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가�� 전라북도 출산환경 분석

❍ (인구 및 인구이동) 전북은 가임기 및 주출산연령 여성의 인구감소 속도가 전국 평균보다 1.5배~2배 정도 높고 인구이동도 2040세대에서 다른 연령대보다 높 아, 향후 저출산 문제가 더욱 심화될 것으로 예측 됨

­ 2000년부터 전국 전체의 인구증가 추세와는 다르게 전북 인구는 지속적으로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성별·연령별 인구 특성으로는 주출산 연령인 25~34세 의 여성인구 비중이 매우 적어 향후 저출산 문제의 심화가 우려됨

­ 가임기 및 주출산연령 여성은 전국 평균보다 빠른 속도로 감소하고 있음. 가임기 (15~49세) 여성의 감소율은 2000년 대비 2019년에 전북(28.6%)은 전국 평균 (12.2%)보다 두 배 이상 빠른 속도로 감소함. 주출산연령(25~34세)의 감소율도 같 은 기간 전국 평균(27.5%)보다 전북(43.9%)이 높게 나타남

­ 2019년 기준 2040세대의 순유출이 전북의 전체 인구 순유출보다 2배 이상 높은 가운데 여성 인구이동율(-1.82%)이 남성(-1.71%)보다 높음. 연령별로는 20대에서 는 여성유출이 남성보다 높고 30,40대에서는 남성유출이 더 두드러짐

❍ (결혼 및 출산) 전북은 여성혼인율 감소가 전국 평균보다 높고 초혼연령의 상승 세는 전국보다 큰 편으로 혼인율 감소와 초혼연령의 상승으로 향후 저출산 심화 는 타 지역보다 상대적으로 심각한 수준에 이를 것으로 전망됨

­ 전국적으로 혼인율이 감소하고 있는 가운데 전북의 혼인율 감소는 전국 평균보다 높음. 2000년 대비 2018년의 여성조혼인율 감소(-46.1%)는 전국(-39.4%)보다 6.7%p 높음

­ 2019년 기준 전북 초혼연령은 남성 33.67세, 여성 30.34세(전국 남33.37세, 여 30.59세)로 남자는 전국보다 높고 여자는 전국보다 낮음. 초혼연령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추세이며 전북의 상승폭이 전국보다 큼

­ 연령별 혼인건수를 보면 전북과 전국이 동일하게 20대 이하의 혼인건수는 줄고 30대 이상에서는 증가하고 있어 고령산모에 의한 고위험산모 수도 증가할 것으로 예측됨

­ 전북의 신혼부부 수는 지속적으로 감소하지만 맞벌이 부부의 수는 증가하고 있어 여성의 가족중심 생애가 해체되고 남녀 모두 노동중심의 생애로 이동하는 전국적 추세를 반영하고 있음

­ 전북의 20대는 전국 평균 대비 무보증월세와 사글세의 비중이 높고, 전세 비중이 낮은 반면 30~40대는 자기집 비율이 전국 평균보다 높음

❍ 전북의 출생아 수 감소폭은 전국 평균보다 빠르게 진행되고 있으며 초혼연령의 상승은 출산연령 상승으로 이어져 고연령산모 증가에 따른 고위험임산부에 대한 정책적 관심과 관리가 필요함

­ 2019년 기준 전북의 합계출산율은 0.971명으로 전국평균(0.918명)보다 높지만, 광역지자체 중 경기도(0.943명) 다음으로 낮음. 출생아 수의 감소도 2000년 대비 2019년 약 64.4%가 감소하여 전국 감소율(약 52.7%)보다 큰 폭으로 감소함

­ 초혼연령의 상승으로 모의 연령별 출산율에 있어 30~34세의 출산율이 큰 폭으로 증가하였으나 25~29세의 출산율은 큰 폭으로 감소하고 있음. 출산연령이 2000년 28.48세에서 2019년 32.37세로 증가, 고연령 산모 증가추세에 따른 고위험 임산 부에 대한 정책적 관리와 지원이 요구됨

­ 전북의 신혼부부 중 맞벌이 보다는 외벌이 부부의 자녀출산율이 더 높았고, 주택소 유자가 무주택 신혼부부보다 무자녀 비율이 낮았으며 2명 이상의 자녀 비율이 높아 주택점유 여부가 출산에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 결과를 뒷받침하고 있음

❍ 전북은 출생아 수 감소에 따라 의료 전문인력 비중이 낮고 분만기관 수의 감소 율은 높아 모자보건인프라가 취약한 상황임. 지속적인 저출산 문제는 모자보건인 프라 붕괴와 상호작용을 일으켜 지역간, 계층간 모자보건서비스 격차문제로 확대 될 가능성이 높아 의료취약지역에 대한 정책지원과 대응이 필요함

­ 전북의 모자보건인프라 현황에 있어 가임기 여성 10만 명 대비 분만실을 보유한 산부인과 수는 전국 평균보다 높지만, 산부인과 전문의 수, 소아과 전문의 수 등 의료 인력비중은 낮은 편임

­ 분만실이 없는 산부인과는 6개 군(무주, 부안, 진안, 임실, 순창, 완주)으로 분만취 약지역에 대한 의료서비스의 접근과 질에 대한 정책지원이 필요함. 출생아 수 감소 에 따른 분만 기관수 감소율은 2013년 대비 2018년 24.3%로 전국에서 3번째로 높게 나타나 모자보건인프라 취약에 대한 정책대응이 필요함

❍ (양육 및 일·가정양립) 보육인프라의 도-농 지역 간 편중이 크고 국공립어린이집 과 직장어린이집은 매우 적으며 포괄적 보육서비스는 제한적으로 운영되고 있어

수요맞춤형 서비스는 부족한 상황임. 맞벌이 증가에 따른 육아 인프라와 서비스 공급은 출산율에 밀접한 영향을 미치고 있어 이에 대한 정책대응이 요구됨

­ 부모들의 선호도가 높은 국·공립어린이집은 66개소(전국 대비 1.8%), 직장어린이 집은 25개소(전국 대비 2.3%)에 불과하고, 공동육아의 대표적인 유형에 해당하는 협동어린이집은 1개에 지나지 않았음

­ 전체 어린이집에 해당하는 42.7%가 전주시에 위치하고 있으며 군 단위에 해당하는 진안(0.5%), 장수(0.5%), 무주(0.6%)는 매우 적어 보육인프라의 지역편중이 크고 서비스의 접근성이 취약함

­ 영아전담 어린이집의 7.8%, 방과 후 어린이집의 12.6%에 해당하는 비율이 전북에 서 운영되고 있어 영유아 및 아동 수에 비해 시설의 비중은 큰 편임. 그러나 시간 연장 어린이집, 휴일 어린이집, 24시간 어린이집 등 포괄적 보육서비스 제공기관은 적은 편에 해당함

­ 건강가정지원센터 설치비율은 42.9%에 불과하여 전국 평균 설치율(66.4%)보다 낮 고 전국에서는 6번째로 낮은 설치율을 보이고 있음

❍ 전라북도 사교육 참여율(전북 68.3%, 전국 74.8%) 및 월평균사교육비 지출 (전 북 23.9만원, 전국 32.1만원)은 전국 평균보다 낮은 가운데 교육비가 부담스럽 다는 인식 (전북 61.1%, 전국 64.4%)은 높아 교육비 및 양육비 부담이 출산계 획이나 추가출산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

❍ 전북의 출산율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29세 이하의 청년여성 취업률 제 고와 고용안정이 우선시 되어야 하며, 30대~40대의 일·가정양립을 위해서는 남 성의 육아휴직 확대, 가사노동에 있어서 양성 평등한 참여와 인식개선이 필요

­ 전국적으로 맞벌이가 증가하는 추세인 가운데 전북의 맞벌이 비율은 전국 평균보다 높음

­ 성별 고용률에 있어 15~29세 청년여성의 고용률이 매우 낮아(전북 남 36,0%, 여 28.9% / 전국 남 43.2%, 여 45.3%) 전북의 출산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청년여성 의 취업률 제고와 고용안정에 정책 비중을 높여야 함

­ 육아휴직은 과거에 비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여전히 여성의 비율이 높음.

전북의 남성 육아휴직률은 2011년 고작 26명에서 2019년 576명으로 20배 이상 증가하였지만 남성육아휴직 사용비율은 전국 평균보다 낮음(전국 16.5%, 전북

13.2%). 육아휴직률 상승은 주로 공공기관, 공기업, 출연기관 등에 의한 것으로 육 아휴직 취약대상에 해당하는 중소기업 및 영세사업자, 비정규직, 여성 중심으로 확 대할 수 있는 정책방안 마련이 요구됨

­ 가사분담은 여전히 아내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고 남성의 가사노동 참여시간은 더 디게 변화하고 있음. 일과 가정생활의 우선도는 남성보다 여성이 가정생활을 우선 시 하는 등 가정에서의 성별 고정관념이나 행위는 해체되지 않고 공고하게 유지되 고 있는 부분이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