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III. 연구 방법

2. 연구 대상

이 연구의 모집단은 우리나라 대기업 연구개발 인력 전체이다. 그러나 대기업 에 대한 학자별 합의된 정의와 대기업 연구개발 인력에 대한 구체적인 통계자 료가 존재하지 않아 목표모집단(target population)을 설정하였다.

대기업을 구분하는 기준은 학자마다 상이하나, 주로 사용되는 방식으로 대한 상공회의소의 기업정보사이트 코참비즈(http://www.korchambiz.net)에서 제공 하는 매출액 기준 1000대 기업으로 제한하는 방법이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는 코참비즈에서 제공하는 1000대 기업을 대기업으로 정의하고 해당 기업에서 근무하는 연구개발 인력을 목표모집단으로 선정하였다. 그러나 설정한 목표모집 단 중 연구개발 활동이 잘 일어나지 않는 기업에서는 연구개발 부문의 특성에 대한 정확한 조사가 어렵다고 판단하여 금융감독원에서 2011년에 공개한 연구

50개 기업 중 공공기관을 제외한 49개 기업으로 표본

수집의 대상을 한정하였다. 연구개발 투자액 상위 50개 기업은 상위 1000대 기

또한, 이 연구에서 정의한 직무 전문성 정체는 해당 직무분야에서 일정한 수준 의 전문성을 갖춘 인력을 대상으로 일어날 것이라고 가정하였기 때문에 경력 개 발 단계 이론에 따라 모집단을 한정하였다. Feldman(1988)이 제시한 경력단계 이 론에 의하면 개인이 조직에 입사하여 자신의 전문분야를 선정하여 전문성을 개발 하는 단계는 확립기로 이는 해당 업무분야에서의 경력이 5년 이상인 자를 의미한 다. 특히, 전문 직종에 근무하고 있는 연구개발 인력의 특성 상 확립기에 속하는 개인일지라도 이미 학업을 마친 후부터 일정 수준의 본인의 직무에 대한 전문성 을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연구개발 인력은 ① 연구개발 활동을 직접적으 로 수행하는 연구원, ② 연구개발 업무 외 타 업무를 함께 수행하는 상근상당인 력, ③ 연구개발의 행정 및 지원을 담당하는 연구보조원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연구개발 활동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하므로 직접적으로 연구개발 활 동에 직접적으로 참여하는 연구원으로 제한하였다.

이에 이 연구의 표집대상은 Feldman(1988)이 제시한 전문성 확립기에 대한 정의에 따라 연구개발 직무에서 업무경력이 5년 이상이고, 직접으로 연구개발 활동을 수행하는 대기업 연구개발 인력으로 한정하였다.

한편, 이 연구의 표본크기는 자료 분석 방법, 질문지 회수율 및 유효 응답율 등을 고려하였다. 첫째, 이 연구의 분석방법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위계적 선형 모형 분석에서는 추정과 표준오차의 정확성을 위해 상위수준 분석대상의 표본 수를 고려하여야 하며, 일반적으로 최소 30개 이상의 기업체에서 각 조직별로 최소 5명 이상의 자료를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Bliese, 1998). 둘째, 질문지 의 회수율, 불성실 응답, 이상치 제거 등의 응답의 적절성에 따른 사례 삭제를 고려해보면 적정 표본크기보다 더 큰 수의 표본을 선정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여, 표집대상에 해당하는 연구개발 투자액 상위 50개 기 업 중 공공기관을 제외한 기업을 대상으로 각 기업당 5부 이상을 표집하기 위하 여 각 기업별로 10부를 배포하였다. 최종 49개 기업 중 총 8개 기업에서 보안상 의 이유로 설문을 거절하여 41개 기업을 대상으로 10부를 배포하여 총 410명의 연구개발 인력을 대상으로 표집을 실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