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라이센싱 산업

문서에서 HONG KONG (페이지 126-130)

(1) 라이센싱 산업의 허브

홍콩은 다국적 기업에게 중국 본토에서의 라이센스 사업 확장을 위 한 전략적 기반으로 활용되고 있다. 홍콩은 라이센서 및 라이센시, 중 개업체, 제조업체에게 지적재산 보호, 사업 계약 준수, 유통망, 우수 한 라이센시로의 접근성, 라이센스 산업 인력 형성, 중국 본토와의 긴 밀한 연결고리라는 측면에서 명확한 이점을 제공하는 이상적인 라이 센스 플랫폼으로 평가되고 있다.

아시아 지역의 최고 라이센싱 행사인 홍콩 국제 라이센싱 쇼 Hong

Kong International Licensing Show는 2002년부터 매년 개최하고 있으며, 홍콩이

아시아에서 라이센싱 허브로 발돋움 하는 계기가 되었다. 2014.1월 동 라이센싱 쇼에는 국제적인 제조업자, 라이센서, 유통업자, 소매업자 등 약 18,000명이 방문하였고, 19개국의 출품업자(230개)들이 브랜드 700개 이상을 선보였다.

2010년 국제 라이센싱 산업협회 International Licensing Industry Merchandisers'

As-sociation: LIMA는 홍콩에 6번째 사무소를 설립했다.

또한, 동남아 지역 라이센싱 시장에서 영업을 영위하는 LIMA 회원 사는 홍콩을 사업 네트워크 확장 및 라이센싱 사업 홍보를 위한 허브

로 활용하고 있다. LIMA 홍콩사무소는 아시아 지역의 라이센싱 거래 중심지인 홍콩의 역할을 강화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2) 라이센싱 산업의 모습

가. 시장특성

홍콩의 라이센스 시장은 1990년 초반에 형태를 갖추기 시작해 단기 간의 발전 역사에도 불구하고 홍콩은 아시아 지역에서 고도의 라이센 싱 시장으로 성장했다.

홍콩에서는 미국·일본의 캐릭터 및 엔터테인먼트 지식재산권이 인기가 많다. 또한, 홍콩 소비자들은 최신 라이센스·고가 high-end 국제 브랜드 제품, 최신 시장 유행에 민감하며 라이센스 상품 주요 품목으 로는 음식, 음료, 장난감, 선물용품, 문구용품, 컴퓨터용품 등이 있다.

나. 서비스 공급자

홍콩은 자체 브랜드 및 지식재산권은 별로 없으나, Warner Bros, Mattel, National Basketball Association(NBA) 등의 국제 라이센서 가 홍콩에 설립한 지역 사무소는 아시아 지역의 라이센스 본부 역할 을 하고 있다.

유명 외국 라이센서는 아시아 비즈니스 개발을 위해 홍콩 라이센싱 대행사에게 독점적인 지적재산권을 위탁하고 있는 바, YGM Trading 등 홍콩 기업은 유럽 디자이너 브랜드의 라이센시로서 중국 본토 및 기타 아시아 지역의 판매 및 유통을 관리하고 있다.

중국 및 동남아시아 시장의 발판인 홍콩에는 다수의 유럽 및 일본,

미국의 글로벌 라이센싱 중개업체 및 브랜드 운영 회사들이 사무소를 설립하고 있다.

다. 라이센싱 수출입

홍콩이 아시아 지역의 라이센싱 영업의 허브로써, 홍콩 현지 사업 체는 기타 아시아 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라이센서와 라이센싱 중개 업체들로 운영중이다.

라. 산업발전

인터넷 영향으로 국제 라이센싱 사업에 있어 캐릭터, 브랜드, 패션 유행 등은 급속도로 전파되고 있으며 제품생산에서 시장 전시까지 소 요되는 시간은 단축되고 있는 추세이다. 인터넷 보급률 및 아시아 지 역의 전자기기 보유율 증가로 디지털 미디어 및 온라인 비디오, 게임 이 라이센스 제품 홍보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Facebook과 같은 소셜 미디어는 새로운 마케팅 저작권을 위한 주요 채널이다.

홍콩의 공공 및 민간 부문은 홍콩이 국제적인 라이센싱 허브의 역 할을 할 수 있도록 힘써 왔다. 홍콩 정부는 2011년 11월 중국 정부와 처 음으로 IP 협력 협정 IP cooperation agreement을 체결하여 법률, 교육, 직원 교 육 분야에서의 협력을 강화하여 왔다. 2002년 홍콩 국제 라이센싱 쇼 는 아시아 지역에서의 주요 행사이며 홍콩이 아시아 지역 라이센싱 허 브로 굳히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2014년 1월 홍콩 국제 라이센싱 쇼에 는 100여개 지역의 제조업체, 라이센시, 소매업자, 유통업자 약 18,000 명 이상이 방문하였으며, 19개국 230개의 출품업자들이 700개 이상의 브랜드를 선보이기도 하였다.

(3) 라이센싱산업 발전 및 향후 전망

가. 중국의 부상

글로벌 라이센싱 시장이 전체적으로 정체 추세지만, 일본을 제외한 아시아 지역, 특히 중국 시장의 라이센싱 시장은 성장하고 있다. 중국 라이센스 시장 평균 성장률은 20%대로서, 짧은 역사에도 불구하고 아 시아에서 일본에 이어 최대 라이센싱 시장으로 발돋움 하였다. 중국 전자상거래가 라이센싱 산업에 있어 중요해짐에 따라 해외 브랜드는 B2C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하여 중국에서 인기를 확보하였다.

홍콩 라이센싱 대행업체는 중국 및 동남아시아에 강력한 네트워크 를 보유하여 새로운 기회를 모색하는 다수의 외국 라이센서에게 선호 되고 있다. 홍콩에 위치한 라이센싱 회사들은 상하이 또는 광저우 등 지에 사무소를 설립하여 중국 본토에서 활동 중이다. 한편, 홍콩은 중 국에 위치한 회사들이 홍콩의 우수한 국제 네트워크 및 PR지원, 개인 훈련 등의 수준 높은 라이센싱 서비스를 지원 받아 해외로 브랜드 및 상표를 홍보하는데 관문으로 평가받고 있다.

나. 중·홍콩 CEPA에서 중국의 양허내용

CEPA로 인해 중국시장이 홍콩 제품 및 홍콩기업을 위한 유통부문 에 더욱 크게 개방되었다. 라이센싱 사업에 있어 유통채널이 매우 중 요하므로 외국 라이센서는 국제수준에 맞는 지적재산권 보호 및 서비 스를 제공하는 홍콩 기업들을 디스트리뷰터로 선호되고 있다. 중국 본 토에 위치한 홍콩 유통업체 및 파트너, 유통채널을 구축하려는 홍콩 제조업체들은 유명 외국 재산권 분야의 라이센시로서 선호되고 있다.

CEPA로 인해 홍콩 제조업체/라이센시는 다양한 혜택을 누릴 수 있는 바, 원산지 규정을 충족하는 홍콩산 제품은 현재 관세 없이 중국시장 에 진입이 가능하다.

문서에서 HONG KONG (페이지 126-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