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전통적 평가 방식에 대한 비판

Ⅱ. 이론적 배경

5. 전통적 평가 방식에 대한 비판

기존의 필기시험은 문법위주의 시험으로 교사가 가르치는 내용을 단순 히 암기하여 시험을 치렀으나 실생활에서 사용할 수 있는 내용이나 상황 연습은 부족하여 학습자들의 흥미를 불러일으키지 못하고 실용적이지 못 하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또한 선택형 검사는 행정적인 편의를 위해 학생들을 효율적으로 선 발․분류․배치할 수 있는 방법 중의 하나이다1). 선택형 검사는 흔히 객 관식 검사라고도 할 정도로 채점을 객관적으로 할 수 있으며, 또 아주 빠르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비교적 적은 비용과 짧은 시 간 안에 광범위한 영역의 교수․학습 목표에 대한 성취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해준다.

Lipman(1987)은 선택형 문제를 이용한 성취검사가 학생들의 다양한 사고와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는 기능, 그리고 서로의 협동적인 노력을 평가하는데 효과적이지 못하며 의사소통 기능을 평가하는데도 역시 효과 적이지 못하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Barth and Mitchell(1992)은 선택형 위주의 평가가 학생들에게 자신이 답을 직접 구성하도록 하는 것이 아니 라 선택하도록 하는 것이므로 그들을 수동적으로 만들며 이해보다는 암 기를 권장하여 궁극적으로는 불필요한 학습을 조장한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21C를 들어서면서 지식 정보화 시대를 맞이하여 창의성이나 문 제 해결력 등 고등 사고 기능을 직접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필요해졌고, 1) 선택형 검사가 효율적으로 학생을 선발․분류․배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교수․학습 활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 때문에 흔히 교육 선진국이라고 하는 영국이나 프랑스, 독일 등에서는 교수․학습 활동에서뿐만 아니 라 학생을 선발․분류․배치하기 위한 상급 학교 진학 시험에서도 선택형 검사를 거의 사용하지 않고 있다. 허경철 외. 1997. 수행평가의 이론. 서울: 교육과학사.

학교 교육의 정상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수행평가를 도입할 필요가 있었 다. 수행평가는 교육부가 ‘교육비전 2002 : 새학교 문화 창조’ 실천 운동 에서 지향하고 있는 학생 평가 방식으로서, 전인적 인간 양성이라는 교 육 목표의 달성 여부를 평가하는데 가장 적절한 방법이다(교육부 1999)

Ⅲ. 영어과 수행평가의 정의와 유형

1. 수행평가의 정의

1990년대부터 수행평가라는 말은 전통적인 평가체제와는 대비되는 새 로운 대안적인 평가체제라는 의미로, 그리고 선택형(객관식) 시험이 아닌 다른 평가 방법들을 포괄적으로 지칭하는 의미, 즉 서술형이나 논술형, 실기시험 등 다양한 형태의 평가방법을 모두 포괄하는 매우 넓은 의미로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즉 수행평가는 전통적인 선택형 검사에 의한 평가 의 형태와 구별한다는 점에서 대안적 평가로, 수행 과제들이 실제 생활 의 문제들과 직접적으로 관련된다는 점에서 참 평가로, 피험자의 능력과 기술에 대한 증거를 직접적인 측정치로 확보한다는 점에서 직접 평가로, 학습자 발전 과정을 측정한다는 점에서 과정 평가로 이해되고 있다.(최 윤경 2000)

많은 학자들이 수행평가를 정의하고 있는데 몇 가지를 소개하면,

① 학생들로 하여금 지식과 기능을 활용하여 학습과제를 수행하 는 능력을 과시하도록 요구하는 평가(Nitko, 1996)

② 학생이 수행과정에서 보여 주는 기능 및 능력을 관찰하고 판 단하는 평가(McMillan, 1997)

③ 교사가 학생이 학습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이나 그 결과를 보 고, 그 학생의 기능이나 태도 등에 대해 전문적으로 판단하는 평가방식(백순근, 1998)

④ 학생 스스로가 자신의 지식이나 기능을 나타낼 수 있도록 답 을 작성하거나 산출물을 만들거나 행동으로 나타내도록 요구 하는 평가방식(김재준, 1999)

2. 영어과 수행평가의 정의

영어과 수행평가란 학습자가 알고 있는 영어 지식과 영어와 관련된 언 어적 기능을 적용하여 실제 생활이나 인위적 평가 상황에서 요구되는 과 제를 수행하는 능력을 관찰 또는 면접 등의 직접적인 방법을 통하여 평 가는 것으로 언어적 지식이나 기능과 관련된 수행 결과뿐만 아니라 수행 과정도 평가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따라서 수행평가 과제를 통하여 문법 이나 어휘 등에 관한 영어 지식들을 사용하여 듣기, 읽기, 말하기, 쓰기 등과 같은 기능들을 실제로 행하는 것을 요구하며 그 과정과 결과를 바 탕으로 학습자의 영어 의사소통 능력에 관한 판단을 하는 것을 의미한 다.2)

또한 최진황(1999)에 의하면,

2) 은현승. 1999. 제 7차 영어과 교육과정에 의한 수행평가 문항 모형 개발. 석사 논문. 중앙대학교.

첫째, 수행평가는 평가함에 있어서 교사의 전문적인 판단에 크게 의존 하는 평가 방식이다.

둘째, 학생이 자기 스스로 문제의 답을 작성하거나 행동으로 나타내도 록 하는 평가 방식이다.

셋째, ‘어떻게 하는지 아는가’인 절차식 지식의 습득 수준을 파악하는 것을 중시한다.

넷째, 추구하고자 하는 교육 목표의 달성 여부를 가능한 한 실제 상황 하에서 파악하고자 하는 평가 방식이다.

다섯째, 학생의 학습 과정을 진단하고 개별 학습을 촉진하려는 노력을 중시하는 평가 방식이다.

3. 수행평가의 유형

영어과 수행평가는 학습자가 영어 지식과 기능을 적용하여 실제 생활 에서 요구되는 과제를 수행하는 능력을 직접적으로 평가하는 것이므로 실생활과 관련되는 수행을 요구하는 과제를 포함한다. 영어 수행평가를 영역별로 살펴보면 말하기에는 역할극(Role play), 팝송 부르기, 본문 암 기해 암송하기, 묘사하기 등이 있고, 듣기 영역에서는 듣기평가, dictation, 듣고 주제 찾기 등이 있고, 쓰기 영역에서는 영어 일기 쓰기, 읽기 영역에서는 읽고 요약하기, 읽고 행동하기 등이 있다.

3.1. 과제 평가

수행평가는 그 정의에서 알 수 있듯이 학습자가 영어 지식과 기능을

적용하여 실제 생활에서 요구되는 과제를 수행하는 능력을 직접적으로 평가하는 것이므로 실생활과 관련되는 수행을 요구하는 과제를 포함한 다. 학습자의 말하기 언어 수행의 학습 발전 과정을 평가하고자 한다면 수업 활동에서의 말하기 활동의 교사 관찰이나 역할극과 같은 과제 중심 의 수행평가를 정기적으로 반복하는 것이 타당하다.(최연희, 2000)

교사는 영어 수업시간에 필요한 단어 암기나 역할극 준비, 자료찾기, 숙제 등의 과제를 평가함으로써 학생들의 수행정도를 평가할 수 있다.

3.2. 교사 관찰 평가

교사는 영어 수업시간에 학생들에게 끊임없이 질문하고 답을 유도하 며, 그룹을 형성하여 자주 토의를 시켜 학생들 자신이 수업의 주체로서 수업을 이끌어 나가고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 주어야 한다. 교사 는 학생들의 수업 참여도를 관찰하고 면담을 통하여 개개인의 실력 향상 에 동기를 부여해 주어야 한다. 교사가 학생들에게 가르치는 수업시간에 개별 학생들을 관찰하면서도 지도․조언해주는 과정이 곧 평가활동이 된 다. 또한 잘못하는 학생이 잘하는 학생을 보고 배울 수 있도록 학생들간 의 상호작용을 적극적으로 장려하기도 한다. 이러한 학생의 수업시간에 대한 열성 정도를 교사가 관찰하는 것이 교사 관찰 평가이다. 이 방법은

‘과제 평가’와 함께 현 학교 현장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평가방법 이다.

3.3. 말하기 평가

현실적으로 교사들은 구어영어에 익숙하지 않고 말하기 평가를 하기엔 교사들의 수업 시간과 업무부담이 너무나 커서 말하기 평가를 회피하는 실정이었지만 계속되는 교육과 영어시간을 영어로 진행하는 등의 노력으 로 이제는 일년에 한 두 번 정도는 모든 학교가 말하기 평가를 실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말하기 평가는 4가지 영역 중 준비, 시행, 채점에 있어서 가장 도전적인 영역으로 간주되고 있다. 그 이유는 말하기 기술 의 본질상 평가기준이 다양하고 교사의 주관적인 판단에 의존해야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언어 학습의 가장 궁극적인 목표가 의사소통능력 향상 이므로 말하기 수업과 평가는 중요하고 언어 영역의 평가 중 개념에 가 장 부합될 수 있는 것이 말하기 평가이다. 그러므로 입시에 민감한 우리 나라의 특성상 대학수학능력시험에 직접적인 말하기 평가를 포함시킨다 면 회화 능력의 향상을 꾀할 수 있을 것이다.

말하기 평가 방법으로는 그림을 보고 그림을 묘사하는 방법, 역할극, 주제 발표하기 등이 있다. 또한 pop songs 부르기 등을 통하여 영어에 친숙함을 느끼게 해주고, 긴 영어 문장을 암기했다는 자신감을 줄 수도 있다. 이런 말하기 평가 방법을 통하여 채점자는 대명사의 단․복수형 사용과 복수형 어미, 관사 사용법, 소유격의 적절한 사용들을 등을 평가 하고 학생들의 오류를 관찰하여 향후 학생들의 오류를 수정해 줄 수 있 다.

3.3.1. 말하기 평가 채점 기준 표

미국 Berkeley 대학에서는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지 않는 학생들의 영어 말하기 영역에 대한 수행평가를 실시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채점 기준 표를 사용하고 있다. 다음 표에서는 영어의 ‘말하기’라는 영역을 분 석하여 그 하위 내용으로 ‘발음’, ‘유창성’, ‘문법’, ‘어휘’, ‘조직’, ‘듣고 이 해하기’, 그리고 ‘질의 응답’으로 나누고 있다. 그 후 각 하위 내용에 대

미국 Berkeley 대학에서는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지 않는 학생들의 영어 말하기 영역에 대한 수행평가를 실시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채점 기준 표를 사용하고 있다. 다음 표에서는 영어의 ‘말하기’라는 영역을 분 석하여 그 하위 내용으로 ‘발음’, ‘유창성’, ‘문법’, ‘어휘’, ‘조직’, ‘듣고 이 해하기’, 그리고 ‘질의 응답’으로 나누고 있다. 그 후 각 하위 내용에 대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