공적으로 수행 했는지를 측정하는 것(정완영, 2016)이다. 이 연구에서는 중소기업 직무교육훈련에 참가한 근로 자가 교육훈련에서 학습한 것을 현업에 적용함에 따라 개인에게 나타나는 긍정적인 변화를 말 한다. 개인의 직무능력 향상과 직무수행의 향상으로 구성되며, 연구자가 개발한 측정도구에 직 무교육훈련에 참가한 중소기업 재직자가 응답한 점수를 의미한다.

라. 조직성과 (Organizational Performance)

조직성과란 조직의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는 것이다(Tharenou et al.2007). 이 연구에서 조직성과는 직무교육훈련에 참가한 근로자가 교육훈련에서 학습한 것을 현업에 적용함에 따라 나타나는 조직의 긍정적인 변화를 의미한다. 조직의 목표달성과 일하는 방식의 개선 및 학습조 직화를 의미하며, 연구자가 개발한 측정도구에 직무교육훈련에 참가한 근로자가 재직하고 있는 중소기업의 관리자가 응답한 점수를 의미한다.

마. 자기효능감 (Self efficacy)

자기효능감은 학습을 통해 습득한 지식 및 기술을 직무상황에 적용하기 위한 일련의 행동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에 대한 자기 인식을 의미한다(Bandura, 1982, 2004; Baumeister, Campbell, Krueger & Vohs, 2003). 이 연구에서는 Holton(1998)이 개발한 LTSI(Learning Transfer System Inventory)를 번안하여 사용한 한안나(1999)의 조사도구를 최창환(2008)이 재 구성한 도구에 중소기업 컨소시엄 직무교육훈련 수료자가 응답한 점수를 의미한다.

바. 경력계획 (Career Development Plan)

개인이 직업생활에서 자신의 경력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실천계획을 수립한 정도를 의미한다(Gould, 1979; Hackman et al., 1983). 이 연구에서는 Gould(1979)의 경력계획 도구를 정동열(2014)이 번안한 측정도구에 중소기업 컨소시엄 직무교육훈련 수료자가 응답한 점수를 의미한다.

사. 인지된 유용성 (Recognized Utility)

인지된 유용성은 교육훈련 내용이 직무와 관련성이 높으며, 교육훈련을 받고 새로 배운 것을 적용하면 수행이 향상될 것이라고 믿는 정도이며, 훈련의 유용성과 가치에 대한 믿음을 가지고 있을 경우 학습된 기술을 적용할 가능성이 더 높다(Baumgartel, Reynolds & Pathan, 1984).

이 연구에서는 Burke & Hutcins(2007)이 Alliger et al.(1997)의 연구 등 선행연구들에서 발 췌한 5개의 도구에 중소기업 컨소시엄 직무교육훈련 수료자가 응답한 점수를 의미한다.

아. 상사지원 (Supervisor Support)

상사의 지원은 훈련생이 훈련을 통해 습득한 지식 및 기술을 업무 현장에 활용하는 것에 대 한 인지적 측면에서의 상사의 목표 설정 활동 지원, 강화 활동 지원, 행동 모델링 활동 지원을 의미한다. 이 연구에서는 이도형(1995)의 조사도구와 Tracey et al.(1995)의 조사도구를 번안·활 용한 장윤정(2001)의 조사도구 및 Rouiller와 Goldstein(1993)의 연구를 바탕으로 Enos(2001)가 개발한 조사도구를 발췌하여 활용한 이진화(2009)의 조사도구 중 박경란(2014)이 구성한 조사 도구에 중소기업 컨소시엄 직무교육훈련 수료자가 응답한 점수를 의미한다.

자. 동료지원 (Peer Support)

동료지원은 훈련생이 훈련을 통해 습득한 것을 직무현장에 적용하는 과정에서 동료가 이를 지원하고 강화를 제공하는 정도를 말한다(현영섭, 권대봉, 2003). 이 연구에서는 Holton(1998)이 개발한 LTSI(Learning Transfer System Inventory)를 번안하여 사용한 한안나(1999)의 조사도 구를 최창환(2008)이 재구성한 도구에 중소기업 컨소시엄 직무교육훈련 수료자가 응답한 점수 를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