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주요 사업대상 하천의 현황조사 및 평가

2.3 생태하천 복원사업의 추진현황

2.3.2 주요 사업대상 하천의 현황조사 및 평가

가. 주요 하천 현장조사

본 연구에서는 2008년 환경부 생태하천복원사업 대상 하천들과 이전 하천복원 또는 정화사업의 대상 하천들을 중심으로 현장조사를 실시하 였고 일부 대조하천(reference stream) 및 소하천 정비하천들에 대한 조사를 추가하여 2008년 5월부터 11월까지 경기/충정도(금강권역) 중 심의 중부권, 영상강/섬진강 일대의 호남권, 낙동강 일대의 영남권, 그리고 제주도 일대의 주요 하천들에 대한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생태하천 복원의 목표가 자연하천에 가깝게 복원하는데 있고, 따라서 대조하천 조사는 생태하천 복원사업 관련 자연적이고 생태적 기준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고 또한, 진행 중인 복원사업에 대한 시 사점 도출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하여 실시하였으며, 방문하천의 선 정은 환경부(2007)의 “수생태 건강성 회복을 위한 하천복원 모델과 기준, 조사계획 수립 연구 최종보고서”에 명시된 자연 대조하천들을 바탕으로 하였다. 이와 함께 우리나라 하천 연장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소하천에 대한 관리는 그 중요성이 이미 널리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 어, 추가적으로 소방방재청에서 주관한 자연형 소하천정비사업 시범하 천을 중심으로 현장 조사에 추가하여 실시하였다.

하천 조사는 주요 (1)생태 인자들(수질, 다양한 서식공간, 수변식생 등)의 사업 반영여부, (2)하천공간의 관리 및 이용 실태, (3)지역 주 민의 참여성의 세 가지 측면에 주안점을 두어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서는 한강, 금강, 낙동강, 영산/섬진강, 제주 권역의 일대의 하천을 조사하였으며 이중 총 64개 하천을 대상으로 시각적 하천 평가를 실시 하였다. 이들 하천들을 표 2-3에 나타내었는데 사업비와 사업기간이 명시된 하천은 생태하천복원사업 대상하천으로 31개소, 소하천 9개소, 대조하천 13개소, 기타 11개소를 포함하고 있다.

표 2-3. 전국 하천 현장조사 대상 하천

23 수영강 낙동강 부산광역시 금정구 311.8 1998~2001, 2003~2006, 2008~1010 24 춘천 낙동강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45.4 2004~2008

25 신어천 낙동강 경상남도 김해시 36.5 2001~2004 26 가음정천 낙동강 경상남도 창원시 94.5 2005~2008

27 영담소하천 낙동강 경상남도 함안군 소하천

28 남강 낙동강 경상남도진주시 131.2 2001~2010

29 갑천 금강 대전광역시 177.5 1995~1996, 1998~2000, 2008~2009

30 곡교천 금강 충청북도 아산시 기타하천

31 당진천 금강 충청남도 당진군 50.2 2006~2008

32 대곡천 금강 대전광역시 대조하천

33 대전천 금강 대전광역시 97.5 1995~1996, 2006~2010

표 2-3. 전국 하천 현장조사 대상 하천 (계속)

그림 2-2는 현장조사 대상하천의 생태적 조건을 비교하고 있으며, 상 단 두 사진은 청주 무심천과 대전 대전천의 사진으로 하천의 사행화, 생태 서식처 조성 등 생태복원 개념이 잘 반영된 반면, 당진천과 예산 천의 경우는 일률적으로 호안에 자연석을 쌓고 하천의 직강화하였고 하천으로의 생활하수도 유입되고 있었다. 하단의 두 그림의 섬진강과 산청군의 덕산천의 상류 자연 대조하천의 모습이다. 기타 자세한 현장 사진과 평가결과, 기타 공간정보를 본 연구 보고서의 부록에 담았다.

그림 2-2. 방문하천의 생태적 고려 비교(좌에서 우로 무심천, 대전천, 당진천, 예산천, 섬진강(자연하천), 덕산천(자연하천)의 사진)

그림 2-3. 방문하천의 이용 실태 (좌에서 우로 무심천, 대전천, 탐진강, 광주천, 보강천, 온양천의 사진)

그림 2-3은 하천의 이용 측면에서 본 사진들로, 무심천은 하천의 한 쪽 둔치를 자전거로나 체육시설을 인근 주민들이 이용하고 있는 모습 이며, 대전천은 양안으로 산책로가 조성이 되어 있고, 하류의 하수처 리장으로부터 처리수를 하천유지용수로 이용하고 있었다. 탐진강의 경 우 하천 중간에 원형의 무대를 설치하는 등 공연시설을 설치하여 외부 관광객을 유치하는 노력을 하고 있었고, 광주천 하류구간에서는 인근 유치원에서 어린이들이 하천을 따라 생태 체험을 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반면 증평군의 보강천은 수변에 산책로와 체육시설을 조성하 였으나 인근 주거지로부터의 먼 거리등의 사유로 현장조사시 거의 이 용되지 못하는 실정이었고, 온양천 또한 체육공원으로 조성을 하였으 나 사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조성된 수변습지 공간에 오히려 인근 주 민들이 경작을 하고 있는 등 관리에 소홀함을 알 수 있었다.

이밖에도 몇몇 지방자치단체를 방문하여 생태하천 복원과 관련하여 주민들의 반응 및 참여도에 관한 문의를 실시하였는데, 주민들의 하천 사업에 대한 반응은 좋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조성 시 주민의견 수 렴이나 향후 하천의 관리 등에 주민의 참여도 조사나 이에 대한 정량 화 연구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 방문하천의 시각적 하천환경 평가 방법

현장조사를 실시한 대상하천의 생태적 환경을 평가하기 위하여 미국 농무부(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USDA)산하의 자연 보전국(Natural Resources Conservation Service, NRCS)에서 개발한 하천의 시각적 평가 프로토콜(Stream Visual Assessment Protocol, SVAP; USDA NRCS, 1999)을 활용하였다. SVAP는 수생 생태계나 수문학 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이나 특별한 훈련 없이도 기본적인 하천 환경 건강성 평가를 시각적으로 쉽게 수행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이 프로토콜은 그 분석수준에 따라 4개의 단계(1단계: Stream Visual Assessment Protocol(SVAP), 2단계: Water Quality Indicators Guide, 3단계: Stream Ecological Assessment Handbook, 4단계: Intensive Bio-assessment Protocol)로 나누는데, 평가의 단계 수준이 높아질수 록 수질 및 생태 필요 자료도 늘어나며, 실제 현장에서의 측정이나 샘 플링을 통한 분석 등을 포함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그 첫 번째 수 준의 가장 간략한 평가 방법을 따랐으며, 이 방법은 일정 구간(한 구 간은 수로 폭의 약 15 배가량의 하천 구간에 대한 평가를 기준으로 설 정)에 대한 평가가 원칙이다.

첫 번째 단계인 SVAP는 하천 평가에 경험이 없는 사람들도 쉽게 수행 할 수 있는 신속하고 효과적인 일차적인 하천 평가 방법이다. SVAP 프 로토콜은 하천의 특성에 맞게 평가 항목을 수정하여 적용할 수 있는 예비적인 하천 평가에 사용될 수도 있고, 또한 교육적인 목적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Bjorkland et al., 2001). SVAP의 장점으로 평가가 쉽

고, 비용이 저렴하며, 결과를 신속하게 알 수 있고, 이해하기 쉬움으 로 최소한의 훈련으로 충분하고 평가 자체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거 의 없다는 것이다. Cooke and Zack (2008)은 미국 Oregon주에서 SVAP 를 이용하여 수변에서 서식하는 어류를 위한 환경을 평가하는데 다른 방법과 함께 적용하여 그 결과를 서로 비교한 바 있다. 그 결과 SVAP 는 다른 방법과 비교해서 최선은 아니지만 대략적인 서식 환경을 평가 하는데 유용하다고 보고된 바 있다.

SVAP 평가 방법에 대해 좀더 살펴보면, 프로토콜은 최대 15개 평가 항목을 두고 있고, 일부 항목은 평가가 어려운 경우 제외할 수 있는데 여기에는 식생에 의한 수표면 가림 정도, 가축분뇨 오염정도, 염분 정 도 등이 있다. 다음의 그림 2-4는 시각적 평가 프로토콜에 따르는 평 가를 위해 현장 조사 시 평가 구간에 대한 상세 정보를 기록하고 하천 의 형상을 묘사하고 평가를 하는 데이터 sheet의 한 예를 보여주고 있 다. 프로토콜에 따르면 수로의 폭이 15 m 이상이면 식생 가림 평가를, 천변 축사 운영이 없는 경우 분뇨 오염정도를, 인간 활동에 의한 염분 피해가 없는 경우 염도정도를 평가 항목에서 제외할 것을 명시하고 있 다. 각 항목에 대하여 1에서 10점까지의 점수를 부여하고 평가항목의 평균을 내어 매우양호(Excellent, 평균 9.0이상), 양호(Good, 7.5~9.0), 보통(Fair, 6.0~7.5), 불량(Poor, 6.0 미만)의 4등급으로 등급 판정한다.

각 항목에 대한 평가 내용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수로 상태(Channel condition)

하천 수로의 물의 흐름에 대한 평가하는 지표로써, 인간 활동에 의한 하천 영향을 나타낸다. 주요 관찰 항목으로는 하천의 직강하 또는 수 로화 정도를 하천 제방의 높이나 제방 재료, 하천 흐름의 다양성 등을 기준으로 평가한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의 일차 제방에 의한 평가보다 는 하천 내의 이차제방(홍수터 호안)의 사행화 정도 및 하천 흐름의 다양성을 기준으로 수로 상태를 평가하였다.

2) 수문학적 상태(Hydrology alteration)

하천의 주기적인 만수로 흐름이나 홍수는 하천의 형상이나 기능 유지 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생태적인 측면에서 1.5에서 2년에 한번정도 홍수터를 범람하는 홍수가 가장 이상적인 것으로 보여 지고 있다. 또

한 하천의 댐이나 취수 문제도 하천의 수문에 영향을 주나 이부분에 대한 평가는 수문학적 평가에서는 보류하고, 주로 수문학적 상태의 평 가를 위해서 그 지표라 할 수 있는 하천 식생의 안정정도 및 하상의 침식/퇴적 흔적에 의해 평가를 내렸다. 건천화 또한 매우 중요한 수문 한적인 훼손으로 하천의 환경유지수량도 평가의 한 기준이 되었다.

3) 수변 식생 상태(Riparian zone)

하천 수변 식생은 수질 개선 측면, 생태적 서식처 제공 측면 등 다양 한 기능을 하는 매우 중요한 하천 환경의 하나이다. 수변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우선 식생 자체가 자연적인 것이어야 하나 이는 본 연구의 평가에서는 외래/자연 식생 여부는 평가에 고려되지 않았다. 또한 하 천 수로부의 두배 이상 길이의 홍수터가 양안으로 형성되는 경우가 생 태적으로 가장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제방화된 우리나라 하천 특성상 홍수터의 넓이는 평가에 크게 고려되지 않았다. 주요 평가는 수로 호안 및 홍수터의 식생의 활착도(안정화 정도)에 주요 방점을 두

하천 수변 식생은 수질 개선 측면, 생태적 서식처 제공 측면 등 다양 한 기능을 하는 매우 중요한 하천 환경의 하나이다. 수변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우선 식생 자체가 자연적인 것이어야 하나 이는 본 연구의 평가에서는 외래/자연 식생 여부는 평가에 고려되지 않았다. 또한 하 천 수로부의 두배 이상 길이의 홍수터가 양안으로 형성되는 경우가 생 태적으로 가장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제방화된 우리나라 하천 특성상 홍수터의 넓이는 평가에 크게 고려되지 않았다. 주요 평가는 수로 호안 및 홍수터의 식생의 활착도(안정화 정도)에 주요 방점을 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