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II. 이론적 배경

4. 학습 유의미성, 전이효능감 및 상사지원

가. 학습 유의미성

1) 학습 유의미성의 개념

학습 유의미성(Meaningfulness of Learning)이란 학습자가 경험한 학 습활동이 자신에게 얼마나 의미가 있는지에 대한 인식수준을 의미한다.

학습 유의미성과 관련된 연구는 주로 학교교육 분야에서 다루어져 왔는 데, 국내에서는 ‘수업의 유의미성 지각’이라는 용어로 그 개념이 설명되 어 왔다. 이 연구에서는 제도권 교육으로서 학교에서 일어나는 교육이 교실에서 일어나는 수업으로 대표된다는 점과 기업교육 분야에서 수업 대신에 학습이라는 개념이 널리 활용된다는 점을 고려하여 ‘학습 유의미 성’이라는 용어를 활용함으로써 그 개념을 다루고자 하였다.

학습 유의미성은 구성주의적 학습관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는 주 제이다. 구성주의적 학습관에 따르면 학습자가 습득한 정보에 대한 양적 평가보다도 학습자가 습득한 지식을 어떻게 이해해야 하고, 이를 언제/

어디서 활용하는 것이 적절한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 며, 학습자는 자신이 처한 맥락에 따라 학습한 것의 의미를 구성해야 한 다(강인애, 1998). 즉, 학습은 지식을 습득하는 것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 라 그것을 학습자가 처한 상황에 적절히 적용할 수 있어야만 학습자에게 의미가 있다는 것이다.

학교교육 분야에서 학습 유의미성의 중요성이 대두된 것도 구성주의적 학습관에 따라 교육의 담론이 전환된 데에서 유래한다. 기존 교사중심의 지시적 수업체제에서는 교사가 설정한 준거에 따라 수업의 효과성과 효 율성을 평가하는 것이 교수학습 평가의 관행이었으며, 수업효과성의 척 도로서 학업성취도를 측정하는 방식이 주류를 이루어 왔다. 그러나 교사 중심 수업에서 학생중심 수업으로의 전환과 함께 학습에 대한 학습자의 책임과 자기주도성을 강조하게 되면서 수업과정에 대한 학생들의 평가를 교육성과의 평가원으로 활용하는 방안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Nehari와 Bender(1978)는 교육성과의 평가에 있어서 교사보다는 오히 려 학습자들이 자신의 학습에 대한 정당하고 중요한 평가 주체가 될 수 있음을 주장하였다. 그들에 의하면, 학습자들이야말로 자신의 지식과 이 해의 증진을 타당하게 평가할 수 있는 나름의 위치와 자격을 지니고 있 으며, 학습자들은 학습에 대한 동기와 태도의 변화를 타당하게 평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엇이 효과적인 수업인가를 평가할 수 있는 나름 의 기준을 토대로 교육의 효과성을 평가할 수 있는 적절한 위치에 있다.

기업교육 분야에서 학습 유의미성을 다룬 국내연구는 찾아보기 어렵지만, 해외에서는 몇몇 연구를 찾아볼 수 있다. Svensson, Ellström과 Åberg(2004) 는 일터학습을 통해서는 학습자의 경험에 기초하여 학습이 일어날 수 있으 며, 학습자는 그들이 습득한 지식을 직접적으로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학습 이 더욱 큰 의미를 가질 것이라고 보았다. Tews와 Noe(2017)는 Kahn(1990) 의 직무몰입 개념을 교육훈련 장면으로 확장시켜 ‘훈련몰입’이라는 개념을 제 안했는데, 훈련몰입의 구성요소로서 안전감(Safety), 유용성(Availability)과 더불어 훈련의 유의미성(Meaningfulness)을 포함시켰다.

기업교육의 맥락에서 학습 유의미성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기업교 육에서는 교육유효성이 종사자의 직무수행 및 성과, 나아가 조직의 성과 로 나타나야 하는데, 교육유효성의 관점에서 기업교육이 특히 강조하고 있는 교육훈련 전이는 학습자가 지식 습득뿐만 아니라 학습한 내용을 실 제 자신의 업무에 적용해야 그 의미가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기업 종사 자는 학습한 내용을 먼 미래가 아닌, 교육 직후부터 행동으로 발현시켜 야 하는데, 그 교육의 내용이 자신에게 충분히 의미가 있다고 판단되지 않으면 학습에 대한 의지도 낮아지며, 학습한 내용을 행동으로 발현하고 자 하는 노력은 적어질 것이다.

학습 유의미성은 특히 리더십 교육에 있어서 중요한 함의를 가질 것이 다. 리더십 교육은 제한된 소수의 상황에서 마주치는 문제들에 대한 명 확한 답을 제시해준다기보다는, 개방형 지식(open knowledge)을 전달하 는 교육으로서 학습내용을 자신의 상황에 맞게 재구조화하고 발현해야

하기 때문에 자신의 가치관과 행동양식을 변화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즉, 단순히 교육에서 제공하는 지식을 습득한다고 해서 리더십이 발현된다고 기대하기 어렵고, 그 교육이 일터에서의 나의 상황을 고려하였을 때 의 미가 있다고 느끼는 것이 행동의 변화를 촉진하는 요인이 될 것이다.

2) 학습 유의미성의 측정

학습 유의미성은 상기한 바와 같이 학교교육 분야에서 주로 연구되어 왔기 때문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측정도구들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Nehari와 Bender(1978)은 대학생과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학습경험의 유의미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수업과정 평가, 인지적 학습, 행동적 학습, 정의적·개인적 학습의 네 가지 하위영역으로 구성된 수업과정 평가 척도 (Course Valuing Inventory: CVI)를 개발하였다. 각 하위영역을 살펴보 면, 첫째, 수업과정 가치(Course Valuing) 영역은 수업의 과정에서 학습 자들이 학습경험을 얼마나 가치 있고, 유의미하고, 중요하며, 긍정적인 것으로 지각하는가를 측정한다. 둘째, 내용학습(Content Learning) 영역 은 학생들이 수업을 통해 지식을 습득했다고 인식하는 수준을 측정한다.

셋째, 개인적 학습(Personal Learning) 영역은 수업이 자신의 개인적 개 발을 도왔다고 인식하는 수준을 측정한다. 넷째, 행동학습(Behavioral Learning) 영역은 수업에서 학습한 대로 학생의 행동이 변화한 수준을 측정한다. 각 하위영역에서 측정하는 내용을 살펴보면, 수업과정 가치평 가 영역은 이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학습 유의미성과 유사한 의미를 갖는 것으로 보인다.

네 가지 하위영역은 각각 9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문항의 내 적 일치도는 각각 .92(수업과정 가치), .85(내용학습), .83(개인적 학습), .77(행동학습)으로 나타났다. 국내에서는 김동엽(2000)이 이 도구를 우리 나라 고등학교 학생들의 수준과 맥락에 적합하도록 수정하여 활용한 바 있으며, 이 도구를 이연숙(2002)과 송현숙(2002)이 각각 초등학생과 중학 생이 지각한 수업의 유의미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활용하였다.

Gentry와 Springer(2002)는 초등학생들과 중학생들이 인식한 수업의 질을 평가하기 위해 Gentry와 Gable(2001)이 기존에 개발한 도구인 MCA(My Class Activities) 도구를 수정하여 고등학생용 도구를 개발하였다. 이 도구는 도전감(Challenge), 선택권(Choice), 유의미성(Meaningfulness), 매력(Appeal) 의 네 가지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중에서 학습 유의미성과 관련 된 요인은 유의미성이다. 유의미성에서는 학습주제와 활동이 학습자 개인에 게 얼마나 의미 있는지를 측정하며, 척도는 6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고, 문 항의 내적일치도는 .84로 나타났다.

기업교육 분야에서는 교육만족도를 평가하면서 학습 유의미성의 내용을 전 체적 혹은 부분적으로 다루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김가연(2011)은 Shin(2003) 이 사이버대학생의 교육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해 개발한 도구를 기업교육의 맥락에 맞게 수정 및 번안한 도구를 통하여 교육만족도를 확인하였다. 그의 연구에서 교육만족도는 ‘본 과정을 학습하게 된 것은 나에게 가치 있는 경험 이었다.’ 등 학습경험의 가치에 대한 문항들로 구성되어 있어, 이 연구가 다 루고자 하는 학습 유의미성과 그 의미가 유사하였다. 만족도의 척도는 8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문항의 내적일치도는 .91로 나타났다.

기업교육의 맥락에서 학습 유의미성을 측정한 사례를 찾기는 어렵지만, 직 업을 가진 성인을 대상으로 학습 유의미성을 측정하는 도구를 활용한 연구들 을 확인해보면 다음과 같다. Gilardi와 Guglielmetti(2011)는 학업과 일을 병행 하는 대학생들의 지속적 학업행동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는데, 지속적 학업행 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하나로 학습 유의미성을 선정하였다. 그들의 연 구에서 학습 유의미성은 총 6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문항의 내적일치 도는 .74로 나타났다. Kwakman(2003)은 교사들이 전문성 향상을 위한 일터학 습에 참여하도록 하는 요인들을 탐색하는 연구에서 개인적 특성요인으로서 전 문가적 태도, 교육의 유용성 인식, 성취감 상실과 함께 학습 유의미성 인식을 설정하였다. 그의 연구에서 학습 유의미성에 관한 인식은 단일문항으로 조사 되었는데, 학습활동이 얼마나 의미가 있었는지를 1점(유의미하지 않았다)에서 4점(매우 유의미했다)까지 점수를 매기도록 하는 4점 척도에 답하게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개념을 가장 잘 표현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 Nehari와 Bender(1978)의 측정도구를 활용하여 학습 유의 미성을 측정하였다.

나. 전이효능감

1) 전이효능감의 개념

자기효능감(self-efficacy)은 자신의 능력에 대한 믿음(belief)을 의미하 며, Bandura(1977)의 사회학습 이론에 의해 발전된 개념이다. 자기효능 감은 인간의 행위에 긍정적 혹은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수 로서 특정한 임무에 대한 자신의 능력을 어떻게 인지하는가에 근거하여 발생한다. 자기효능감 요인은 선택해야만 되는 요인, 장애물이나 실패 앞 에서 어떻게 얼마나 견뎌낼 수 있는가에 대한 의지에서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Hutchinson, Follman, Sumpter & Bodner, 2006).

교육훈련 전이 관련 연구에서는 자기효능감의 개념을 크게 학습자가 기

교육훈련 전이 관련 연구에서는 자기효능감의 개념을 크게 학습자가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