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II. 이론적 배경

2. 직무 전문성 정체

가. 직무 전문성 정체의 개념 및 특징

사전적 의미의 ‘plateau’는 활동, 과정, 비용 등이 더 이상 상승하거나 발달하 지 않는 상태에 놓여있는 것으로 국문으로는 ‘안정’ 또는 ‘정체’라고 명명된다 (HaperCollins, 2009). Bardwick(1986)은 ‘Plateau’의 개념을 최초로 개인발달에 도입하였으며, 조직구성원이 정체되어(plateaued) 있는 상황이 무엇인지 다양한

측면에서 제시였다. 그의 저서에 의하면 자신의 발달 과정에서 정체된 조직구성 원은 조직에서 경험하는 여러 활동에서 굉장히 안정적이고 변화가 없는 상태가 지속된다고 하였다. 특히, 이러한 상태는 객관적인 직무에 대한 역량수준, 승진 등에 의해서 나타나기도 하지만, 보다 개인의 일(work)에서 자신의 상태에 대한 주관적이고 심리적인 인식으로 인해 결정된다고 보았다.

Bardwick(1986)은 개인발달에서 나타나는 정체로 구조적 정체, 내용적 정체, 삶에서의 정체를 제시하였고, 이 중 내용적 정체는 개인의 전문성과 관련이 있 다고 하였다. 그는 내용적 정체를 정의하면서, 개인이 자신이 수행하는 직무에 숙련되어 더 이상 새롭고 배울 것이 없거나, 오랫동안 반복된 업무로 인해 도전 감을 상실하였다고 느낄 때 내용적 정체가 일어난다고 보았다. 즉, 이는 개인의 직무에 대한 전문성 또한, 시간이 흐를수록 선형적으로 발달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요건에 의해 변화하거나 정체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현대 사회는 지식, 기술, 문화 등의 변화가 급속도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개인이 전문성을 갖 고 있는 영역의 특성도 빠르게 변화할 수 있다. 따라서 전문성의 개발은 일정한 순서에 따라 단계별로 이루어지기보다 퇴보나 성장을 반복할 수 있고, 더불어 더 이상 변화가 없이 정체될 수도 있는 역동적인 특성을 갖고 있다(배을규 외, 2011).

직무 전문성 정체는 강조점에 따라 ‘과정’과 ‘내용’의 두 가지 관점에서 살펴 볼 수 있다. 첫 번째 관점은 직무 전문성 정체가 전문성의 수준이 변화하는 개 발 과정상에 나타나는 현상이라 정의하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은 직무 전문성을 특정 시기에 발현되는 상태가 아닌 개발되어가는 과정으로 정의하며, 다양한 학 습과 경험 그리고 특정 맥락과 상황에 관한 성찰이 지속적이고 복합적으로 발 생하면서 형성되는 비선형적인 과정 상태로 인식한다(Herling, 2000).

직무 전문성에 대한 모형을 살펴보면, 직무 전문성이 어떻게 발전되어 가는 지 나타난다. Dreyfus와 Dreyfus(1986)의 모형에서는 전문성 개발 단계는 5단계 로 제시하였고, Fook 외(2000)의 모형에서는 7단계로 제시하였는데, 이 단계는 시간의 흐름에 의해 변화하는 것이 아닌 개인이 조직에서 수행하는 업무나 학 습하는 것에 의해 변화하게 된다고 하였다. 또한, Collins(1990)의 모형에서는 기

의 경험에 의해 좌우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직무 전문성 개발 모형은 전문성의 개발 단계가 시간의 흐름이나 업무를 수행한 기간에 따라 변하는 것 이 아니라 개인의 경험하는 바에 의해 달라질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이는 계획적인 훈련에 의해 전문성이 발달하였다 하더라도 이 후에 전문성 개 발을 위한 노력을 멈추거나, 이를 촉진하는 경험이 주어지지 않으면 업무 수행 능력이 현저히 떨어지고, 다음 전문성 개발 단계로 나아가지 못함을 의미한다(손 영우, 2005). Hom과 Donaldson(1980)의 연구에서는 인간의 인지적 능력은 연령 과 함께 증가하는 과정을 거치다가 점차 증가하는 속도가 둔화된다고 하였다.

그러나 전문성 개발이 둔화되는 현상이 반드시 특정 연령에 가서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Erricson(2008)의 연구에서는 보통 수준 전문가와 최고 수준 전문 가를 비교하는 연구에서 전문성 개발 곡선을 제시하였다. Erricson(2008)의 연구 에서는 전문성의 수준을 초보자, 보통 수준의 전문가, 최고 수준의 전문가로 구 분하였다. 초보자는 전문성이 거의 개발되지 않은 상태로 정체를 경험하고, 보 통 수준의 전문가와 최고 수준의 전문가는 특정 영역을 경험한 시간이 흐를수 록 일정 수준의 전문성에 도달하면서 차이가 나타난다. 보통 수준의 전문가는 일정 수준 이상으로는 전문성이 더 이상 개발되지 않고 성장을 멈추는 반면, 최 고 수준의 전문가는 다양한 개인의 노력, 환경적 특성 등에 의해 보통 수준 전 문가와 다르게 전문성을 꾸준히 개발한다고 하였다([그림 Ⅱ-1] 참조).

이러한 시사점은 직무 전문성의 개발과 정체의 밀접한 관계를 보여준다. 즉, 직무 전문성 정체는 개발과 분리되어 이해되는 다른 현상이 아니라 개발의 속 도가 느려져 전문성의 수준이 정점에 도달하게 되면 나타나는 현상이다. 특정 직무에서 최고 수준의 수행을 보이는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 모두 개발의 과 정이 지속되면 개발 속도가 느려지거나 멈추는 현상을 경험하게 된다. 그러나 정체 현상은 반드시 전문성 개발의 마지막 단계에서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개 인은 전문성 개발 과정에서 자신의 특성, 경험, 상황적 요인 등에 의해서 정체 를 경험할 수 있는 반면에 꾸준히 개발활동을 지속하기도 한다.

[그림 Ⅱ-1] 직무 전문성 수준의 변화 양상

자료: Ericsson, K. A. (2008). Deliberate practice and acquisition of expert performance: a general overview. Academic Emergency Medicine, 15(11), p. 991

그러나 직무 전문성 정체를 개발 과정에서 나타나는 한 상태로만 정의하는 관점은 직무 전문성 정체가 발생하였을 때 개인이 어떠한 현상을 경험하는지에 대해 명확히 설명하지 못한다. 따라서 직무 전문성 정체가 발현되는 과정을 밝 히는 것도 중요하지만, 직무 전문성 정체를 경험하는 개인의 인지, 감정, 행동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것도 필요하다.

직무 전문성 정체를 정의하는 두 번째 관점은 직무 전문성 정체 시 나타나는 현상의 ‘내용’을 살펴보는 관점이다. 직무 전문성 정체의 개념을 최초로 정의한 Lee(2002)는 직무 전문성 정체(job professional plateau)를 해당 직무에 있어 일 정한 전문성 수준에 도달한 조직구성원이 직무에 대한 책임감과 도전감이 상실 되고, 더 이상 직무에 대한 새로운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지 못하여 직무수행의 저하가 일어나며, 궁극적으로 자신의 고용가능성과 시장가치가 떨어지는 것을 경험하는 것이라고 정의하며, 직무 전문성 정체를 경험하는 개인에게 나타나는 현상을 제시하였다. Lee(2002)의 연구에 의하면 직무 전문성 정체는 더 이상 자 신의 능력을 개발할 수 있는 기회가 없어서 직무에 대한 수행능력이 멈춰버린

모든 영역과 구체적인 요소가 포함되지 못하였다. Lee(2002)가 제시한 정의에서 직무 전문성은 인지적 측면과 정서적 측면만을 포함하고 있어, 최근 중요해진 전문성의 관계적 능력의 영역을 포함하고 있지 못하며, 인지적 측면과 정서적 측면에서도 지식과 기술의 개발, 직무에 대한 도전성 저하만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보다 직무 전문성 정체의 현상을 명확하게 정의하기 위해서는 직무 전문성의 개념을 세부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선행연구에 의하면 직무 전문 성은 지식, 기술, 문제해결력 등의 인지적 요소나 직무에 대한 태도, 가치, 관점 등의 정의적 요소뿐만 아니라 직무 수행에 필요한 타인과의 대인관계 능력을 포함하는 관계적 요소를 모두 포함하며, 이러한 요소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인간 의 수행(performance)이 결정된다.

이러한 직무 전문성의 개념을 바탕으로 전문성 정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첫째, 직무 전문성 정체는 직무에 대한 지식과 기술을 연마하지 못하게 되어 직 무수행 능력이 변화하지 않는 인지적 정체(cognitive plateau)를 포함하고 있다.

인간의 인지적 능력 발달에 대한 양상은 성인 지능발달 이론을 통해 살펴볼 수 있다. 지능이론의 대가인 Cattel(1940)은 인간의 지능을 유동적 지능(fluid intelligence)과 결정적 지능(crystallized intelligence)으로 구분하였다. 이 이론은 오늘날 성인 지능이론에서 빼놓을 수 없는 대표적 이론의 하나로서 성인 지능 이론을 대표하는 독보적인 이론이다. 유동적 지능이란 유전적․생리적 영향에 의해 발달되는 지능으로 암기, 지각력, 추리력 등과 같은 개인이 이전에 경험하 지 못한 새로운 문제 상황에서의 성공과 관련된 능력이고, 결정적 지능이란 환 경적․경험적․문화적 영향에 의해 발달되는 지능으로 지각된 정보를 사용하여 복잡한 과제를 수행하는 능력이다. Horn과 Cattel(1967)이 수행한 지능발달 연 구에 의하면 유동적 지능은 연령에 따른 생리적 발달의 감퇴로 인해 20세를 이 후로 하강하였다. 이는 동일한 시간이 주어졌을 때, 성인은 문제를 해결하는 데 시간이 좀 더 걸리기 때문에 지능의 측정에 있어 아동과 청년보다 낮은 점수를 나타낸다고 하였다. 반면, 결정적 지능은 성인기 이후에도 연령과 함께 증가하 였다. 그러나 결정적 지능은 성인기에 마주치는 경험에 의해 지능에 대한 포화 도(saturation)가 나타날 수 있다. 즉, 자주 새로운 것을 경험하는 분야에 대해서 는 지속적인 증가가 일어나나 그렇지 않은 분야에 대한 지능은 쇠퇴할 수 있다.

즉, 지적 자극이 다양한 성인일수록 결정적 지능의 증가하는 경향이 뚜렷해진 다. 이러한 Horn과 Cattel(1967)의 연구는 성인기의 지능이 단순히 쇠퇴한다는 그간의 견해와 달리, 쇠퇴하는 지능요인과 증가하는 지능요인이 있으며, 그것은

즉, 지적 자극이 다양한 성인일수록 결정적 지능의 증가하는 경향이 뚜렷해진 다. 이러한 Horn과 Cattel(1967)의 연구는 성인기의 지능이 단순히 쇠퇴한다는 그간의 견해와 달리, 쇠퇴하는 지능요인과 증가하는 지능요인이 있으며, 그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