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교육훈련설계 속성, 학습 유의미성, 전이효능감 및 교육훈련 전이의 영향관계· 97

IV. 연구결과

2. 교육훈련설계 속성, 학습 유의미성, 전이효능감 및 교육훈련 전이의 영향관계· 97

유의수준 (p) B s.e.

교육훈련전이1 → 교육훈련전이 1.000 .847

교육훈련전이2 → 교육훈련전이 .790 .071 .722 <.001 교육훈련전이3 → 교육훈련전이 .789 .089 .584 <.001 교육훈련전이4 → 교육훈련전이 .734 .066 .685 <.001

<표 Ⅲ-4> 교육훈련 전이 측정도구 문항의 요인적재치

2) 교육훈련설계 속성 (1) 설문문항 개발

이 연구에서는 교육훈련설계 속성으로 사전정보 구체성, 교육내용 타 당성, 참여적 교수방법, 강사능력, 현업적용계획 수립을 설정하였다. 각 변인의 측정을 위해 국내외 전이 관련 연구들(김진모, 1997; 박종선, 김 진모, 2016; 유성희, 2013; 이도형, 1995; 최창환, 정철영, 2008; Curry, 1997; Holton et al., 2000; Saks & Belcourt, 2006; Thayer & Teachout, 1995)에서 교육훈련설계 속성을 측정하기 위해서 제시한 문항들을 선정 하거나 특정 개념을 설명하는 속성에 따라 연구자가 문항을 개발하였다.

그 결과, 사전정보 구체성 4문항, 교육내용 타당성 12문항, 참여적 교수 방법 5문항, 강사능력 10문항, 현업적용계획 수립 8문항 등 총 39문항을 개발하였다(<표 Ⅲ-5> 참조).

변인 (및 세부개념) 문항 수 근거

사전정보 구체성 4

Ÿ 김진모(1997) Ÿ Curry(1997) Ÿ Holton et al.(2000) Ÿ Saks & Belcourt(2006)

교육내용 타당성

12

-교육내용의 업무관련성 4 Ÿ 박종선, 김진모(2016) Ÿ 유성희(2013)

일반적 원리 제시 4 Ÿ Saks & Belcourt(2006) Ÿ Thayer & Teachout(1995)

다양한 사례 제시 4 Ÿ 이도형(1995)

Ÿ Saks & Belcourt(2006)

참여적 교수방법 5

Ÿ 이도형(1995) Ÿ Holton et al.(2000) Ÿ Thayer & Teachout(1995)

강사능력

10

-개별적 피드백 제공 5

Ÿ 이도형(1995)

Ÿ Saks & Belcourt(2006) Ÿ Thayer & Teachout(1995) 강사의 전문성 5 Ÿ 이도형(1995) Ÿ Saks & Belcourt(2006)

<표 Ⅲ-5> 5개 교육훈련설계 속성 변인 측정도구 구성

문항들을 수정하였으며, 문항의 진술이 서로 유사하여 그 의미가 잘 구

CMIN/df 8.611 ≤ 3 Hu & Bentler(1999) 부적합 RMR .016 ≤ .08 Browne & Cudeck(1993) 적합

GFI .968 ≤ .85 Hu & Bentler(1999) 적합

증분 적합 지수

IFI .978 ≤ .90 Bentler(1989) 적합

TLI .934 ≤ .90 Hair et al.(2010) 적합

보통 Hu & Bentler(1999) 부적합

<표 Ⅲ-6> 사전정보 구체성 측정도구의 측정모형 적합도

측정모형의 수정을 위해 AMOS 22.0이 제공하는 수정지수(M.I.;

Modification Indices)를 참고하여 측정모형으로부터 제안된 공분산 설정 에 따라 측정오차 e3과 e4를 공분산으로 설정하였다(M.I.=9.619, Par

Change=.044). 수정된 측정모형의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측정모형의 적

CMIN/df .625 ≤ 3 Hu & Bentler(1999) 적합 RMR .003 ≤ .08 Browne & Cudeck(1993) 적합 GFI .999 ≤ .85 Hu & Bentler(1999) 적합

증분 적합 지수

IFI 1.001 ≤ .90 Bentler(1989) 적합 TLI 1.003 ≤ .90 Hair et al.(2010) 적합

Hu & Bentler(1999) 좋음

<표 Ⅲ-7> 사전정보 구체성 측정도구의 수정된 측정모형 적합도

(나) 교육내용 타당성

CMIN/df 19.414 ≤ 3 Hu & Bentler(1999) 부적합 RMR .070 ≤ .08 Browne & Cudeck(1993) 적합

GFI .520 ≤ .85 Hu & Bentler(1999) 부적합

증분 적합 지수

IFI .593 ≤ .90 Bentler(1989) 부적합 TLI .500 ≤ .90 Hair et al.(2010) 부적합

Hu & Bentler(1999) 부적합

<표 Ⅲ-9> 교육내용 타당성 측정도구의 단일요인 측정모형 적합도

CMIN/df 2.532 ≤ 3 Hu & Bentler(1999) 적합 RMR .022 ≤ .08 Browne & Cudeck(1993) 적합 GFI .931 ≤ .85 Hu & Bentler(1999) 적합

증분 적합 지수

IFI .968 ≤ .90 Bentler(1989) 적합

TLI .958 ≤ .90 Hair et al.(2010) 적합

Hu & Bentler(1999) 괜찮음

<표 Ⅲ-10> 교육내용 타당성 측정도구의 2차요인 측정모형 적합도

[그림 Ⅲ-5] 교육내용 타당성 측정모형 및 요인적재치

경로 비표준화 계수 표준화계수

()

유의수준 (p) B s.e.

교육내용의업무관련성1 교육내용의업무관련성 1.000 .777

교육내용의업무관련성2 교육내용의업무관련성 1.000 .064 .840 <.001 교육내용의업무관련성3 교육내용의업무관련성 1.068 .065 .893 <.001 교육내용의업무관련성4 교육내용의업무관련성 1.098 .066 .907 <.001

일반적원리제시1 일반적원리제시 1.000 .769

일반적원리제시2 일반적원리제시 .991 .073 .790 <.001 일반적원리제시3 일반적원리제시 1.132 .076 .856 <.001 일반적원리제시4 일반적원리제시 1.088 .073 .852 <.001

다양한사례제시1 다양한사례제시 1.000 .874

다양한사례제시2 다양한사례제시 1.086 .053 .893 <.001 다양한사례제시3 → 다양한사례제시 1.121 .069 .790 <.001 다양한사례제시4 → 다양한사례제시 1.029 .059 .821 <.001

교육내용의업무관련성 → 교육내용타당성 1.000 .740

일반적원리제시 → 교육내용타당성 .924 .132 .750 <.001 다양한사례제시 → 교육내용타당성 .965 .132 .702 <.001

<표 Ⅲ-11> 교육내용 타당성 측정도구 문항의 요인적재치

(다) 참여적 교수방법

CMIN/df 19.009 ≤ 3 Hu & Bentler(1999) 부적합 RMR .024 ≤ .08 Browne & Cudeck(1993) 적합

GFI .877 ≤ .85 Hu & Bentler(1999) 양호

증분 적합 지수

IFI .884 ≤ .90 Bentler(1989) 양호

TLI .766 ≤ .90 Hair et al.(2010) 부적합

Hu & Bentler(1999) 부적합

<표 Ⅲ-12> 참여적 교수방법 측정도구의 측정모형 적합도

측정모형의 수정을 위해 AMOS 22.0이 제공하는 수정지수를 참고하여 측정모형으로부터 제안된 공분산 설정에 따라 측정오차 e1과 e2를 공분 산으로 설정하였다(M.I.=62.944, Par Change=.088). 수정된 측정모형의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측정모형의 적합도가 크게 개선되었지만, 여전히

CMIN/df 5.296 ≤ 3 Hu & Bentler(1999) 부적합 RMR .011 ≤ .08 Browne & Cudeck(1993) 적합

GFI .971 ≤ .85 Hu & Bentler(1999) 적합

증분 적합 지수

IFI .978 ≤ .90 Bentler(1989) 적합

TLI .944 ≤ .90 Hair et al.(2010) 적합

Hu & Bentler(1999) 부적합

<표 Ⅲ-13> 참여적 교수방법 측정도구의 1차 수정된 측정모형 적합도

이에 수정지수를 재차 참고하여 측정오차 e3과 e5를 공분산으로 설정 하였다(M.I.=6.025, Par Change=.023). 2차 수정된 측정모형의 확인적 요 인분석 결과, 측정모형의 적합도가 개선되어 모든 적합도 지수는 적절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으며(<표 Ⅲ-14> 참조), 문항의 요인적재치는 모 두 .4 이상으로 나타나, 모든 문항이 참여적 교수방법을 적절히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그림 Ⅲ-6], <표 Ⅲ-15> 참조).

구분 적합도 지표 적합도 지수 판단 기준 판단 근거 해석

절대 적합 지수

CMIN/df 2.540 ≤ 3 Hu & Bentler(1999) 적합 RMR .005 ≤ .08 Browne & Cudeck(1993) 적합 GFI .989 ≤ .85 Hu & Bentler(1999) 적합

증분 적합 지수

IFI .994 ≤ .90 Bentler(1989) 적합

TLI .980 ≤ .90 Hair et al.(2010) 적합 CFI .994 ≤ .90 Hair et al.(2010) 적합 RMSEA .074

≤ .05:

≤ .08:

≤ .10:

좋음 괜찮음

보통 Hu & Bentler(1999) 괜찮음

<표 Ⅲ-14> 참여적 교수방법 측정도구의 최종수정된 측정모형 적합도

[그림 Ⅲ-6] 참여적 교수방법 측정모형 및 요인적재치

경로 비표준화 계수 표준화계수

CMIN/df 16.181 ≤ 3 Hu & Bentler(1999) 부적합 RMR .053 ≤ .08 Browne & Cudeck(1993) 적합

GFI .630 ≤ .85 Hu & Bentler(1999) 부적합

증분 적합 지수

IFI .688 ≤ .90 Bentler(1989) 부적합 TLI .596 ≤ .90 Hair et al.(2010) 부적합

Hu & Bentler(1999) 부적합

<표 Ⅲ-16> 강사능력 측정도구의 단일요인 측정모형 적합도

구분 적합도 지표 적합도 지수 판단 기준 판단 근거 해석 절대

적합 지수

CMIN/df 2.900 ≤ 3 Hu & Bentler(1999) 적합 RMR .025 ≤ .08 Browne & Cudeck(1993) 적합 GFI .933 ≤ .85 Hu & Bentler(1999) 적합

증분 적합 지수

IFI .962 ≤ .90 Bentler(1989) 적합

TLI .949 ≤ .90 Hair et al.(2010) 적합 CFI .962 ≤ .90 Hair et al.(2010) 적합 RMSEA .082

≤ .05:

≤ .08:

≤ .10:

좋음 괜찮음

보통 Hu & Bentler(1999) 보통

<표 Ⅲ-17> 강사능력 측정도구의 2차요인 측정모형 적합도

[그림 Ⅲ-7] 강사능력 측정모형 및 요인적재치

경로 비표준화 계수 표준화계수

CMIN/df 11.1031 ≤ 3 Hu & Bentler(1999) 부적합 RMR .031 ≤ .08 Browne & Cudeck(1993) 적합

GFI .823 ≤ .85 Hu & Bentler(1999) 양호

증분 적합 지수

IFI .862 ≤ .90 Bentler(1989) 양호

TLI .806 ≤ .90 Hair et al.(2010) 양호

Hu & Bentler(1999) 부적합

<표 Ⅲ-19> 현업적용계획 수립 측정도구의 단일요인 측정모형 적합도

구분 적합도 지표 적합도 지수 판단 기준 판단 근거 해석 절대

적합 지수

CMIN/df 6.064 ≤ 3 Hu & Bentler(1999) 부적합 RMR .023 ≤ .08 Browne & Cudeck(1993) 적합

GFI .907 ≤ .85 Hu & Bentler(1999) 적합

증분 적합 지수

IFI .934 ≤ .90 Bentler(1989) 적합

TLI .902 ≤ .90 Hair et al.(2010) 적합

Hu & Bentler(1999) 부적합

<표 Ⅲ-20> 현업적용계획 수립 측정도구의 2차 요인 측정모형 적합도

CMIN/df 4.007 ≤ 3 Hu & Bentler(1999) 부적합 RMR .018 ≤ .08 Browne & Cudeck(1993) 적합

GFI .941 ≤ .85 Hu & Bentler(1999) 적합

증분 적합 지수

IFI .963 ≤ .90 Bentler(1989) 적합

TLI .942 ≤ .90 Hair et al.(2010) 적합

Hu & Bentler(1999) 양호

<표 Ⅲ-21> 현업적용계획 수립 측정도구의 1차 수정된 2차요인 측정모형 적합도

구분 적합도 지표 적합도 지수 판단 기준 판단 근거 해석 절대

적합 지수

CMIN/df 2.721 ≤ 3 Hu & Bentler(1999) 적합 RMR .012 ≤ .08 Browne & Cudeck(1993) 적합 GFI .962 ≤ .85 Hu & Bentler(1999) 적합

증분 적합 지수

IFI .980 ≤ .90 Bentler(1989) 적합

TLI .967 ≤ .90 Hair et al.(2010) 적합

Hu & Bentler(1999) 괜찮음

<표 Ⅲ-22> 현업적용계획 수립 측정도구의 최종수정된 2차요인 측정모형 적합도

(3) 신뢰도 분석

개념을 측정하는 데에 가장 적절할 것으로 판단되었기 때문에, 이 하위영역 에 포함된 문항들을 활용하여 학습 유의미성을 측정하였다.

Nehari와 Bender(1978)의 수업과정 가치 영역 측정도구는 4점 리커트 척도를 활용한 9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학생과 대학원생 141명 을 대상으로 본조사를 실시하여 타당성을 검증하였고, 문항의 내적일치 도는 .92로 나타났다. Nehari와 Bender(1978)의 도구는 Lawless(1982)와 Sobral(1995)의 연구에서도 그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받은 바 있다.

이 연구에서는 원도구에서 수업과정 가치 영역을 측정하는 9개 문항 중, 이 연구에서 학습 유의미성을 측정하기에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는 3 개 문항을 선정 및 번안하여 활용하였으며, 이 연구에서 활용하는 다른 측정도구들과의 통일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5점 척도를 활용하여 학습 유 의미성의 수준을 측정하였다.

번안한 문항들은 HRD 분야의 박사학위 소지자 2명에게 내용타당도를 검 토받고, 교육 프로그램 책임자 및 운영담당자 2명을 대상으로 안면타당도를 검토받았다. 문항을 검토한 결과, 내용타당도 측면에서는 모든 문항이 변인 을 측정하는 데에는 무리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첫 번째 문항에 ‘매우’

라는 부사가 적절하지 않다는 의견이 있어 제거하였다. 안면타당도 측면에 서는 문항들이 리더십 교육 프로그램 참가자들이 이해하기에 어려움이 없 을 것으로 판단되어 추가적인 수정 없이 설문조사에 활용하였다.

문항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분석하기 위해서 확인적 요인분석을 수행하 고 문항의 내적 일치도를 확인하였다. 측정모형은 단일요인으로 구성된 것으로 설정하였다. 문항이 3개인 단일요인 측정모형의 경우 자유도 (degree of freedom)가 0으로, 모형 적합도가 완벽한 것으로 가정되며, 문항의 요인적재치는 모두 .4 이상으로 나타나, 모든 문항이 학습 유의미 성을 적절히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그림 Ⅲ-9], <표 Ⅲ-25>

참조). 측정문항의 내적 일치도는 .912로 나타나, 문항의 신뢰도가 확보 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Ⅲ-9] 학습 유의미성 측정모형 및 요인적재치

경로 비표준화 계수 표준화계수

()

유의수준 (p) B s.e.

학습유의미성1 → 학습유의미성 1.000 .902

학습유의미성2 → 학습유의미성 .981 .046 .918 <.001 학습유의미성3 → 학습유의미성 .925 .050 .828 <.001

<표 Ⅲ-25> 학습 유의미성 측정도구 문항의 요인적재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