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2절 한국복지패널 조사 개요

1. 표본추출

한국복지패널(KOWEPS)은 제주도를 포함한 전국을 대상으로 하는 종단면 조사이 다. 횡단면 조사인 통계청의 ‘가계동향조사’와 종단면 조사인 ‘한국노동패널’의 경우 농어가 또는 읍·면 지역이 표본에 포함되지 않았지만 한국복지패널은 농어가와 읍·면 을 표본에 포함하고 있다. 구체적인 표본추출은 2장에서 설명하므로 여기에서는 최초 원표본 가구 추출 및 신규 표본추출, 그리고 부가조사인 ‘아동 부가조사’의 표본추출과 관련된 개요를 서술한다.

최초의 한국복지패널 원표본 가구의 규모는 7,072가구5)이며 조사 대상은 표본 가 구, 표본 가구에 속하는 15세 이상 가구원, 그리고 부가조사 대상으로 구분된다. 최초 의 한국복지패널 원표본 가구(7,072가구)를 선정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는 ‘2006년 국 민생활실태조사’를 활용하였으며, ‘국민생활실태조사’의 경우 ‘2005년 인구센서스 자 료 90% 조사구’에서 추출하였다. 표본 배분은 복지 욕구를 보다 효과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저소득층을 과대 표집하였다. 즉 중위소득 60%(OECD 상대빈곤선) 이하의 저 소득층을 3,500가구 추출하고, 중위소득 60%(OECD 상대빈곤선) 이상에 해당하는 일반 가구를 3,500가구 추출하였다.6)

신규 패널 표본으로는 사전 조사 결과를 기초로 일반 및 저소득 가구를 구분하여 전

5) 목표 원표본 가구 수는 7,000가구였으나 1차 조사 결과 7,072가구에 대한 조사가 완료되었다.

6) 저소득 가구와 일반 가구의 비율이 50:50이 되도록 노력하였으나, 조사 결과 저소득 가구의 비율이 약 45%, 일반 가구의 비율이 약 55%인 것으로 나타났다.

제1장 서 론 21

체 조사구에서 완료 목표인 1,800가구의 3배수인 5,400가구를 추출하였다. 일반 가구 와 저소득 가구의 비율은 1차 연도와 동일하게 저소득 가구를 과대 표집하였다. 또한 지역별 표본 배분 또한 1차 연도 조사 당시의 지역별 가구 비율과 유사하게 표본 가구 를 배분하여 패널의 동질성을 최대한 유지하였다. 본 보고서에서 제시되는 각종 통계 분석 결과표는 신규 표본을 포함한 분석 결과다. 단 종단분석의 경우에는 분석 목적에 따라 신규 표본 가구의 포함 여부가 다르다.

부가조사인 ‘아동 부가조사’의 경우 이전 차수였던 1~7차 조사 대상자 중 성인기에 접어드는 아동이 발생함에 따라 2015년 10차 아동 부가조사부터 신규표본을 추출하 였다. 10차 아동 부가조사에서는 한국복지패널 조사 대상 가구원 중 2015년 3월 기준 초등학교 4~6학년에 재학 중인 아동으로 가구에 해당 아동이 2명 이상일 경우 모두 조 사하였으며, 아동의 ‘나이’가 아닌 아동이 재학 중인 ‘학년’을 기준으로 표집하였다. 따 라서 13차 아동 부가조사 응답자는 2018년 3월 기준 중학교 1~3학년에 재학 중인 아 동으로 12차 복지패널 완료가구(6581가구)에서 10차 아동 부가조사가 완료된 아동 (405명)과 추가로 12차 기준(2018년 기준 만 나이 12~16세)으로 중학교에 재학 중인 아동(355명)을 포함한 760명을 조사 대상으로 하여 391명에 대해 조사를 완료하였다.

2. 조사표 구성

한국복지패널(KOWEPS)의 조사표는 가구 조사표, 가구원(개인) 조사표, 부가조사 표로 구성된다. 가구 조사표의 경우 가구 여건 및 가구원 공통 항목에 대한 설문 내용 이 중심이고, 가구원 조사표의 경우 15세 이상의 가구원을 대상으로 한 설문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22 2018년 한국복지패널 기초분석 보고서

제1장 서 론 23

육이 조사표 내용에 대한 교육 이전에 이루어졌다. 이와 같은 조사 방식의 변화에 따라 발전된 사항은 조사된 내용에 대해 1차적으로 현장에서 조사 지도원이 에디팅하여 미 흡한 부분에 대해 즉각적으로 보완 조사를 할 수 있고, 재검토를 통해 완성된 조사 자 료를 데이터베이스에 전송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과정으로 조사 내용을 별도로 입력하고 오류를 확인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여 효율적인 조사를 진행할 수 있었으며, CAPI 시스템에 탑재된 기본적 로직을 통해 조사 및 입력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