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자연환경 현황 및 분석

6.2 시범사업 대상지(경안천) 개요

6.2.2 자연환경 현황 및 분석

경안천 유역은 전반적으로 산림과 하천이 어우러져 동식물의 서식에 양호한 환경을 가지고 있어 다양한 동식물이 분포하고 있다. 문헌에 의하면 경안천에는 붕어와 피라미가 많이 서식하고 있으며, 특히 용인 시 내에는 80년대 백로가 서식하는 등 양호한 서식환경을 가지고 있었 으나 하·폐수의 증가와 축산폐수의 급증, 농약 사용의 증가로 인하여 하천 오염이 심화되었으며 대기오염이 가중되어 동식물의 서식지가 파 괴된 것으로 보고되었다. 그러나 그동안 2001년부터 시작된 하천오염 에 대한 하천정비사업, 생활환경조성사업, 산업체 폐수방류 규제 등으 로 인하여 환경보전시책이 시행되어 최근 백로가 다시 나타나는 것으 로 알려지고 있다.

하천 주변은 농업과 공업이 병행되는 형태로 주 오염원은 용인시와 광주시의 생활하수와 경안천변에 위치하고 있는 각 산업체와 대규모 축산시설로 추정되고 있다. 경안천 유역은 대부분의 우리나라의 하천 과 같이 하천변을 따라 농업이 발달하였는데, 이는 하천변 충적지를 이용한 경작과 농업용수의 획득이 용이하기 때문이며 경작지 주위로 취락이 발달하였다. 현재 경안천은 용인시 처인구 구간(경안천 상류) 은 도시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직강하천의 유형을 띠고 하천의 고수부 지는 산책로나 주차장, 운동장 등으로 이용되고 있다.

자연환경 조사는 수변생태계의 생태적 요소를 평가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로서 이에 대한 조사 및 분석을 통해 생태네트워크 구축, 보전 및 복원지역의 설정을 위한 구역을 설정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안 천 유역의 식생 및 동․식물상에 대한 시계열적 분석을 위해 “한강수변 구역관리 기본계획 및 설계 현황조사”(환경부, 2001) 보고서와 “한 강수계 수변구역 관리기본계획”(한강수계관리위원회, 2007) 연구보고 서, 환경지리정보 내의 조사자료 등 기 조사된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1) 식물상 및 식생

식물상은 용인시 처인구 운학동, 호동 일대와 포곡읍 삼계리 하천일 대 2개 지점, 식생은 용인시 모현면, 포곡면, 동부동 등 3개 지점에서 조사된 결과를 이용하였다.

소하천과 습지의 식재구조는 소규모 버드나무 군락, 줄․달뿌리풀․억새

법으로서 어도 등이 일부 구간에서 도입되었다. 그러나 일부 구간은

① 어류

경안천 상류역의 7개 지천에서 15종 421개체를 확인하였으며, 용인시 호리교 일대에서 가장 많은 10종 91개체를 확인 하였으며, 전반적으로 경안천의 오염으로 인하여 남한강과 북한강의 수계에 비하여 어류상은 빈약한 편인 것으로 조사결과 나타나 있으며, 확인된 15종 중에서 왜 매치, 참종개 그리고 얼룩동사리가 한국고유종으로 기록되었고, 어류 상은 전반적으로 7개 하천이 골고루 분포하는 것이 아니고 특정지역에 서만 산발적으로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결과 나타났다.

② 양서·파충류

경안천 상류 유역 7개 지천은 하천의 주변은 가장 끝자락의 상류역을 제외하고는 산림생태계가 하천주변 도로에 의하여 단절된 형태로 양서․

파충류의 생물부양능력은 높지 않을 것으로 조사되었다. 전체 10종 42 개체의 양서․파충류가 확인되었으며, 상류보다는 하류로 갈수록 종수와 개체수는 극히 빈약하였다. 더욱이 용인시 호리교, 용인시 삼삼, 용인 시 돌무데기에서는 1종 내지는 2종만이 발견된 것으로 조사결과 나타 나 있다.

③ 조류·포유류

경안천 하류 양수리 인접부에 대한 조류 조사결과 총 5종 51개체의 서식을 확인하였고, 경안천 광주지역의 구하수처리장에서 멧비둘기, 노란턱멧새, 까치, 참새 등 4종 32개체가 발견되었고, 신하수처리장에 서 청둥오리, 논병아리, 쇄백로 등 8종 63개체가 발견되었고, 용인지 역 조사지점에서 까치, 참새, 백할미새 등 5종 25개체, 용인길엽교에 서 까치 1종 4개체, 달기산 부근에서 까치, 참새, 멧비둘기 3종 22개 체가 발견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현지 조사 중 다양한 조류를 발 견하였는데, 이는 생태하천 복원사업과 인근 지역주민의 경안천살리기 운동의 결과라 할 수 있겠다. 따라서 이러한 조류의 서식공간을 마련 하여 경안천 내 생태적 네트워크를 조성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경안천 유역의 포유류는 식충류인 도슴도치, 두더지, 식육류(너구리, 족제비, 수달 등), 토끼류 및 설치류(멧토끼, 청설모, 다람쥐, 애급 쥐, 등줄쥐 등), 우제류(고라니) 등이 발견된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지점 및 Site 종수 출현종 개체 수

1차 조사 (경안천

광주)

구하수

처리장 4 멧비둘기, 노란턱멧새, 까치, 참새 32 신하수

처리장 8

청둥오리, 흰뺨검둥오리, 논병아리, 쇄백로, 왜가리, 멧비둘기, 까치, 참새

63

팔당지역 조사결과 (경안천)

용인 5 까치, 참새, 백할미새, 노랑지빠귀,

멧비둘기 25

용인길엽교 1 까치 4

달기산부근 3 까치, 참새, 멧비둘기 22 표 6-3. 경안천 유역 조류조사 결과

쇠오리 큰고니 중대백로

그림 6-6. 대상지에서 발견된 조류

그림 6-7. 자연환경 요소 발견지점

(3) 수리․수문

경안천은 경기도 용인시·광주시를 흐르는 하천으로 길이 25.70km, 유역면적 561.13㎢로 용인시 이동면(二東面) 어비리 저수지에서 발원 하여 능원천(陵院川)·곤지천(昆地川)과 합류하여 남한강으로 흘러든 다. 경안천 구간경계를 살펴보면 광주오포, 용인시 모현면 경계 지점~

한강 합류지점까지 22.5㎞가 국가하천구간이고, 용인시 처인구 호동 지점~광주시 오포면, 용인시 모현면 경계 지점 25.2㎞ 구간이 지방하 천구간으로 지정되어 있다.

유역면적(㎢) 좌안면적(㎢) 우안면적(㎢) 유역둘레(㎞) 유역평균폭(㎞)

561.13 222.56 338.57 136.78 11.72

유역평균표고(m) 유역평균경사(%) 형상인자 형상계수 단일형상계수

180.81 27.01 0.24 0.96 2.02

원형비 세장률 수계밀도 수계빈도 수계유지상수

0.38 0.56 2.17 4.03 0.46

섬세비 기복비 상대기복 기복수 유역내최고표고(m)

0.35 0.01 0.00 1.39 665.00

* 자료 : 국가수자원정보시스템(http://www. wamis.go.kr)

표 6-4. 경안천 유역특성

최원유로연장(㎞) 유로연장(㎞) 하천총길이(㎞) 주하천길이(㎞) 출구점표고(EL.m) 시작점표고(EL.m) 47.87 47.38 1,219.73 25.70 25.00 235.00

* 자료 : 국가수자원정보시스템(http://www. wamis.go.kr)

표 6-5. 경안천의 제원

경안천 유역에는 37개의 지방하천이 분포하고 광주시의 경우 곤지암 천의 합류 지점으로 유량도 풍부하고 하천공간이 풍부하며 하류구간은 골재원으로서 이용될 가능성을 가지고 있어 경안천 상·하류를 일관성 있게 적절히 보전·이용할 하천 공간 정비의 지침이 필요한 것으로 판 단되었다. 경안천 하류지역은 상수원보호구역, 수변구역으로 지정되어 있고, 주변에 조수보호구역이 지정되어 있으나, 시범사업 대상지역에 는 해당되지 않는다. 경안천지역 상수원보호구역은 1975년 7월 9일(경 기도공고 제193호) 수도법 제6조 및 상수원관리규칙 10~12조에 의거하 여 하류지역 157.6㎢의 면적이 지정되었다. 대상지 주변 환경기초시설 로 동부하수처리장이 입지하고 있다.

하천명 1지류 2지류 3지류 위치 유로연장 유역면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