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2절 연구 결과의 의미와 한계

2. 정책적 활용에서의 의미와 한계

국가 단위처럼 상당히 큰 인구집단에 대해 통합된 직관적 정보는 전체 적으로 시스템 성과를 점검하고 세부적인 정책들을 정교하는 계기를 마 련해 줄 것이다. 하지만 의료시스템 단위에서 접근은 방법론적으로 정교 한 교정이 제한되는 한계가 많기 때문에 많은 비판을 받을 수 있다.

의료시스템 전반에서 서비스 제공자들이 환자의 경험을 향상시키기 위 해 시도하고 있는 다양한 혁신은 궁극적으로 시스템 단위에서 의료의 질

과 결과의 향상이라는 성과로 측정되어야 하며, 시스템 전반에서 혁신의 향상은 이러한 성과의 더 큰 증가분으로 측정될 것이다. 특히 가치 기반 의료시스템 구축 방향에서는 시스템 단위에서 투입된 총비용의 증감분 대비 성과의 증감분을 함께 고려하는 접근이 요구되고 있다. 즉, 개별적 으로 혁신 정책의 효과를 평가하는 접근과 별도로, 다양한 혁신활동(정 책, 서비스, 제품 등의 사용 및 실현)이 상호 연계되어 궁극적으로 국민 개개인이 경험하는 의료의 질과 결과를 향상시키고 국민의 건강수준 향 상으로 이어지는 공유 기전 마련에 이 연구가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강희정, 하솔잎, 이슬기, 김소운, 김남순, 이광수, 정희자, 인병로. (2014). 한국 의료의 질 평가와 정책과제 II: 한국 의료의 질 보고서 개발. 한국보건사회 연구원.

강희정, 하솔잎, 이슬기, 김소운, 홍재석, 이광수. (2015). 한국 의료 질 보고서: 의 료서비스 질 향상에 대한 의료시스템의 성과와 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강희정. (2016). 건강보험제도의 현황과 정책과제. 보건복지포럼. 2016(1), pp.15-30.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14). 2014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결과 종합보고서.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16a). “심평원, ‘16년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계획 공개 – 환자안전․환자경험 등 평가영역 확대 및 의료질평가지원금 연계 강화”, 보도자료 2016.2.22.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16b). 2016년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계획 안내.

김윤. (2014). 4대 중증질환 보장성 강화정책의 평가. 대한의사협회지, 57(3), pp.198-203.

대한병원감염관리학회. (2014). KONIS Manual 2014.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http://www.la w.go.kr/lsInfoP.do?lsiSeq=173855&efYd=20160812#0000에서 20 16. 10. 11. 인출.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결핵예방법, http://www.law.go.kr/lsInfoP.do?ls iSeq=180755&efYd=20160804#0000에서 2016. 10. 11. 인출.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공공의료에 관한 법률, http://www.law.go.kr/lsIn foP.do?lsiSeq=180756&efYd=20160804#0000에서 2016. 10. 13.

인출.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국민건강보험법, http://www.law.go.kr/lsInfoP.d o?lsiSeq=180741&efYd=20160804#0000에서 2016. 10. 11. 인출.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국민건강증진법, http://www.law.go.kr/lsInfoP.d

o?lsiSeq=181391&efYd=20160903#0000에서 2016. 10. 14. 인출.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국민영양관리법, http://www.law.go.kr/lsInfoP.d o?lsiSeq=178151&efYd=20151229#0000에서 2016. 10. 14. 인출.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국민영양관리법 시행규칙, http://www.law.go.kr/

lsInfoP.do?lsiSeq=171162&efYd=20160301#0000에서 2016. 10. 1 4. 인출.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노인장기요양보험법, http://www.law.go.kr/lsInfo P.do?lsiSeq=178130&efYd=20160630#0000에서 2016. 10. 11. 인출.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본인일부부담금 산정특례에 관한 기준, http://ww w.law.go.kr/admRulLsInfoP.do?admRulSeq=2100000051770에서 2016. 10. 11. 인출.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http://www.law.go.kr/lsInfo P.do?lsiSeq=172251&efYd=20151223#0000에서 2016. 10. 11. 인출.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의료급여법, http://www.law.go.kr/lsInfoP.do?ls iSeq=180751&efYd=20160804#0000.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의료법,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

=181848&efYd=20160804#0000에서 2016. 10. 13. 인출.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 조성을 위한 법률, http:/

/www.law.go.kr/lsInfoP.do?lsiSeq=111579&efYd=20120331#000 0에서 2016. 10. 14. 인출.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정신보건법, http://www.law.go.kr/lsInfoP.do?ls iSeq=171023&efYd=20151119#0000에서 2016. 10. 14. 인출.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호스피스·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 의료결정에 관한 법률,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180 823&efYd=20170804#0000에서 2016. 10. 13. 인출.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환자안전법, http://www.law.go.kr/lsInfoP.do?ls iSeq=167782&efYd=20160729#0000에서 2016. 10. 11. 인출.

보건복지부. (2006). “보건복지부, 국가알코올종합대책 『파랑새 플랜』 발표”, 보 도자료 2006. 8. 29.

보건복지부. (2012a). 제1차 국민영양관리기본계획(2012~2016년).

보건복지부. (2012b). 노인장기요양보험 기본계획.

보건복지부. (2013a). 4대 중증질환 보장강화 계획 세부내용.

보건복지부. (2013b). 말기암환자 전문 의료체계 정착을 위한 호스피스완화의료 활성화 대책.

보건복지부. (2013c). “2013~2017 응급의료기본계획 확정”, 보도자료 2013.

2. 14.

보건복지부. (2015a). 제4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2016~2020.

보건복지부. (2015b). “15년 7월 15일, 말기 암 호스피스 입원 건강보험 적용 시작, 연내 가정호스피스도 시행”, 보도자료 2015. 7. 14.

보건복지부. (2015c). “신종감염병 대응 24시간 긴급상황실 설치 등 국가방역체 계 개편”, 보도자료 2015. 9. 1.

보건복지부. (2015d). “응급의료기관 법정기준 충족률 전년대비 2.5%p 증가 – 3년 연속 법정기준 미충족 응급의료기관 6개소 지정취소”, 보도자료 2015. 3. 13.

보건복지부. (2015e). 2014~2018 건강보험 중기보장성 강화계획.

보건복지부. (2015f). 「제3기 심뇌혈관질환 종합대책(2016~2020) 개발」 제안요청서.

보건복지부. (2015g). 의료질평가지원금 산정을 위한 기준. 보건복지부고시 제 2015-212호.

보건복지부. (2015h). 2015년 분만취약지 지원 사업 안내.

보건복지부. (2016a). “정신건강에 대한 전사회적 대응역량 강화”, 보도자료 2016. 2. 23.

보건복지부. (2016b). 제1차 공공보건의료 기본계획(2016~ 2020).

보건복지부. (2016c). “동네의원 중심의 만성질환 관리 강화”, 보도참고자료 2016. 6. 7.

보건복지부. (2016d). “만성질환 관리 시범사업 – 보건복지부, 대한의사협회 공

동 추진”, 보도참고자료 2016. 8. 26.

보건복지부. (2016e). “건강관리, 터치 한번으로. 보건소의 똑똑한 건강관리”, 보도자료 2016. 9. 11.

보건복지부. (2016f). 「의료질평가지원금 산정을 위한 기준」 일부 개정.

보건복지부. (2016g). “55~74세 고위험흡연자 대상 폐암검진 도입 – 암생존자 통합지지체계 구축, 호스피스 확충, 정밀의료 기반구축 등 제3차(`16~`20 년) 국가암관리 종합계획 발표”, 보도자료 2016. 9. 8.

보건복지부. (2016h). “호스피스·완화의료와 연명의료중단의 법적 근거 마련 – 호스피스·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법률 제정 공포, `17년 8월부터 시행 예정”, 보도자료 2016. 2. 3.

보건복지부. (2016i). “말기 암 가정 호스피스 시범사업, 17개 의료기관에서 3월 2일부터 시작”, 보도자료 2016. 2. 12.

보건복지부. (2016j). “국가방역체계 개편방안 주요과제 후속조치 추진 중”, 보 도자료 2016. 5. 19.

보건복지부. (2016k). “15년 응급의료기관 평가결과, 취약지 법정기준 충족율 개선, 대형병원 응급실 과밀화는 여전. 복지부, 평가결과에 따라 응급수가 차등, 3년마다 재지정 등 제도개선 추진”, 보도자료 2016. 3. 3.

보건복지부. (2016l). “정진엽장관, 질병관리본부 조직개편 후 첫 현장방문 – 긴 급상황실에서 일일 상황 보고받고 WPRO신영수 처장과 영상회의”, 보도 자료 2016. 1. 6.

보건복지부. (2016m). “2016년 7월 29일, 환자안전법 시행된다! - 환자안전사고 의 자율보고 등 국가차원의 환자안전시스템 출범”, 보도자료 2016. 7. 28.

보건복지부, 의료기관평가인증원. (2014). 의료기관인증 조사기준-상급종합병원용 (Ver 2.0).

보건복지부, 의료기관평가인증원. (2016). 요양병원 인증조사기준집(Ver 2.0).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2013). 제1기(2013~2017) 결핵관리 종합계획 수립 지침.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2016). 2016년도 감염병 관리 사업 지침.

보건복지부 등 관계부처. (2016). 정신건강종합대책.

알코올사업지원단, 카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2011). 음주폐해 감소를 위한 국가 전략 2020.

오윤섭, 윤석준. (2015). 국민의료비 추이와 지속가능한 의료정책 방향. 감사원.

장광순, 김용범, 구일섭. (2010). 기업의 혁신활동과 경영성과와의 관계: 국내 중 소제조업을 중심으로. 품질경영학회지, 38(4), pp.512-620.

정형선, 신정우, 하솔잎, 이슬기, 장 준, 진다빈, 서은원. (2014). 국민보건계정.

보건복지부. 연세대학교 의료복지연구소,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질병관리본부. (2014). 만성콩팥병 예방관리사업 소개,

http://www.cdc.go.kr/CDC/contents/CdcKrContentView.jsp?cid

=26607&menuIds=HOME001-MNU1110-MNU1113-MNU1463.

2016. 10. 23. 인출.

질병관리본부. (2016). 2016년 고혈압당뇨병 등록관리사업 표준 실무지침.

위키백과. (2016). https://ko.wikipedia.org/혁신. 2016. 9. 10. 인출.

홍정주, 이정원, 조용래, 이상엽, 원상현. (2014). 혁신 정책의 변화와 한국형 혁 신 시스템의 탐색. 과학기술정책연구원.

Abt Associates. (2015). Evaluation of Hospital~Setting HCIA Awards:

First Annual Report.

Acumen and Westat. (2014). Evaluation of the Shared Decision Making (SDM) & Medication Management (MM) Health Care Innovation Awardees: Annual Report.

Statistics Canada and Canadian Institute for Health Information (CIHI) (2012). Health Indicators 2012. CIHI.

Carolyn R., Alan Z., Eric F. (2011). Dynamic Microsimulation Models for Health Outcomes: A Review. Medical Decision Making. 31(1), pp.10-18.

Council of Canadian Academies, CCA. (2013). Innovation Impacts:

Measurement and Assessment. Otawa; Council of Canadian Academies.

Deborah P., Rebecca L., Boyd G., Randall B. (2012). The Effects of Transitional Care Models on Re~Admissions: A Review of the Current Evidence. Generations—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on Aging 36(4), pp.44–55.

Deirdre H., William F., Peter T., Carol B., Meltem T., Jacek K., Michael W., Douglas M. (2015). The Population of Health Model (POHEM): An Overview of Rationale, Methods and Applications.

Population Health Metrics. pp.13-24.

Desai, M., E. Nolte, M. Karanikolos, B. Khoshaba,M. McKee. (2011) Measuring NHS Performance 1990– 2009 Using Amenable Mortality: Interpret with Care. Journal of the Royal Society of Medicine 104(9), pp.370–79.

Dixon-Woods, M., Amalberti, R., Goodman, S. Bergman, B., Glasziou, P. (2016). Problems and Promises of innovation: why healthcare needs to rethink its love/hate relationship with the new. BMJ Qual Saf. 20(1), pp.i47-i51.

Donald B. (2003). Disseminating Innovations in Health Care. JAMA, 289(15), pp.1969-1975.

Epstein M.J,, Lee J.Y. (2009). Advances in management accounting.

WA, UK: Emerald JAI press

Eugenio Z., Andrew M. J., Nigel R. (2010). The Evaluation of Health Policies through Microsimulatin Methods. Health, Economietircs and Data Group Working Paper 10/03. pp.1-37.

Eurostat. (2014). Amenable and preventable deaths statistics. Available athttp://ec.europa.eu/eurostat/statistics~explained/index.php/

Amenable_and_preventable_deaths_statistics. 2016. 10. 1. 인출.

Fleuren M., Wiefferink K., Paulussen T. (2004). Determinants of innovation within health care organizations. International Journal for Quality in Health Care, 16(2), pp.107-123.

Hurst J. (2010). Effective ways to realize policy reforms in health systems. OECD Health Working papers No.51, OECD.

Jean A. (2012). State Health Reform Assistance Network, Predicting the Effects of the Affordable Care Act: A comparative Analysis of Health Policy Simulatin Models. pp.1-8.

Kim K.J. (2012). A proposal for the disruptive innovation of healthcare delivery system in Korea. J Korean Med Assoc 55(8), pp.791-797.

Lansisalmi, H., Kivimaki, M., Aalto, P., Ruoranen, R. (2006). Innovation in Healthcare: A Systematic Review of Recent Research.

Nursing Science Quarterly, 19, pp.66-72.

Lavergne M.R., McGrail K. (2013). What, If Anything, Does Amenable Mortality Tell Us about Regional Health System Performance.

Health Care Policy 8(3), pp.79-91.

Lewin Group (2015). CMS Bundled Payments for Care Improvement Initiative Models 2~4: Year 1 Evaluation and Monitoring Annual Report.

Luz M.T., Teresita L., Joel E. (2014). Qualitative evaluation: A critical and interpretative complementary approach to improve health programs and services. International Journal of Qualitative Studies on Health and Well~being 9, pp.1-6.

Margaret H. (2010) Evaluating System Change: A Planning Guide.

Mathematica Policy Research. pp.1-20.

Mathematica Policy Research. (2014). Evaluating the HCIA - Behavioral Health/Substance Abuse Awards: First Annual Report.

Mckay N., Deily M.E. (2008). Cost inefficiency and hospital health outcomes. Health Economics 17, pp.833-848.

Margaret H. (2014). Rapid Evaluation Approaches for Complex Initiatives. Mathematica Policy Research. pp.1-23.

Michael P., Kate M., Nan W. (2015). Developmental Evaluation Exemplars: Principles in Practice. Guilford Press.

Michael S. (1966). The methodology of evaluation. Social Science Education Consortium Newsletter. pp.1-57.

Murray C.J.L., Frenk J.A. (2000). framework for assessing the performance of health systems. Bulletin of the World Health Oragnization, 78(6), pp.717-731.

NHS Right Care. (2011). NHS atlas of variation in health care: reducing unwarranted variation to increase value and improve quality.

Nolte E.M., Mckee M. (2004). Does Helth Care Save Lives? Avoidable Mortality Revisited, Nuffield Trust.

Nolte E.M., McKee M. (2008). Measuring the Health of Nations:

Updating an Earlier Analysis. Health Affairs 27(1), pp.58-71.

Nolte E.M., McKee M. (2011). Variations in Amenable Mortality~Trends in 16 High~Income Nations, Health Policy 103(1), pp.47-52.

NORC at the University of Chicago. (2014). HCIA Complex/High~Risk Patient Targeting: First Annual Report.

NORC at the University of Chicago. (2014). HCIA Disease~Specific Evaluation: First Annual Report.

OECD. (2015). Fiscal substantiality of health systems: bridging health and finance perspectives. OECD Publishing.

OECD. (2015). Fiscal substantiality of health systems: bridging health and finance perspectives. OECD Publish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