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조업에서 서비스 중심 경제로의 구조 변화

문서에서 HONG KONG (페이지 48-53)

(1) 홍콩 경제의 구조변화 및 경제적 성취

2014년 현재 홍콩 경제는 서비스 부문이 GDP중 93%를 차지하고 있 는 바, 1980년대를 기점으로 서비스 주도형 경제 service-oriented economy로 탈바꿈하고, 질적인 면에서도 홍콩은 아시아 무역 및 금융의 중심지이 자 중국 진출 교두보로서 세계경제의 요충지로서의 위상을 확보하였 다. 홍콩은 소규모 경제이지만, 2014년 1인당 GDP는 USD 39,800불로 세계 187개국 중 24위를 차지하였으며, 실업률은 2012년 3.3%, 2013년 3.4%, 2014년 3.2%로 완전고용 상태에 있다.

무역·물류·관광·비즈니스센터로 발전한 홍콩(1970~2014)

지 표 1970 1980 1990 2000 2014

중개무역 비중 (%) 19.1 30.7 64.7 88.5 98.5

컨테이너물동량 (만TEU) (1973)47 147 510 1,810 2,227 항공기 이착륙 (편) 46,749 54,589 105,782 181,900 391,000

홍콩 방문객 (만명) 93 230 590 1,306 6,084

아시아지역본부 수 (개) - - 572 855 1,389

중국의 개혁개방으로 홍콩제조업의 중국본토 이전이 본격화되면서 중국본토 경제가 자체적으로 해결하지 못하는 무역·물류·금융·전 문직 서비스 등의 고부가가치 서비스산업에 특화하였다. 홍콩은 중국 등 아시아와 서구를 이어주는 허브 전략을 추진하였는 데, 홍콩은 서 구 등 해외자본이 중국 및 아시아에 투자하는 전초기지이면서, 최근에

는 중국자본이 해외투자 발판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글로벌 기업·금 융회사 아시아 지역본부가 홍콩에 클러스터링하고 있다. 다만, 2014년 홍콩 경제는 2.3% 성장에 그치는 등 최근 3년간 정체 상태에 놓여 있 어 새로운 성장동력을 모색중에 있다.

구 분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GDP증가율 2.1% -2.5% 6.8% 4.8% 1.5% 2.9% 2.3%

(2) 서비스 산업의 국민경제적 위상 변화

홍콩의 서비스산업은 1980년대 이후 지속적으로 확대되어 전체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980년 67.5%에서 2012년 93.0%로 크게 상 승하였다. 반면 제조업 GDP 비중은 같은 기간 23.7%에서 1.5%로 하락 하여, 현재 홍콩 경제에서 제조업의 역할은 미미하다.

홍콩의 서비스산업은 거의 모든 업종에서 지난 30여 년 동안 GDP 비중이 증가하였다. 도소매·무역·음식·숙박업은 GDP 비중이 1980 년 21.4%에서 2012년 29.0%로 증가하여 전체 서비스산업 GDP 비중 증 가에 가장 크게 기여하고 있다. 공공행정·사회·개인서비스업과 금 융·보험·부동산·비즈니스서비스업도 전체 서비스산업의 GDP 비 중 증가에 각각 18%, 17% 정도 기여하였다. 운수·창고·통신업은 GDP 비중이 1980년 7.4%에서 2012년 9.5%로 증가하여 전체 서비스산 업의 GDP 비중 증가에 약 8% 정도 기여하였다. 최근 2000년대에는 서 비스산업에서 금융·보험업의 성장세가 두드러지며, 무역업, 도·소 매업, 전문·비즈니스서비스업의 성장세도 상대적으로 높다. 반면, 공

공행정·사회·개인서비스업과 운수·창고·우정서비스업은 이 기간 동안 GDP 비중이 감소하였다.

홍콩의 총 고용은 1980~2012년간 약 170만 명 증가하였는데, 동 기간 동안 서비스산업에서 234만명 증가, 제조업은 73만명 감소하였 다. 그 결과 홍콩 서비스산업이 전체 고용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980 년 44.9%에서 2012년 87.7%로 증가하였으며, 제조업은 1980년 45.0%

에서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2012년 현재 3.7%에 불과하다.

동 기간 동안 고용이 가장 크게 증가한 업종은 도·소매·무역·음 식·숙박업 78만명이며, 금융·보험·부동산·비즈니스서비스업 62 만명과 공공행정·사회·개인서비스업 65만명이 그 뒤를 잇고 있다.

2012년 현재 고용 비중이 가장 높은 업종은 도·소매·무역·음식·

숙박업 31.6%이며, 공공행정·사회·개인서비스업 25.6%도 높은 비 중을 차지하고 있다.

최근 들어서는 금융·보험·부동산·비즈니스서비스업에서 가장 많은 일자리가 창출되고 있다. 2000~2012년 동안 금융·보험·부동 산·비즈니스서비스업에서 23만개의 일자리가 창출되었으며, 공공행 정·사회·개인서비스업에서 18만개, 도·소매·무역·음식·숙박 업에서 17만개가 창출되었다.

(3) 무역구조의 변화

홍콩의 무역구조는 기본적으로 상품무역 중심이며 최근 들어 서비 스무역 규모의 증가속도가 다소 빨라지는 추세이다. 홍콩 무역구조에 서 가장 큰 변화는 상품수출의 경우 제조업이 쇠퇴함에 따라 자체수

출 중심에서 재수출 중심으로 변화하였다는 점이다. 전체 상품수출액 에서 자체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1970년 81.0%까지 이르렀으나 2013 년에는 1.5%에 불과한 반면, 재수출은 같은 기간 19.0%에서 98.5%로 증가하였다. 또한 제조업 기반이 취약해지면서 홍콩에서 필요한 상 품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게 됨에 따라 상품수입액 역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상품수출액 및 수입액은 1980~2013년간 각각 연평균 11.5%와 15.1%씩 증가하였다. 그 결과, 홍콩의 상품무역 수지는 관련 통계가 발표된 1950년대 초반 이후 지금까지 대부분의 기간 동안 적자 를 기록하고 있으며, 2000년대 중반 이후 적자규모가 계속 증가하고 있다. 상품무역 수지는 2004년 HKD 793억불 적자에서 지속 증가하여 2013년에는 적자규모가 HKD 5,010억불에 달하였다.

홍콩 무역구조의 또 다른 특징은 2003년 중국과 홍콩의 CEPA Closer

Economic Partnership Arrangement 협정 체결 이후 서비스수출이 빠르게 증가하

고 있다는 점이다. CEPA란 일국양제(一國兩制) One Country Two Systems하에 서 중국과 홍콩 간에 체결된 일종의 자유무역협정 Free Trade Agreement; FTA으 로, 2003년 6월 체결된 이후 2004년 1월 1일부터 발효되었다. CEPA 협 정으로 중국은 상품, 서비스, 투자 등의 분야에서 홍콩에 시장을 대폭 개방하여 홍콩이 중국시장 진출의 교두보가 되는 데 큰 역할을 하게 되 었다. 서비스수출은 1981~1991년간 연평균 16.4%로 매우 빠른 증가세 를 보였으나 1991~2004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5.4%로 둔화되었다. 그 러나 2004년 중국과의 CEPA 발효 이후 2012년까지 연평균 11.6% 증 가하였다. 서비스수입의 경우 연평균 증가율이 1981~1991년 16.1%, 1991~2004년 11.0%, 2004~2012년 5.4%로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중국과 홍콩 간 CEPA는 현재까지 총 65개 서비스 분야에 대해 폭

넓은 개방양허를 포함하고 있어 홍콩의 대중국 서비스수출 증가에 기 폭제로 작용하고 있다. 중국·홍콩 CEPA는 2003년 6월 협정이 체결된 이후 매년 1회씩 보충협정을 체결하고 있으며, 이 보충협정에서 서비 스 부문과 무역투자에 대한 개방을 주로 규정하고 있다. 가장 최근 체 결한 협정은 2013년 8월에 체결한 제10차 보충협정으로, 이 협정에는 65건의 서비스무역 개방조치와 금융협력, 무역 및 투자 촉진 관련 8개 조치가 포함되어 있다. 이번 65건의 서비스무역 개방조치를 포함하여 CEPA 협정에서 총 403개의 개방조치가 이루어졌다.

이와 같은 서비스무역 개방조치 하에서 홍콩의 대중국 서비스수출 규모 및 비중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대중국 서비스수출액은 2003년 HKD 1,023억불에서 2012년 HKD 2,694억불로 연평균 11.4% 증가하 였으며, 그 결과 대중국 서비스수출 비중이 2003년 28.8%에서 2012년 36.6%로 증가하였다. 이에 비해 홍콩이 중국 다음으로 서비스수출을 많이 하는 국가는 미국인데, 대미 서비스수출액은 2003년 HKD 744억 불에서 2012년 HKD 1,147불로 연평균 4.9% 증가하여, 대미 서비스수 출 비중이 2003년 20.9%에서 2012년 15.6%로 감소하였다.

홍콩은 서비스수출의 빠른 증가로 인해 2009년부터 서비스수지 흑 자를 달성하였다. 서비스수출 증가와 서비스수지 개선에 가장 크게 기 여한 업종은 여행업이다. 여행업은 2005~2012년간 서비스수출액이 HKD 1,764억불 증가하였는데, 이는 같은 기간 전체 서비스수출 증가 액의 44.6%에 해당하는 규모이다. 이와 같은 대규모 수출 증가로 인해 여행업 수지는 2005년 HKD 234억불 적자에서 2012년 HKD 1,008억불 흑자로 개선되었다. 운송 및 금융서비스의 대규모 수출 증가도 서비스 수지 개선에 기여하였다.

문서에서 HONG KONG (페이지 48-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