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I. 서론

4. 용어의 정의

가. 대기업 연구개발 인력

연구개발은 지식의 발견, 축적, 적용, 확대를 위한 체계적이고 창조적인 활동 으로 기초연구, 응용연구, 개발(개발연구 및 생산)을 포함하며, 연구개발 인력은 연구개발 활동 부서에 종사하는 해당 분야에 대한 전문지식을 가지고 있는 자 로 기초연구, 응용연구 및 개발 등의 연구개발과제를 직접 수행하는 사람을 말 한다(송선일, 이찬, 2013).

이 연구에서 대기업 연구개발 인력은 대한상공회의소의 기업정보사이트 코참 비즈에서 제시한 1000대 기업에서 종사하는 연구개발 인력 중 Feldman(1988)이 제시한 경력단계 모형에서 확립기 이상의 경력단계에 속하는 사람으로 연구개 발 업무경력이 5년 이상인 사람으로 정의하였다.

나. 직무 전문성 정체

직무 전문성 정체(professional expertise plateau)란 특정 직무 영역에서 일정 수준의 숙련성을 갖춘 개인이 직무에 대한 인지적 능력, 정서적 태도, 타인과의 사회관계적 능력이 더 이상 개선 혹은 향상되지 않는다고 느끼는 정도를 의미한 다. 이 연구에서는 연구 대상자가 인식한 전문성 정체의 수준으로서 인지적 정체, 정서적 정체, 관계적 정체의 세 가지 요인을 바탕으로 연구자가 개발한 척도에 대기업 연구개발 인력이 응답한 점수를 의미한다.

다. 개인 수준 변인

개인 수준 변인은 소속된 기업에 상관없이 독립적인 특성을 갖는 변인으로, 이 연구에서는 대기업 연구개발 인력의 개인 특성, 직무 특성, 인구통계학적 특 성 및 직업적 특성을 의미한다.

1) 개인 특성

개인 특성(individual characteristics)은 직무 전문성 정체를 인식하는 개인의 내재적 특성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 연구에서는 심리적 특성(회피 목표 지향성, 변화저항성)과 경력 특성(경력단계, 경력 계획성)을 의미한다.

회피 목표 지향성: 회피 목표 지향성(avoidable goal orientation)은 개인의 과업 수행 실패나 그로 인한 타인의 부정적인 피드백을 두려워하고 자신의 능력에 대 하여 부정적이거나 바람직하지 않은 일이 일어날 가능성을 피하려는 성향이다. 이 연구에서는 Elliot와 McGregor(2001)가 개발한 도구를 성미송과 박영석(2005)이 번 안 및 수정한 척도에 대기업 연구개발 인력이 응답한 점수를 의미한다.

변화저항성: 변화저항성(resistance to change)은 개인이 조직의 내・외부 환경 과 기술변화에 의한 조직의 구조, 프로세스, 환경이 변화하는 것을 거부하여 나 타나는 감정적, 행동적, 인지적 측면의 부정적인 반응을 의미한다. 이 연구에서 는 Oreg(2003, 2006)의 도구를 오주연과 김영균(2013)이 번안 및 수정한 척도에 대기업 연구개발 인력이 응답한 점수를 의미한다.

경력단계: 경력단계(career stage)는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경험하는 주요 경력 개발 사건과 활동을 중심으로 구분된 과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Feldman(1988)의 연구에서 제시한 확립기, 전환기, 성장기, 유지기의 네 단계로 연구개발 업무 경 력과 경력단계별 특성을 바탕으로 연구자가 개발한 척도에 대기업 연구개발 인 력이 응답한 점수를 의미한다.

경력 계획성: 경력 계획성(career planning)은 개인이 주도적으로 자신이 달성 하고자 하는 경력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성취하기 위한 전략을 수립하여 실행하 는 과정을 의미한다. 이 연구에서는 Gould(1979)가 개발한 경력 계획성의 적극 성 도구를 정윤길 외(2003)가 수정․번안한 척도에 대기업 연구개발 인력이 응 답한 점수를 의미한다.

2) 직무 특성

직무 특성(job characteristics)이란 조직구성원의 각기 다른 직무의 속성을 묘 사하는 차원으로, 이 연구에서는 직무 도전성과 역할모호성을 의미한다.

직무 도전성: 직무 도전성(job challenge)은 직무가 반복적이거나 일상적이지 않으며 자신의 능력을 개발하기 위해 새롭게 노력을 들여야 하는 정도이다. 이 연 구에서는 Meyer와 Allen(1988)이 개발한 문항을 연구자가 수정․번안한 척도에 대기업 연구개발 인력이 응답한 점수를 의미한다.

역할모호성: 역할모호성(role ambiguity)은 조직구성원이 직무를 수행하는 과 정에서 자신의 업무를 정확하게 인식하지 못하거나 직무를 수행하기 위한 정보 를 충분히 가지고 있지 않다고 느끼는 정도를 의미한다. 이 연구에서는 Rizzo, House와 Lirtzman(1970)이 개발한 도구를 정윤길(2003)이 번안한 척도에 대기업 연구개발 인력이 응답한 점수를 의미한다.

3) 인구통계학적 특성

인구통계학적 특성(demographic characteristics)은 인구를 파악한 시점의 인구 의 특성으로서 생물적, 경제적, 사회적 성질이다. 이 연구에서는 대기업 연구개 발 인력의 성별, 연령, 학력을 의미한다.

4) 직업적 특성

직업적 특성(occupational characteristics)은 개인이 소속된 조직이나 수행하는 직무에 의해서 결정되는 지위와 역할이다. 이 연구에서는 대기업 연구개발 인력 의 연봉만족도, 직급, 근속년수, 업무경력을 의미한다.

라. 조직 수준 변인

조직 수준 변인은 동일한 기업에 소속된 근로자들은 상호 종속적으로 인식하 는 반면, 다른 기업의 근로자들과는 독립적으로 인식하는 변인으로, 이 연구에 서는 조직 특성과 산업유형을 의미한다.

1) 조직 특성

조직 특성(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은 대기업 연구개발 인력의 행위나 태 도에 영향을 미치는 조직 내부의 환경적 특성으로, 이 연구에서는 탐구적 학습 전략, 창의적 연구개발 문화, 통제형 인사관리제도, 상사의 역기능 리더십을 의 미한다.

탐구적 학습전략: 탐구적 학습전략(exploration learning strategy)은 조직이 연 구개발 활동과 관련하여 기존의 가정에 의문을 품고 새로운 전략 및 방법을 발 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학습 양식을 의미한다. 이 연구에서는 March(1991) 가 제시한 탐구적 학습전략의 개념과 김지대, 송영욱(2009)과 신동엽과 박성찬 (2003)의 도구를 토대로 연구자가 수정한 척도에 대기업 연구개발 인력이 응답 한 점수를 의미한다.

창의적 연구개발 문화: 창의적 연구개발 문화(creative R&D culture)는 조직의 연구개발 부문이 새로운 아이디어를 창출하고 성공적으로 실행할 수 있도록 촉 진하는 문화이다. 이 연구에서는 손태원, 신유정, 유성재(2003)가 개발하고 김미 홍(2003)이 수정한 도구에 대기업 연구개발 인력이 응답한 점수를 의미한다.

통제형 인사관리제도: 통제형 인사관리제도(control-based human resource system)는 조직에서 가시적 성과와 목표달성 및 비용절감을 목적으로 인사관리 에 투입되는 비용을 최소화하여 제한적인 교육훈련, 단기적인 보상, 고과중심의 인사평가를 실시하는 제도이다. 이 연구에서는 장석인(2010)이 개발한 문항을 Lado와 Wilson(1994)의 연구를 바탕으로 연구자가 수정한 척도에 대기업 연구 개발 인력이 응답한 점수를 의미한다.

상사의 역기능 리더십: 상사의 역기능 리더십(dysfunctional leadership)은 상 사가 조직의 목표, 과업, 자원이나 부하직원의 동기, 직무만족, 심리적 안정감에 부정적이고 파괴적인 영향력을 행사함으로써 나타나는 조직과 부하직원의 성과

이 개발한 문항을 Schilling(2009)과 임창현(2011)의 연구를 바탕으로 연구자가 수정한 척도에 대기업 연구개발 인력이 응답한 점수를 의미한다.

2) 산업유형

산업유형(industry type)은 사업체가 주로 수행하는 산업 활동을 유사성에 따라 체계적으로 구분한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통계청에서 제공하는 표준산업분류 중 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18개의 분류(① 농업, 임업 및 어업, ② 광업, ③ 제조업(전 자 및 통신, 화학, 자동차 및 운임, 제철 및 제강, 기계), ④ 전기, 가스 수도, ⑤ 폐 기물, 환경복원, ⑥ 건설업, ⑦ 도매 및 소매, ⑧ 운수업, ⑨ 숙박 및 음식점업, ⑩ 출판, 영상, 정보, ⑪ 금융, 보험, ⑫ 부동산, 임대, ⑬ 전문, 과학 기술, ⑭ 사업시 설, 사업지원, ⑮ 행정, 국방, 사회보장, ⑯ 교육서비스, ⑰ 보건 및 사회복지, ⑱ 예술, 스포츠, 여가)에 따라 연구자가 조직별로 분류한 값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