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Ⅲ. 연구방법

3. 자료수집방법

질적 연구에서의 자료를 수집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면담(interview)과 관찰 (observation)이며, 이러한 자료수집방법과 병행하여 2차 자료인 각종 문서로부터 자료를 수집하는 방법이 있다.

이 연구를 위한 주된 방법으로는 심층면담방법(in-depth interview)이며, 이를 보 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비 참여 관찰방법(non-participant observation)을 사용하 였다. 심층면담의 구체적 방법은 비 구조화된 양식과 반 구조화된 양식을 적절히 사용함으로써 대상자가 자신의 감정을 솔직하게 이야기할 수 있도록 유도하였다.

가장 흔한 면담의 형식은 한 사람이 다른 사람으로부터 정보를 얻어내는 개인 대 개인의 면담이며, 집단 또는 좌담회 형식들도 자료를 얻기 위해 사용될 수 있 다. 이 연구에서는 집단 좌담회 형식의 면담은 갈등이라는 개념이 부정적 사회가 치로 인식될 수 있어 실시하지 않았다. 면담에서의 자료 수집은 필요자료의 수집 이 용이하고, 대상자의 감정, 생각, 의견 등을 폭넓게 이해할 수 있어야 하므로 대 상자의 마음속에 접해 있는 것 즉, 연구자가 직접 관찰할 수 없는 것을 발견해 내 기 위하여 노력을 기울였다.

면담에서의 반구조적, 비구조적 면담 형식들은 얻어지는 정보의 타당성에 있어 서 명료하고, 응답자의 지식, 개입, 지위에 알맞게 질문할 수 있는 기회가 많이 있 다. 면담은 또한 조사자에게 연구방향 재설정의 방법에 따라 기회를 제시하며, Blumer(1967)가 제시한 탐색과 검열의 과정을 거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한다.

심층면담에 들어가기 전에 연구의 이론적 틀을 마련하는 것은 연구목표들을 명 백히 하면서 어쩌면 측정할 수 있는 언어로 옮기는 수단이 된다. 그리고 그것은 응답자들이 연구되는 현상에 대한 자신들의 지식을 나누고 싶도록 동기화 시키는 일이다.(Denzin, 1972). 따라서 면담 전에 이론적 준거 틀을 설정하고 일련의 목표 를 가지고 면담에 임한다. 그리고 Patton(1980)이 제시한 여섯 가지 질문유형(표

참조)은 면담자들로부터 다양한 정보를 얻어내는데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면담에

표 4. 면담의 내용영역

내 용 영 역 세 부 내 용

개인적 요인 가족환경, 운동을 시작하게 된 과정, 이질감, 장래 희망 학업 성취도 수업 참여도, 학업성적, 개별학습,

교사부모의 성적 관심

표 5. 비구조화된 질문문항

면 담 질 문 내 용 1 운동은 언제부터 시작했나?

2 운동을 시작하게 된 동기는?

3 부모님의 운동에 대한 견해는 어떠한가?

4 가족사항은 어떻게 되나?

5 부모님의 직업은? 그리고 두분이 같이 사회생활을 하나? 경제적으로 어떻 다고 생각하나?

6 학급에서의 성적은 몇 등인가?

7 수업 시간에 각 교과는 어느 정도 이해하는가?

8 성적에 대해서 담임선생님이나 교과 선생님들께서 뭐라고 안 하시나?

9 성적에 대해서 감독 선생님은 뭐라고 안 하시나?

10 성적에 대해서 부모님들께서는 뭐라고 하시나?

11 수업시간은 어떻게 되는가?

12 시험기간에도 운동을 하는가?

13 시험기간에는 시험공부를 하는가?

14 수업에 모두 참여 하는가?

15 수업 시간에는 주로 뭘 하는가?

16 다른 학생들과 이질감을 느꼈던 적이 있다면 어떤 때인가?

17 공부하고 싶은 생각은 없는가?

18 장래의 희망을 구체적으로 얘기한다면?

2) 비 참여관찰

면담방법과 마찬가지로 관찰 역시 질적 연구에서 일차적 자료를 수집하는 방법 이다. 현상을 관찰함으로써 자료를 수집하는 일은 보통 비 참여관찰(non-participant observation)로 지칭한다. 이것은 두 가지 면에서 면담방법과 구분될 수 있는데 첫 째, 면담은 그 목적을 위해 고안된 장소에서 이루어지는 데 반해 비참여관찰은 자 연스런 현장상황에서 일어난다. 둘째, 면담자료는 현실에 대한 간접 해석인 반면, 관찰 자료는 현실에 대한 직접경험이다(Patton, 1985). 그러나 자료를 수집하는 실 제 상황에서는 비형식적 면담이나 대화가 자주 관찰과 함께 병행되어진다.

비 참여관찰은 가장 생산적인 연구방법으로 운동이나 수업에는 참여를 하지 않 으면서 관찰에 대한 내용을 기록한다. 다만, 수업 중에는 학과 교사나 학생들에게 수업에 대한 장애가 될 수 있으므로 주의를 해야 한다.

관찰의 초점은 세 가지에 맞춘다. 첫째, 운동을 준비하는 단계에서 끝마치고 정 리하는 단계까지 운동장이나 체육관에서 실제로 일어나는 일에 주목한다. 따라서 지도자와 특기생들과의 관계, 동료들과의 관계 등 일반적으로 발생하는 사회적, 문 화적 활동을 기록하여 나간다. 이 광의적 관찰은 연구주제들 중 운동 장소에서 어 떠한 상호작용을 어떻게 수행하느냐 하는 것이다.

둘째, 특기생들의 수업참여 실태에 대하여 초점을 맞춘다. 운동 시간 외에 학생 으로서 수업 참여도와 학급환경에서의 적응력에 관해서 기록한다.

셋째, 관찰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점점 분석적 귀납법의 과정이 되기 때문에 명 료화되기 시작한다. 관찰노트의 기록양은 점점 줄어들면서 학급과 운동장소에서 발 생하는 현상들이 보다 진전된 범주로 체계화되기 시작한다. 이 시점에서 관찰은 어떤 현상이 중요하고 주목할 만한 것인가. 그리고 기록되어질 필요가 있는가를 결정하는 여과기의 역할을 수행한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