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 혁신의 일반적 정의와 과정

혁신은 “새롭거나 현저히 개선된 1)제품(상품 혹은 서비스), 2)공정, 3) 마케팅 기법, 또는 4)조직화 방법(사업 수행, 사내 조직, 외부 관계)을 시 행하는 것으로서 정의되며, 이러한 정의는 혁신의 최소요건으로 기업 활 동에서 반드시 새로운 것(혹은 현저히 개선된 것)이어야 하며, 실증단계 이상으로 진행되어야 함”을 제시하고 있다(OECD, 2005, p.46; 홍정주 등, 2014, p.10에서 재인용).

이와 관련하여 OECD(2005, p.49)의 오슬로 매뉴얼에서는 혁신을 공 정, 제품, 마케팅, 조직의 4가지 분야로 구분하여 정의하고 있다. 각 분야 에서 혁신은 이전보다 현저히 개선된 새로운 상품, 서비스, 방법의 도입 과 제공을 의미한다. 아울러 OECD(2005, p.33)는 공공부문에서 혁신을

유도하기 위한 성과 측정을 개발해야 함을 부각시키고 있다.

홍정주 등(2014, pp.12-13)은 혁신 이론가들의 정의를 바탕으로 혁신 의 속성을 새로움(Novelty), 영향(Impact), 혁신이 작용하는 영향의 수 준으로 구분하여 제시하고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첫 번째, 새로움 은 기술의 적응과 변화가 요구됨으로 이에 필요한 역량과 점진적인 혁신 의 절차들이 강조된다. 두 번째 속성인 영향은 그 파급력에 따라 점진적 혁신(Incremental Innovation), 급진적 혁신(Radical Innovation), 파괴적 혁신(Disruptive Innovation)으로 구분되는 특성을 의미한다.

점진적 혁신은 상대적으로 단기간에 일어나는 크지 않은 변화를 의미하 며, 급진적 혁신은 기업의 제품과 공정 면에서 상당한 영향력이 발휘되는 큰 변화이지만 시스템적 변화를 초래하지 않는 정도의 혁신을 의미하며, 파괴적 혁신은 시스템의 변화를 초래하는 것으로, 모든 종류의 혁신(제 품, 공정, 마케팅, 조직) 요소를 포함하여 많은 이해관계자들의 참여와 행 동을 통해 발전하고 시행되는 시스템 혁신을 의미한다(Tidd & Bessant, 2009; 홍성주 등, 2014, p.13에서 재인용). 마지막으로 혁신이 영향을 미치는 수준은 개개의 기업, 제품, 서비스 수준, 기술 분야, 제품 시스템 및 지역 수준, 전체 경제나 국가 혁신 시스템의 수준으로 구분될 수 있다 (Tidd & Bessant, 2009; 홍성주 등, 2014, p.13에서 재인용).

Fleuren 등(2004, p.108)의 연구에 의하면 혁신 과정은 크게 네 가지 단계로 구성되며, 혁신을 결정하는 몇 가지 요인들에 의해서 그 과정들이 진행될 수도 멈출 수도 있다. 혁신을 결정짓는 네 가지 요소들은 첫째, 사 회․정치적 맥락의 특성들로 규범, 법규 및 환자 개인의 특성에 해당된다.

둘째, 조직의 특성들로 조직 내 구성원들의 이직률, 의사결정 과정이 포 함된다. 셋째, 혁신을 수용하는 구성원들의 특성으로 지식, 기술, 동료들 로부터 인지된 지지도가 포함된다. 마지막은 혁신의 특성으로 복잡성과

상대적 우월성을 포함한다.

〔그림 2-6〕 혁신의 결정 요인과 혁신 과정

사회• 정치적 맥락의 특성들

조직의 특성들

혁신을 수용하는 구성원들의 특성들

혁신의 특성들

전파 수용

실행 지속화 혁신전략의 특성들

혁신의 결정 요소 혁신 과정

자료: Fluren et al.(2004). p.108.

결과적으로 혁신이 일으키는 새로움은 그 전달력과 파괴력에 따라 전 체 시스템과 연결된 속성을 가지며, 혁신 정책은 단지 미시수준에서 조직 의 혁신 활동을 촉진하기 위한 것뿐 아니라 국가적 시스템 영역으로 영향 범위를 확대시킨다(홍정주 등, 2014, p.13). 이러한 혁신의 속성들을 고 려할 때, 혁신에 대한 관심은 개별 행위자 중심에서 시스템 관점으로 우 리의 시각을 변화시켜 왔으며, 이에 대응하여 시스템 수준에서 혁신의 결 과를 측정하고 평가하는 접근의 필요성도 증가시켜 왔다고 할 수 있다.

2. 보건의료에서 혁신의 정의와 과정

새로움(Novelty)은 의도된 편익을 위한 작동 요소로서, 의료 조직에서 혁신의 특성은 새로운 서비스, 작업 방식, 기술로 이해되는 것이 전형적

이다(Lansisalmi, et al., 2006, pp.66-67). 의료제공에서 질(quality), 혁신(innovation), 경제적 제약(economic restrains)의 조화가 중요하 며(Porzsolt et al., p.1) 의료 질과 시스템의 효율성 측면에서 혁신은 나 머지 두 요소와 상호 연관성을 갖고 두 요소의 향상을 촉진하는 모든 요 소를 포함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Omachonu와 Einspruch(2010, P.14)에 따르면, 보건의료에서 혁신 은 환경적, 운영적 차원으로 구분된다. 이들 차원은 보건의료 조직 내에

자료: Omachonu & Enspruch(2010). p.14.

보건의료 조직을 복잡한 시스템(Complex System)으로 보는 시각의 연구들은 시스템의 진화(evolution)는 관계 주체들 간의 상호작용의 결과 이며, 관찰할 수 있는 결과들은 단순한 부분들 간의 합 이상일 수 있고 초 기의 미세한 차이가 결과에서 엄청난 차이를 일으킬 수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Plsek and Greenhalgh, 2001, p.626). 즉, 보건의료시스템이 발전 하는 비선형적 특성(non-linearity)은 서비스 제공에서 혁신(innovation) 의 결과를 반영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보건의료시스템 내에서 변화의 수용 범주는 크게 세 단계(창조적 사고 의 생산, 일상 업무에서 실행, 광범위한 채택)의 과정으로 순환된다고 할 수 있다. 특정 혁신과 관련된 개별 조직의 관점에서 이러한 세 단계의 과 정은 단일하게 또는 복수로 그리고 순서대로 역할을 할 수 있다. 혁신과 관련된 과정들은 보건의료시스템을 구성하는 조직들의 구조, 과정, 패턴 과 관련된 범주 내에서 발생한다(Plsek, 2003, p.5).

〔그림 2-8〕 의료에서 혁신의 채택 측면

자료: Plsek(2003). p.5.

3. 혁신을 평가하는 개념의 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