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정의와 배려의 상호보완적 통합의 추구

Ⅱ. 정의와 배려의 통합을 위한 이론적 토대

3. 정의와 배려의 상호보완적 통합의 추구

(1) 정의와 배려의 상호보완적 통합의 필요성

앞에서 우리는 정의와 배려의 통합을 강조하는 다양한 학자들의 이론 을 살펴보았다. 이들은 비록 통합 방식에 있어서는 차이를 보이지만, 인간 의 도덕성에 있어서 정의와 배려의 상이한 관점이 존재하며, 이를 통합적 으로 발달시켜야 한다는 점에서 의견을 같이 한다. 심지어 두 도덕성의 구 분을 인정하지 않는 이론조차도, 정의 혹은 배려의 관점을 포괄적으로 해 석하여, 하나의 도덕성 안에 다른 하나의 특성을 포섭하려고 한다. 이 또한 인간의 도덕성에 정의와 배려가 모두 필요함을 반증하여 준다. 정의와 배 려의 통합이 필요하다는 대전제에 동의한다면, 다음 과제는 둘 사이의 바

59) K. A. Strike,“Justice, Caring, and Universality: In Defense of Moral Pluralism", in M. Katz &

N. Noddings & K. Strike (Eds.), 앞의 책, pp. 21-23.

60) K. A. Strike, 위의 글, pp. 35-36.

람직한 통합 방안을 찾는 일이다. 이에 대해 본 연구는 정의와 배려의 상 호보완적 통합을 이상적인 통합 방안으로 제시한다. 상호보완적 통합이 필 요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의와 배려의 관점이 모두 존재한다고 보는 것이, 어느 하나 만 을 중심으로 도덕성을 설명하는 것보다, 우리에게 도덕성에 대한 이해를 더욱 풍부히 해주기 때문에, 정의와 배려를 상호보완적 관점으로 바라보고 통합을 추구할 필요가 있다. 인간의 도덕성은 사고, 감정, 행위와 관련된 다양한 도덕적 능력이 상호작용하는 복잡한 과정을 포함하며, 단일한 하나 의 원리만으로 파악하기 어렵다. 도덕적 행동에 이르는 과정은 도덕적 행 위자의 사회적이고 인지적인 기능 및 경험에 영향을 받으면서 정의와 배려 와 같은 상이한 수단들을 상이한 방식으로 활성화한다. 하지만 정의 혹은 배려, 또는 어떤 지배적인 관점이나 일렬로 세울 수 있는 관점이 있는가, 혹은 도덕적 관점채택과 같이 단일한 구조가 있는가를 규명하고 분석하는 것은 문제를 지나치게 단순화하는 것이다.61) 때문에 정의나 배려를 적대적 혹은 양자택일적 관계로 바라보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도덕성을 잘못된 이분법 형태로 범주화하고 분석하는 것은, 하나를 다 른 것에 포섭시키거나 다른 관점의 중요성을 배재하게 된다. 두 가지 렌즈 를 가지고 도덕적 지향성을 바라보는 대신, 다양한 요소들과 관점들이 함 께 작용하고, 항상 변화하며, 상호보완하는 것으로서 도덕성의 복잡성을 이 해할 때, 사람들의 사고와 행동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62) 우리는 굳이 정의와 배려만이 도덕성의 전부라거나, 두 가지가 서로 중복됨이 전 혀 없는 서로 다른 도덕성이라고 주장할 필요도 없다. 이러한 논의를 제외 하더라도, 도덕성에 있어서 정의와 배려가 도덕적 사고와 정서 작용의 중 요한 요소이면서 서로 다른 관점에서 도덕적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는 점 을 이해한다면, 정의와 배려의 소통과 상호작용을 통한 상보적 관계를 충 분히 지지할 수 있을 것이다.

61) D. E. Schrader, “Justice and Caring: Process In College Students' Moral Reasoning Development", in M. Katz & N. Noddings & K. Strike (Eds.), 앞의 책, p. 45.

62) D. E. Schrader, 위의 글, p. 45..

둘째, 인간의 삶 속에서 발생하는 갈등과 도덕 문제가 너무나 다양하 고 복잡하여 단일한 도덕 원리만으로 해결하기 어려우므로, 정의와 배려의 상호보완적 통합이 필요하다. 여기서 정의와 배려의 상호보완적 통합이란, 정의와 배려가 절반씩 동등하게 반영된 통합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이 는 도덕적 행위자가 상황에 따라 능동적으로 정의와 배려의 관점을 재구성 하여 다양한 형태의 도덕성을 발휘할 수 있는 차원에서의 통합을 의미한 다. 브라운과 그의 동료들(Brown et al., 1988)은 사람들이 정의와 배려에 대한 고려를 협력적으로 사용하기도 하고, 두 개념 간의 긴장을 표출하기 도 하며, 통합된 형태로 사용하기도 한다고 보았다. 그들은 정의와 배려를 통합된 형태로 사용하는 경우, 새로운 의미를 창조하거나 단지 하나의 목 소리로는 가능하지 않는 갈등의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게 된다고 주장했 다.63) 이처럼 정의와 배려의 상호보완적 통합은 상황에 따라 두 개의 관점 을 역동적으로 통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보다 풍부한 차원의 도덕성을 지 향한다.

흔히 도덕성과 관련된 논쟁에서 공적인 영역에서는 정의, 사적인 영역 에서는 배려가 적용된다고 간주한다. 그러나 도덕성은 절대적으로 주어지 는 것이 아니라 도덕적 상황과 주체자의 합리적 판단 능력에 의해 형성되 는 과정 속에서 발휘되는 것이므로, 정의와 배려는 도덕성의 구성요소로서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통합될 수 있다. 배려와 정의가 통합되어야 될 상황 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의와 배려가 독자적으로 존중 되어야 하는 상황, 정의가 배려를 포함하는 상황, 배려가 정의를 포함하는 상황, 정의와 배려가 상호보완적인 상황이 모두 존재한다.64) 그리고 이러한 상황들은 공적인 영역과 사적인 영역 모두에서 나타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정에서 일어나는 폭력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의가 요청되며, 대외 원조나 복지 정책을 결정할 때는 정의와 함께 배려도 필요하다. 정의와 배 려의 상호보완적 통합은 이러한 다양한 상황에 맞춰, 정의, 배려, 정의적

63) D. E. Schrader, 앞의 글, p. 43.

64) 이미식, “정의와 배려의 윤리에 대한 도덕교육의 함의”, 한국윤리교육학회, 『윤리교육연구』 제1 권, 2001, p. 52.

배려, 배려적 정의의 적용을 모두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차원의 도덕적 능 력은 정의나 배려 중 어느 하나를 중심으로 한 통합에서는 발휘되기 어렵 다. 따라서 공적 도덕의 규범과 사적 도덕의 규범 모두의 영역에서 정의와 배려의 상호보완적 통합이 필요하다.

셋째, 도덕성의 개념이 포괄적인 것처럼 도덕교육의 방법 또한 다차원 적으로 이루어져야하므로, 정의와 배려의 상호보완적 통합을 통해 보다 풍 부한 교육적 아이디어를 수용할 필요가 있다. 정의와 배려의 상호보완적 통합의 관점은 도덕교육에 있어서 크게 두 가지 시사점을 줄 수 있다. 하 나는, 도덕교육의 목표 차원에서 남녀 모든 학생들에게 정의와 배려의 통 합적 발달을 추구해야 한다는 것이다. 다음은, 도덕교육의 방법에 있어서 정의 중심 이론과 배려 중심 이론에서 제시한 다양한 교육 방안을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첫 번째 시사점과 관련된 통합의 필요성은 앞의 설명과 중복되므로, 여기서는 도덕교육의 방법론적 차원에서 정의와 배려의 상호 보완적 통합의 필요성을 살펴볼 것이다.

나딩스의 표현처럼, 도덕교육에 있어서 인지를 배제하면 활기를 잃어 병적 감상에 빠지게 되고, 정의적 요소를 배제하면 이기적으로 되거나 무 감각한 합리주의에 빠지기 쉽다.65) 그동안 우리의 도덕교육은 지나치게 인 지적 측면을 강조함으로써 도덕적 정서와 감정의 문제를 소홀히 다루었고, 구체적인 실천기회의 제공에 소극적이었다. 또 도덕을 지나치게 원리적․

추상적으로 접근하여, 일상적인 삶의 문제를 다루는 데 소홀히 하였다. 이 런 점을 보완하는 데 길리건과 나딩스가 제안한 배려를 위한 교육 방안들 은 매우 유의미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도 덕적 사고의 발달을 위한 교육이 필요함을 간과할 수 없다. 특히 현대 사 회가 가치 혼란 속에서 다양한 도덕적 문제와 갈등들이 범람하고 있음을 감안한다면, 콜버그의 방법론은 여전히 유용하다.

정의가 과도하면 삭막하고, 배려가 과도하면 그 배려의 대상이 축소되 거나 인정에 치우치기 쉽다는 점을 유념한다면 도덕교육은 두 관점 중 어

65) N. Noddings(1984), 앞의 책, p. 171.

느 한쪽에 편중됨이 없이 균형을 이루어 인간의 인지, 정서, 행동을 통합적 으로 이끌어야 할 것이다. 특히 우리의 도덕교육이 학생들로 하여금 어떤 사태와 문제들을 세계적이고 총체적인 맥락 속에서 바라볼 수 있게 하고 책임감 있고 참여하는 세계시민으로 헌신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서는 정의 와 배려의 도덕성을 통합한 도덕교육을 실현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66) 이 를 위해서 도덕교육은 양 쪽의 방법을 적절히 활용하는 데서 더 나아가, 도덕적 사고와 정서를 동시에 자극할 수 있는 방법을 찾기 위해 고민해야 한다. 교육 방법론에 있어서도 통합을 위한 아이디어가 요청되는 것이다.

(2) 정의와 배려의 상호보완적 통합의 원리

정의와 배려의 상호보완적 통합이란 언제나 양자의 관점을 동등하게 고려하는 것을 뜻하는 것이 아니다. 인간 삶의 다양한 관계와 도덕적 사태 속에서, 정의와 배려가 팽팽한 긴장을 유지하거나, 서로 협력하거나, 하나 에 다른 하나를 포섭하거나, 양자를 동등하게 고려하는 등 역동적인 관계 를 형성할 수 있는 차원의 통합을 의미한다. 따라서 밖으로 표출되는 도덕 성의 모습은 때로는 정의와 배려 중 하나만 나타나거나, 때로는 정의가 우 선하고 배려가 보완할 수 있으며, 때로는 배려가 우선하고 정의가 이를 보 완할 수도 있다. 그렇다고 해서 정의와 배려 간의 통합이 아무런 원칙과 기준 없이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67) 어떤 원리를 바탕으로 정의와 배려

정의와 배려의 상호보완적 통합이란 언제나 양자의 관점을 동등하게 고려하는 것을 뜻하는 것이 아니다. 인간 삶의 다양한 관계와 도덕적 사태 속에서, 정의와 배려가 팽팽한 긴장을 유지하거나, 서로 협력하거나, 하나 에 다른 하나를 포섭하거나, 양자를 동등하게 고려하는 등 역동적인 관계 를 형성할 수 있는 차원의 통합을 의미한다. 따라서 밖으로 표출되는 도덕 성의 모습은 때로는 정의와 배려 중 하나만 나타나거나, 때로는 정의가 우 선하고 배려가 보완할 수 있으며, 때로는 배려가 우선하고 정의가 이를 보 완할 수도 있다. 그렇다고 해서 정의와 배려 간의 통합이 아무런 원칙과 기준 없이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67) 어떤 원리를 바탕으로 정의와 배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