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 주로 연구과제와 관련된 현황 파악을 위해 공간정보를 활용한다.

○ 최근 국내 목재산업의 효과적인 육성 방안과 관련하여 목재클러스터 구축 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해당 연구에서, 목재산업 주체들의 위치 정보 및 산림자원의 분포 등을 바탕으로 클러스터 적지를 구축하기 위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 목재산업의 원료 공급지인 국내 산림에 대한 공간정보를 바탕으로, 국유 림 중에서 목재 생산림으로 분류된 지역을 찾았고, 수종별 자료를 바탕

으로 목재 생산과 직접 관련되어 있는 수종의 분포와 양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 이를 바탕으로 국내 제재업체의 분포와 교차 분석을 통해 목재산업 클러 스터의 적지를 분석하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 또한 유기농 육성 방안에 관한 연구에서 전국의 유기농 인증 사업자에 대한 위치정보를 바탕으로 공간분석을 실시하여 정책 수립을 위한 근거자료를 생성하고자 했으며, 규제 비용과 관련한 연구 등 다양한 연구에서 공간정보 및 공간분석을 실시하였다.

○ 현재 추진하고 있는 연구 외에도 산림 정책과 관련해서는 산림의 분포 및 특성에 관한 기본적인 정보를 비롯하여, 산림 활용을 위한 정책 수립과정에 서 공간정보가 중요하게 다루어질 수밖에 없으며, 이에 산림정보에 대한 공 간정보시스템도 구축되어 활용되고 있다.

질문2. 기존 공간정보시스템(산림공간정보시스템 FGIS)을 비롯한 공간정보 활용의 문제점 및 개선사항

○ 올 한 해 수행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공간정보시스템 활용의 문제점을 언 급하면, 우선 공간정보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정보 및 분석 도구만으로는 연 구 과정에서 필요로 하는 심도 있는 정보나 분석이 이루어지는 데 한계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목재산업 클러스터 분석의 경우, 산림 등에 관한 정보는 비교적 잘 구축 되어 있으나, 재제업체에 대한 정보나 기타 주체들에 대한 정보의 경우 에는 다른 경로를 통해 자료를 취득하였다.

- 유기농 분포에 관한 연구 또한, 유기농에 대한 위치정보는 별도의 경로 를 통해 구득하였으며 공간정보와 관련한 민간 주체를 통해 위치정보를 공간정보화하여 분석하는 작업을 실시하였다.

○ 현재 공간정보 제공 및 분석 기능만으로는 공간정보를 연구 및 정책과정에 서 활용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 이상의 사례에서 보듯이 산림이나 농업・농촌 부문의 공간정보시스템을 통해 다량의 공간정보나 현황 정보들이 제공되고 있고, 기초적인 현황에 대해 이해하기 위한 목적에서는 정보의 수준이나 질에 문제가 없다.

- 하지만 정책 과정에서 활용하거나 연구 목적으로 공간정보 기반의 분석 을 위해서는 현재 공간정보 제공 수준이나 공간정보시스템의 분석 기능 만으로는 한계가 있음을 경험하였다.

- 또한 공간정보에 대한 활용경험에 비추어 볼 때, 공간정보시스템 등을 통해 공간자료가 잘 구축되어 있는 경우 자료의 구득에서 분석 과정까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크다고 생각하는데, 지금의 공간정 보시스템은 연구과정에서 그러한 장점을 살리는 데는 한계가 분명한 것 으로 보인다.

- 즉, 현재의 공간정보시스템에서는 공간정보를 연구에 활용하기 위해서 별개의 데이터 처리나 분석 과정이 필요하며 이는 공간정보 활용의 장점 을 퇴색시키는 것과 같다.

질문1. 현재 추진 중인 업무와 농업・농촌 분야의 공간정보 활용 가능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