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가구원의 경제활동 상태

제2절 경제활동 상태

1. 가구원의 경제활동 상태

만 15세 이상인 가구원 전체의 경제활동 상태를 살펴보면 근로 가능 가구원은 89.92%, 단순근로 가능자는 4.42%, 단순근로 미약자는 4.19%, 근로 능력이 없는 가 구원은 1.47%였다. 소득집단별로 살펴보면 일반 가구는 95.38%, 저소득 가구는 62.27%에서 근로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근로무능력 사유를 살펴보면 중증 장애 가 가장 많았으며, 질병 및 부상, 노령으로 인한 심신 무능력 순이었다. 소득집단별로 는 일반 가구의 64.23%가 중증 장애로 근로를 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질병 또는 부상은 24.02%였다. 반면 저소득 가구는 중증 장애가 61.28%, 질병 또는 부상이 31.22%로 분석되었다(〈표 4-2-1〉 참조).

가구원의 주된 경제활동 상태는 근로능력 정도에서 근로 가능, 단순근로 가능, 단순 근로 미약자를 포함하여 살펴보았다. 그 결과 전체적으로는 비경제활동인구가 38.05%로 가장 많았으며, 상용직 임금근로자(27.47%), 임시직 임금근로자(15.32%), 자영업자(7.62%) 순으로 나타났다. 소득집단별로 살펴보면 저소득 가구는 3명 중 2명 이 비경제활동인구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일반 가구는 3명 중 1명 정도만 비경제활동 인구인 것으로 나타났다(〈표 4-2-2〉 참조).

82 2018년 한국복지패널 기초분석 보고서

제4장 조사 대상의 일반적 특성 및 경제활동 상태 83

구분 전체 저소득 일반

근로무능력 3.85 5.83 3.01

군 복무 0.88 0.60 1.00

학업 23.07 7.13 29.82

진학 준비 0.95 0.23 1.26

취업 준비 5.85 2.66 7.21

가사 18.60 7.71 23.21

양육 4.57 1.67 5.80

간병 0.74 1.09 0.59

구직활동 포기 6.63 10.32 5.06

근로 의사 없음 34.47 62.33 22.66

기타 0.39 0.43 0.38

100.00 100.00 100.00

〈표 4-2-3〉 가구원의 비경제활동 사유

(단위: %)

취업한 가구원의 업종은 제조업 종사자의 비율이 18.66%로 가장 높았으며, 그다음 으로는 도매 및 소매업이 12.09%, 교육 서비스업과 보건 및 사회복지사업이 각각 7.40%로 나타났다. 소득집단별로 살펴보면 저소득 가구는 농업, 임업 및 어업이 26.81%로 가장 높았으며, 일반 가구는 제조업이 19.85%로 가장 높았다.

직종을 살펴보면 가구원 전체적으로는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가 18.53%, 단순노무 종사자가 17.16%, 사무 종사자가 17.11%로 분석되었다. 소득집단별로는 저소득 가구 는 단순노무 종사자가 39.40%, 농업, 임업 및 어업 숙련 근로자가 25.91%로 가장 많 은 분포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 반면 일반 가구는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가 19.71%, 사무 종사자가 18.25%, 단순노무 종사자가 15.22%의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84 2018년 한국복지패널 기초분석 보고서

제4장 조사 대상의 일반적 특성 및 경제활동 상태 85

취업한 가구원의 사업장 규모를 살펴보면 5명 미만 사업장에서 근무하는 경우가 31.73%로 가장 많았으며, 10~29명 사업장이 15.73%, 5~9명 사업장이 12.74%로 전 체 가구원의 약 60% 이상이 30명 미만인 사업장에서 근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1,000명 이상인 사업장에서 근무하는 가구원은 12.40%에 불과하였다. 소득집 단별로는 저소득 가구는 5인 미만 사업장에서 근무하는 경우가 57.18%로 월등히 높았 으나, 일반 가구는 5인 미만인 경우가 29.51%, 10~29명 사업장이 15.83%, 1,000명 이상 사업장이 13.38%로 소득집단별 차이를 보이고 있다.

구분 전체 저소득 일반

1~4명 31.73 57.18 29.51

5~9명 12.74 9.34 13.03

10~29명 15.73 14.56 15.83

30~49명 6.41 4.76 6.56

50~69명 4.28 3.39 4.36

70~99명 3.27 1.82 3.40

100~299명 8.19 5.41 8.44

300~499명 2.77 1.83 2.85

500~999명 2.38 0.51 2.54

1,000명 이상 12.40 1.15 13.38

잘 모름 0.09 0.06 0.09

100.00 100.00 100.00

〈표 4-2-5〉 취업 가구원의 사업장 규모

(단위: %)

전체 가구원의 1년간 평균 근로 개월 수는 11.41개월, 일한 달의 평균 근로일수는 20.93일, 주당 평균 근로시간은 43.38시간으로 나타났다. 소득집단별로는 저소득 가 구의 가구원은 주당 평균 근로시간이 약 33시간, 일반 가구의 가구원은 약 44시간 근 무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일반 가구의 가구원이 저소 득 가구의 가구원보다 더 많은 시간을 근무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86 2018년 한국복지패널 기초분석 보고서

구분 전체 저소득 일반

1년간 평균 근로 개월 수 11.41 10.81 11.46

일한 달의 평균 근로일수 20.93 18.77 21.12

주당 평균 근로시간 43.38 33.09 43.97

〈표 4-2-6〉 가구원의 1년간 근로 개월 수, 일한 달 평균 근로일수 및 주당 근로시간

(단위: 월, 일, 시간)

주: 주당 평균 근로시간은 규칙적으로 일한 경우의 주당 평균 근로시간을 의미함.

한편 안전 설비가 잘 갖추어져 있지 않거나 작업장이 오염된 환경에서 노동을 하고 있는지를 조사한 결과 9.41%가 유해한 환경에서 근무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소득집단별로는 저소득 가구의 가구원(11.23%)이 일반 가구의 가구원(9.22%)보다 좀 더 유해한 환경에서 근무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구분 전체 저소득 일반

비해당 26.83   55.38   21.39  

해당 73.17 100.00 44.62 100.00 78.61 100.00

그렇다 6.89 9.41 5.01 11.23 7.24 9.22

아니다 66.28 90.59 39.61 88.77 71.37 90.78

100.00   100.00   100.00  

〈표 4-2-7〉 노동 환경 유해 여부

(단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