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국제금융센터로서 홍콩 금융시장의 실제 모습

문서에서 HONG KONG (페이지 94-106)

홍콩 금융관리국 HKMA의 우선적인 정책목표는 환율안정으로, 인플 레이션, 고용보다 환율안정에 더 역점을 두고 있다. 홍콩의 최우선 순 위는 안정성 유지이며, 자본과 금융시스템 강화를 통해 환율안정 지속 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정부의 재정건정성을 유지하는 규율이 작동하는 가운데, 금융시장 스스로 건전성과 자본 적정성을 유지하고 있다. 생산성과 유연성은 단 기적으로는 고통과 비용이 들지만, 홍콩의 장기적 발전을 위해서는 꼭 필요한 것이다.

범에 부합하는 효율적이고 투명한 규제제도 하에서 작동하고 있다.

홍콩의 높은 교육수준, 외부 전문인력에 대한 개방성, 자본시장의 풍부한 유동성 등이 홍콩의 금융기관들에게 매력적인 요소로 작용하 는 바, 2013년 기준, 홍콩의 금융업 종사자는 약 23.4만명으로 전체 노 동인구의 6.2%를 차지하고 있으며, 금융업이 홍콩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5.9%로 집계되고 있다.

아시아 금융중심지로서 홍콩

(2) 은행산업 : 중국 및 아시아에 대한 자금조달 채널

2014년말 현재 203개 은행이 홍콩에서 은행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세계 100대 은행중 71개 은행이 홍콩에 진출중이다. 그 결과, 홍콩에

소재한 글로벌 금융회사들은 홍콩 플랫폼을 이용하여 지점 설치 등을 통해 활발히 대중국 파이낸싱을 진행하고 있다. 즉, 전 세계 글로벌 금 융회사들은 홍콩에 법인 또는 지점을 설치하고 중국 및 아시아에 대 한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중국의 경제성장이 지속되면서, 홍콩 및 글로벌 기업의 대중국 영업이 확대되고 이는 파이낸싱 수요로 이 어지면서 홍콩 입지가 한층 강화되고 있다. 2014년 기준, 국제결제은 행(BIS)에 따르면, 대외포지션 기준으로 홍콩은 세계 7대, 아시아 2대 은행 센터이다.

홍콩 은행산업은 탄탄한 국제적 네트워크, 자본력 및 전문성을 보 유한 국제적 대형은행 Global Player들이 밀집함으로써 클러스터가 형성 되었다. 이와 같은 Critical mass는 국제금융센터로서의 지위를 견고 히 하는 데 매우 중요한 요건이 되었다. 최대한 많은 금융회사 전문인 력들이 한 곳에 모이면서 더욱 깊이 있고 방대한 시장이 조성되었다.

홍콩의 배후지인 중국의 경제발전과 빠른 성장은 파이낸싱, 채권발 행 및 무역금융 등 다양한 금융서비스 수요를 발생시키고 있다. 즉, 홍 콩에 진출한 국제적 대형은행과 중국의 성장 스토리가 만나면서, 홍콩 의 은행산업은 경쟁력, 건전성 및 성장성 모든 측면에서 매우 인상적 인 성과를 시현하고 있는 것이다.

홍콩내 은행간 시장 interbank market은 홍콩 도매금융중개의 핵심적 역 할을 수행하고 있다. 예를 들면 예금수취 은행이 여유자금을 지점을 보유하지 못한 외국계 은행에 공급하는 것이다.

홍콩달러와 미달러화간 페그제 운영을 통해 외국자본이 자유롭게 홍콩으로 유입·유출되면서 홍콩의 금융시장은 글로벌 금융시장, 특 히 미국의 금융시장과 긴밀하게 연결되고 있다.

홍콩 금융관리국 HKMA의 감독하에 예금수취 업무가 가능한 인가은 행기관 Authorized Institutions은 인가은행 Licensed Banks, 제한적 인가은행 Restricted Licensed Bank, 신탁예탁회사 Deposit-Taking Companies로 구분할 수 있다. 2014년 말 기준, 홍콩에는 159개의 인가은행, 21개의 제한적 인가은행, 23개 의 신탁예탁회사 등 203개의 인가은행기관이 1,370개 이상의 지점을 운영중이며 159개의 인가은행 중 152개가 홍콩 이외 지역·국가의 은 행이다. 홍콩의 은행간 자금시장도 매우 활발해서 2014년 일평균 거래 액이 HKD 2,114억불에 이르고 있다.

홍콩의 은행시스템을 건전성 측면에서 바라보면 세계경제와 외부 환경의 변동성 증가에도 불구하고, 자산건전성, 유동성 비율 등에서 홍콩의 은행시스템은 안정적으로 평가된다. 2013년말 기준, 홍콩 인 가은행기관의 예금 및 대출 금액은 전년 대비 각각 10.6%, 16% 증가 한 HKD 9조 1,780억불, HKD 6조 4,574억불을 기록하였다. 또한 인가 은행기관의 자산총액은 전년 대비 14% 증가한 HKD 16조 9,435억불 을 기록하였다.

홍콩금융관리국 HKMA은 홍콩 내 모든 은행들이 실시간 결제시스 템 RTGS을 통해 자금 결제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고 있는 바, 미달 러화, 유로화, 위안화 등도 동 시스템을 통해 실시간 결제가 가능토록 하여 결제리스크를 해소하고 있다.

(3) 세계 최대의 역외 위안화 허브

홍콩은 전 세계 기업과 금융기관에게 위안화를 통한 무역결제, 위 안화 파이낸싱 및 위안화 투자 서비스를 제공하는 독보적인 위안화 플

랫폼으로의 위상을 확보하고 있다. 즉, 홍콩내 위안화예금 등 위안화 유동성은 역외 위안화시장 중 가장 큰 규모로서 홍콩 은행들은 위안화 와 관련된 다양하고 정교한 금융서비스를 고객들에게 제공하고 있다.

특히, 홍콩은 최대 규모의 위안화 무역결제센터로서, 2009년부터 시작된 위안화 무역결제를 통해 홍콩에 위안화 유동성이 유입되기 시 작하였다. 그 결과 홍콩 금융시장내에 충분한 유동성 풀이 축적되고 이를 기반으로 위안화 채권 발행 및 대출 등 위안화 투자채널이 활성 화되고 위안화 선물상품 등 다양한 위안화 금융서비스가 제공되기 시 작하였다. 이와 같은 투자채널은 기업 등의 위안화 무역결제와 투자를 촉진하는 선순환 구조가 확립되었다는 의미에서 세계 최대의 위안화 역외금융시장이라고 할 수 있다.

홍콩 당국은 2004년부터 역외위안화 센터 육성을 추진한 바, 세계 에서 가장 큰 규모의 위안화 풀을 보유하고 있으며, 위안화 대출·자 산관리 센터로 발전중이다. 2014년말 기준, CD를 포함한 위안화 예금 은 전년 대비 10% 증가한 RMB 1조 1,580억위안을 기록중이며, 위안화 투자펀드·보험·통화선물·부동산투자신탁·파생상품 등 다양한 위 안화 투자상품도 제공되고 있다.

(4) 자본시장

가. 주식시장

홍콩의 주식시장은 일본 다음으로 아시아에서 가장 규모가 큰 시장 이다. 시장 활력 측면에서도 중국기업들을 중심으로 한 기업들의 신 규상장(IPO)이 활발하게 진행되는 살아 있는 시장이다. 이러한 추세

에 힘입어 2015년 기준 IPO 규모는 전세계 1위를 달성할 것으로 예상 된다.

공정성 측면에서도, 부정거래나 주가조작이 거의 없고, 기업의 기

초체력 Fundamentals을 기반으로 적정 가격이 형성된다.

홍콩 주식시장은 2014년말 기준, 외국인 투자가 제한된 상하이 제 외하고 시가총액 기준으로 세계 6위, 아시아 2위의 시장이다. 2014년 에는 모두 122개의 기업이 홍콩주식거래소에 신규 상장 IPO되었으며, IPO 금액은 HKD 2,330억불로 세계 2위 수준이다. 신규 상장기업은 대부분 홍콩과 중국 기업이지만, 말레이시아, 일본, 오스트레일리아, 싱가포르, 미국 등 해외 기업도 홍콩 주식시장에 상장을 하고 있다.

2014년말 현재 홍콩 주식시장에 876개의 중국 본토 기업이 상장되 어 있는 바 홍콩은 중국 본토 기업의 IPO 중심지로서 진화하고 있다.

이와 같은 중국 본토 기업과 관련된 IPO는 홍콩내 투자자산이 충분 히 형성됨으로써 자산운용업이 성장하는 계기로 작용하고 있다. 이는 다시 글로벌 자산운용사를 홍콩에 모이게 함으로써 홍콩의 국제금융 센터로서의 위상이 한층 강화되는 선순환 구조가 형성되었다고 평가 할 수 있다.

(단위: 10억 US)

거래소 동경 상해 홍콩 선전 뭄바이 한국 타이완 싱가포르

시가총액 4,378 3,933 3,233 2,072 1,521 1,213 850 752 GDP비중 94.8% 37.9% 1,119% 20% 74.2% 85.7% 160.7% 244.2%

*자료출처: World Federation of Exchanges, IMF

2014년말 기준, 1,752개 기업이 홍콩주식거래소의 메인보드와 성

장기업시장 Growth Enterprise Market; GEM보드에 상장되어 있으며, 시가총액은 HKD 25조불을 기록중이다. GEM보드는 메인보드 상장 기준에 매출액 과 수익 등이 못 미치는 기업들에 완화된 기준을 적용하여 상장을 통 한 자본조달이 가능한 시장인 데, 동 시장 조달금액도 HKD 3,790억불 로 전년 대비 24% 증가하였으며, 연간 34조 4,397억의 주가가 거래되 어, 총 거래금액은 14.8% 증가한 HKD 15조 2,650억불을 기록하였다.

홍콩 주식시장에 상장하는 기업 입장에서는 홍콩시장의 풍부한 유 동성 및 아시아 지역 투자자들에 대한 용이한 접근성 측면에서 홍콩 을 선택하고 있는 가운데, 홍콩주식거래소는 보다 많은 해외 기업들이 홍콩을 신규 상장 지역으로 선택하도록 유치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나. 글로벌 자산운용(Fund Management) 센터

아시아는 세계에서 부가 가장 빠른 속도로 축적되고 증권회사 및 자산운용사가 밀집한 지역으로, 홍콩은 이점을 전략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아시아지역으로의 투자자본 이동, 자산관리 수요 증가에 따라, 세계 수준의 인프라를 갖춘 홍콩이 아시아 자산관리 허브로 도약하 고 있다. 2013년말 기준 자산운용업, 프라이비트 뱅킹 Private Banking, 자 문업, 부동산신탁업 등을 모두 합한 펀드산업은 USD 기준 1조 6,007 억불로 전년 대비 -1.4% 감소한 바 있다. 이 중 72%가 홍콩 밖의 지 역에서 투자자금으로 유입되고 있다. 홍콩은 펀드산업에서도 아시아 지역 허브로서 2014년말 기준으로 2,009개의 신탁펀드와 뮤추얼 펀드 가 운용중이다.

홍콩의 사모펀드 산업은 대중국 투자에 중점을 두고 아시아의 사모 펀드 허브로서 발전하고 있다. 홍콩의 사모펀드 규모는 2013년말 기준

으로 USD 985억불로서, 2012년에는 아시아 전체 물량의 21%인 USD 94억불을 새로 모집하였다. 2012년 676개의 헤지펀드가 홍콩 증권선 물위원회에 등록되어 있으며 운용자산규모는 USD 870억불로서 2004 년 대비 10배 이상 성장하였다. 미국 43%, 유럽 19%의 투자자로부터 투자자금을 모집하고 중국 28%와 아시아·태평양 38% 지역에 투자함 으로써 홍콩의 헤지펀드 산업은 아시아 허브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홍콩의 경우 상속세, 양도소득세, 배당소득세 등이 없어 프라이비 트 뱅킹이 꾸준히 발전하고 있다. 2013년 6월 기준 프라이비트 뱅킹 서비스를 제공하는 금융기관은 45개이며, 2012년 현재 운용자산규모 는 USD 3,460억불에 달하고 있다. 규제·세제 측면에서 우호적 환경 조성을 위해, 홍콩 재정부총리는 2013~2014년 예산안에서 홍콩의 자 산관리 서비스 발전방안을 발표하고, 역외펀드로서 사모펀드에 대한 세금 면제 제안, 개방형 투자회사가 펀드 형태로 홍콩에 주소를 둘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아울러, 개인자산관리 Private Wealth Management 종사자들의 업무윤리·

청렴성·전문성 제고를 위해 2013년 개인자산관리협회가 창립되었고, 개인자산관리협회는 홍콩의 감독기관 및 전문 교육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개인자산관리 종사자들에게 요구되는 전문적 지식수준 제고 및 지속적인 교육을 위한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다.

다. 홍콩의 채권시장

홍콩달러표시 채권발행 기준으로, 홍콩의 2014년말 채권시장은 외 환기금 증권 및 채권 포함해 전년 대비 3.1% 증가한 HKD 2.43조불 규 모로 성장하였다. 특히, 2013년 7월에는 이슬람채권(수쿠크) 시장을

문서에서 HONG KONG (페이지 94-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