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재즈함 미생틀의 위해성 펑가

, ...‘、ι..’‘”“.::::;:;:;:;::, 칠:.::: 상::;.::::::::::, 웠'1 ‘앓짧앓$ 홉앓購흉앓앓 !II

그 l 人네 특크

= =

-‘「

생명공학연구소

Genetically Modified Microorganism(GMO) 을 이용한 각종 농산물의 생산량은

나날이 증가되고 있으나 이러한 GMO 들이 인체나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는 선진국에서는 80 년대 중반부터 시작되었으나 국내에서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가 최근에 들어와서 GMO 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과 우려들이 표면화되면서 이 제 막 시작 단계로 접어들고 있는 실정이다

.

따라서 국내에서도 GMO 에 대한 위해 성 평가 기준과 평가 기술을 개발하는 데 참조하기 위하여 OECD 와 유럽연합 및 미국섹 EPA 기준과 2 건의 case study 에 대해 reVIew 하였다

.

또한 재조합된 식물처}

로부터 토양 속의 세균까지 유전자의 수평이동이 드문 일인가에 대해 조사하였으 며, GMO 의 환경 방출시 재조합된 미생물을 추적할 수 있는 새로운 유전자 tagging 기술과 이 기술의 장점을 기존 기술과 비교 분석하였다

.

먼저 CMO 평가시 고려되어야 할 점은 1986 년 OECD 의 blue book 에 언급된 것 을 지초로 하여 80 년대 후반으로부터 90 년대 초반 호주 (1990), 카나다 (1993), 유럽 연 합(1990), 뉴질랜드 (1992), OECD(1990) 및 미국 (1990) 에서 GMO 의 위해성 평가시 고 려하여야 할 점을 발표하였다

.

그 후 1997 년에 미국의 EPA 에서 인체와 환경에 대 한 영향 부분을 보강하여 재조합 미생물을 허가 받기 위해 서류 제출시 고려하여야 할 점에 대해 조사하였다

.

이러한 기준을 토대로 1 건의 case study 재조합된

PSi 1I dO/llol/as 를 생물학적 방제제로 이용하기 위하여 미국의 Monsanto 회사에서

EPA 에 제출한 각종 평가방법과 그 결과로부터 위해성 평가를 하는 방법을 조사하 였으며 / 다른 1 건의 case study 는 microcosm 체계를 이용하여 재조합 미생물을 야 외에 방출시 수생환78 (aquatic environment) 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는 방법에 대해 일본의 사례를 조사하였다

.

한편 재조합 식물체로부터 토양 중의 세균에까지 유전자의 수평야동에 관여하는 여러 가지 인자들을 조사하고 자연 생태계에서 유전자의 수평이동이 가능한 일인가 에 대해 살펴보았다

.

또한 이러한 GMO 이통시 자연 생태계에서 GMO 를 추적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으로서 Ag/ ηbacterium tll mcfaeciclls

Ii plasmid

로부터

102 LMOs 의 환경뮤해징용가 연구회

mannityI opine catabolic(moc) 유전자를 marker 로 이용하는 새로운 유전자 tagging 기술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MannityI opine 의 구성원들인 mannopine

agropine 은 몇몇 병원성

A.

tumefaeciens

A.

rhizogel1es 균주에 의해 유도되며 식물

체에서 종양 형성 시에만 발견되는 물질로 이 두 opine 을 탄소원과 질소원으로 이 용할 수 있는 미생물은 몇몇 Agrobactcrillm 에 국한되 어 있어 GMO 를 추적 할 수 있 는 새로운 기술로 사료되어 이 기술의 여러 가지 장점을 기존에 알려진 방법들과 비교 분석하였다

.

LMOs 으/ 환경뮤해징쟁가 연뮤회 103

m@」그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