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나�� 가족과 일�� 삶에 대한 가치관 및 태도 변화

❍ 최근 한국가족의 구성과 유지는 제도적 가족규범이 약화되고 개인화 되어가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이러한 가족변화를 추동하고 있는 집단 중의 하나로 2040세대를 주목하고 있음

­ 혼인과 출산의 감소, 비혼 증가 현상은 가족형성이 기존의 사회규범에서 탈피해 개 인의 능동적 선택이 되고 있음을 반증하는 것으로 향후 가족선택의 중요한 기준으 로는 개인의 삶의 가치와 주관적 만족, 관계의 질 등이 우선시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음(김소영,2015)

­ 이처럼 가족에 대한 규범과 가치체계가 급속히 변화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저출산 에 관한 상당수의 선행연구들은 전통적 가족관과 정형적인 가족모델을 고수했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었음을 비판함(김영미, 2016; 김영미, 2018; 최인희·홍승아에서 재인용, 2018)

­ 여성주의적 관점에서 보면 작금의 저출산은 남녀의 ‘파트너쉽을 둘러싼 가족구조, 노동시장 등 젠더관계와 사회체계가 복합적으로 나타난 결과’(이재경 외, 2005;최 인희·홍승아에서 재인용, 2018)이며 2,30대 여성들이 일과 가족을 병행하기 위해

‘강요된 합리적 선택(배은경, 2010)’으로 보고 있음

­ 따라서 김소영(김소영·선보영, 2017)은 가족구성과 유지에서 ‘개인’의 선택성이 증 가하고 그 기준도 다양화 되고 있는 현실을 반영하여 향후 가족정책 변화가 필요하 다고 봄 . 즉 가족을 대상화 해 집합단위로 지원하는 기존의 정책방식에서 벗어나 다양한 상황에서 가족을 구성·유지하는 개인을 둘러싼 사회환경을 조성하는 방향으 로 전환 될 것을 주장함

❍ 결혼 및 출산에 대한 생각, 자녀양육에 대한 의견 등 가족가치에 대한 2040세 대의 특성은 규범화 된 결혼에 동의하지 않는 비율이 높고 남성보다는 여성이 결혼과 자녀출산에 대해 부정적 인식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홍승아(홍승아 외, 2018)는 우리나라와 비교적 유사한 문화·정책적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우리보다 앞서 저출산 현상을 경험한 일본의 2040세대(25~44세)와 한국인 을 대상으로 변화하는 청년세대의 가족·일·생활에 대한 의식조사를 실시함

­ 조사결과에 따르면, ‘결혼은 해도 좋고 하지 않아도 좋다’ 에 대해 한국은 52.6%, 일본은 55.4%가 응답하였음. 또한 ‘자녀는 꼭 있어야 한다’에 대해 한국은 19.9%

일본은 7.4%가 응답하였으며 ‘없어도 무관하다’에 대해서는 한국 41.1% 일본 45.3% 등으로 나타남

­ 이상의 조사결과를 종합하면 결혼 및 출산에 관한 가치관은 한국 응답자가 일본에 비해 규범화된 결혼에 동의하지 않는 비율이 높았음. 양국 모두 남성보다는 여성이 결혼과 출산에 대해 부정적 인식을 갖고 있었음. 즉 결혼은 부담이고 자녀는 부모 에게 재정적 부담이며 자녀로 인해 부모의 취업과 경력기회에 제약이 따른다는 의 식이 컸으며 이러한 결과는 일본여성에 비해 한국여성이 높았음

­ ‘2018년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복지 실태조사’에서도 동일한 결과들이 나타나고 있음. 즉 자녀의 필요성에 대해 남성보다는 여성의 부정적 태도가 더 높고 이러한 경향은 미혼여성에게서 더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시간이 경과할수록 자녀의 필요성 이 감소하는 겻으로 나타나고 있음. 결혼 의향이 없거나 모르겠다고 응답한 미혼여 성일수록 ‘자녀가 없어도 무관하다’는 응답비율이 64.4%(남성 44.7%)로 매우 높 고 대도시(49.0%)와 중소도시(50.0%) 농촌(37.1%) 등 거주지에 따른 의식차이도 큰 것으로 나타남

❍ 한국과 일본의 2040세대는 일가족생활에서의 갈등경험이 비교적 높았으며 가족 내 역할분담은 여전히 남성-소득 여성-돌봄 등으로 이분화 되어 있었으며 성 평 등한 일·생활 균형과 성 평등 문화 수준은 낮았음

­ 홍승아(홍승아 외, 2018)의 동일한 조사결과에 따르면, 전통적인 ‘남성 생계부양자, 여성 가족돌봄자’ 모델에 대한 동의도는 한국 응답자의 비율이 일본에 비해 낮았음.

한국과 일본의 2040세대는 ‘이인소득자-이인돌봄자’ 모델을 지향하는 것으로 나타 남. 그러나 가족 내 역할분담에서는 남성은 소득을 벌어들이고 식사준비와 자녀양 육은 여성이 주로하고 있어 가족 내에서의 성 평등한 역할 분담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남

­ 일·가족생활 갈등경험은 일본과 한국 모두 남성과 여성이 적지 않게 경험하고 있었 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장시간 노동이나 경직된 근무방식의 개선 이 필요하다는 응답률이 높게 나타남. 따라서 저출산 덫을 빠져나오기 위해서는 성 평등한 일·생활균형 정책과 성 평등 문화의 확산이 전제되어야 함을 시사

­ 한국과 일본의 2040세대는 특히 경제적 상황이나 자녀양육, 노후생활 등 자신의 미래에 대한 불안수준이 높다는 공통점이 발견됨. 이러한 미래에 대한 불안한 인식

은 불안정한 노동시장이나 사회경제적 불확실성에 기반하고 있어 출산이나 가족형 성에 대한 선택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 따라서 출산율 제고를 위해서는 가족형성과 출산여건 조성을 통한 삶의 질 제고가 전제되어야 함

❍ 전국 조사결과에 의하면 미혼인구의 결혼 필요성에 대한 인식과 결혼의향은 낮 아지고 유보적 태도는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우리사회의 미혼화 는 저출산의 원인이 아닌 청년 삶의 변화라는 맥락에서의 이해가 필요함

­ ‘2018년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복지 실태조사’ 에 의하면, 결혼의 필요성에 대 한 미혼인구(20~44세)의 응답결과로 결혼은 ‘반드시 해야한다’와 ‘하는 편이 좋다’

에 대한 긍정적 태도 응답률은 남성은 50.5%이지만 여성은 28.8% 수준에 불과하 였음

­ 한편 결혼은 ‘해도 좋고 안 해도 좋다’에 해당하는 유보적 응답률은 남성 39.2%, 여성 54.9%로 남녀 모두 결혼에 대한 태도는 유보적 응답률이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됨. 이러한 결과는 여성이 남성보다 결혼에 대해 더 부정적인 태도를 갖고 있 지만 이러한 차이를 젠더에 의한 차이로 보기 보다는 청년층 전반에 결혼에 대한 부정적 또는 유보적 태도가 널리 퍼져 있는 것으로 해석 될 필요성이 있음을 제기 함(이소영 외, 2019)

­ 결혼에 대한 청년층의 유보적 태도는 남녀 모두 안정적인 일자리 확보가 전제되지 않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청년여성의 경우는 취업을 하더라도 일·가정양립 등이 취 약한 근로환경 때문에 결혼이나 출산을 유보하는 것으로 조사됨(조경욱, 2020). 즉 결혼으로 인한 퇴사나 불이익, 결혼 이후의 출산이나 양육에 대한 부담, 출산휴가나 육아휴직이 보장되지 않는 지역 중소기업 근로환경에 대한 불안도 결혼을 유보하는 이유 중의 하나로 나타났음

­ 이상림(2019)은 결혼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강화되는 경향을 보 이고 있고, 남성의 경우에는 배우자를 피부양자가 아닌 경제적 동반자 관계로 보는 등 성역할 가치관이 변화하고 있는 점 등을 볼 때 이러한 가치관의 변화는 코호트 적 차이를 보이는 시대적 흐름으로 단순화하기는 어렵다고 봄

­ 이와 같은 청년들의 결혼에 대한 태도는 다양한 사회경제적 변화가 반영된 결과물 이기 때문에 미혼화의 원인을 가치관의 변화로만 접근해서는 안되며 청년들의 삶의 질 개선을 통해 결혼이라는 생애과정 이행을 선택할 수 있는 정책전환 필요성을 제 기함(이상림, 2019)

1. 인구 및 인구이동 2. 결혼 및 출산

3. 양육 및 일·가정양립

4. 전라북도 저출산 대응 정책분석

5. 요약 및 시사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