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III. 연구방법

5. 자료분석

자료분석을 위해서 분석의 목적에 따라 다양한 분석방법을 활용하였으며, 연구에 활용한 분석방법을 분석내용별로 제시하면 <표 Ⅲ-34>와 같다.

분석내용 분석방법

조사대상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연구변인들의 기술통계량 기술통계

연구변인들 간 상관관계 상관관계

분석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교육훈련 전이 수준 차이 t-검증,

ANOVA 가설 1. 교육훈련설계 속성, 학습 유의미성, 전이효능감, 교육훈련 전이는 서로 간

영향관계에 있을 것이다.

경로분석 가설 1-1. 교육훈련설계 속성은 학습 유의미성에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1-1-1. 사전정보 구체성 → 학습 유의미성 가설 1-1-2. 교육내용 타당성 → 학습 유의미성 가설 1-1-3. 참여적 교수방법 → 학습 유의미성 가설 1-1-4. 강사능력 → 학습 유의미성 가설 1-1-5. 현업적용계획 수립 → 학습 유의미성

가설 1-2. 교육훈련설계 속성은 전이효능감에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1-2-1. 사전정보 구체성 → 전이효능감 가설 1-2-2. 교육내용 타당성 → 전이효능감 가설 1-2-3. 참여적 교수방법 → 전이효능감 가설 1-2-4. 강사능력 → 전이효능감 가설 1-2-5. 현업적용계획 수립 → 전이효능감

가설 1-3. 학습 유의미성 → 전이효능감 가설 1-4. 학습 유의미성 → 교육훈련 전이 가설 1-5. 전이효능감 → 교육훈련 전이

(표 계속)

<표 Ⅲ-34> 분석내용별 분석방법

분석내용 분석방법

셋째, 기업 리더십 교육 프로그램 참가자의 교육훈련 전이가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해서 t-검증과 ANOVA(ANalysis Of VAriance, 분산분석)를 활용하였다. 교육훈련 전 이의 수준이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특히 응답자의 소속 기업에 따라 다른 경우 연구결과가 왜곡될 수 있으므로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교육훈련 전이의 차이를 확인하고, 차이가 있는 경우 이를 가설검증 단계에서 통제변인으로 처리하여 분석을 수행하기로 하였다.

넷째, 기업 리더십 교육 프로그램 참가자가 인식한 교육훈련설계 속성, 학습 유의미성, 전이효능감 및 교육훈련 전이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서 연구모형에 따라 경로모형을 구성하고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섯째, 팬텀변인을 활용하여 학습 유의미성과 전이효능감의 매개효과 를 검증하였다. 팬텀변인은 일종의 가상변수로, 모델적합도 및 모수치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도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 따른 효과크기 및 유의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해준다. 특히 이 연구에서 가정된 순차적 이중매개효과를 분석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용하다. 따라 서 이 연구에서는 팬텀변인을 이용한 부트스트래핑을 활용하여 경로별 매개효과의 크기와 유의도를 검증하였으며, 부트스트래핑 추출 표본 수 는 5,000개로 설정하였다.

여섯째, 전이효능감과 교육훈련 전이의 관계에서 상사지원의 조절효과 를 살펴보기 위해 Hayes의 PROCESS Macro Model 1의 모형(<그림 Ⅲ -12> 참조)을 활용하였다.

[그림 Ⅲ-12] 조절효과 분석 개념도 (model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