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IV. 연구결과

5.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

가. 교육훈련설계 속성, 학습 유의미성, 전이효능감 및 교육훈련 전이의 영향관계 교육훈련설계 속성, 학습 유의미성, 전이효능감 및 교육훈련 전이의 영 향관계를 확인하기 위해서 경로분석을 수행하였다. 가설에 따라 영향관 계가 설정된 변인 간 관계를 경로분석의 외생변수인 학습 유의미성, 전 이효능감, 교육훈련 전이 순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교육훈련설계 속성과 학습 유의미성의 관계

교육훈련설계 속성 변인 중 일부는 학습 유의미성에 직접적으로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 유의미성에 영향을 미치는 교육훈련설 계 속성 변인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영향력의 크기순으로 교육내용 타 당성(=.263, p<.01), 현업적용계획 수립(=.175, p<.01), 참여적 교수방법 (=.162, p<.01), 강사능력(=.157, p<.05)이 학습 유의미성에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육훈련설계 속성이 교육훈련에 대한 유용 성 인식을 포함한 반응에 영향을 미친다는 박재환(2015), 황보준(2016)의 연구결과와 유사한 결과이다. 이러한 결과는 잘 설계된 교육 프로그램일 수록 해당 교육 프로그램이 자신에게 의미가 있고 유용하다는 학습자의 인식수준을 제고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사전정보 구체성은 학습 유의미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는데(=.044, p>.05), 이는 교육과 관련된 사전정보를 제공하는 시점 이 시간상으로 교육훈련이 발생하기 전이기 때문에, 교육훈련 중에 나타나 는 교육훈련설계 속성들보다는 교육훈련이 종료된 직후에 학습자가 인식하 는 학습 유의미성 및 전이효능감과 시간적 간극, 즉 정재삼(2011)이 언급 한 ‘전이거리’가 길다는 점이 주요한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하여 Massenberg, Schulte와 Kauffeld(2017)는 Holton과 그의 동료들(1998;

2000)이 제안한 학습전이 시스템이 구체적으로 각각 어느 시점의 전이동기 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전이동기의 시점을 교육 전, 후 등 2

개 시점으로 나누어 살펴본 바가 있는데, 그중 학습자 준비도는 교육 전 전이동기에만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보고한 바 있다. 이를 해석하자면, 사전정보 구체성은 교육훈련이 종료된 후보다는 교육훈련 전 교육훈련과 관련된 학습자의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적절하다고 이해할 수 있다.

2) 교육훈련설계 속성, 학습 유의미성 및 전이효능감의 관계

교육훈련설계 속성과 학습 유의미성이 전이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 펴보면, 교육훈련설계 속성 변인 중 일부와 학습 유의미성은 전이효능감 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교육훈련설계 속성 과 전이효능감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교육내용 타당성(=.207, p<.001), 현업적용계획 수립(=.165, p<.01)은 전이효능감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전정보 구체성(=.058, p>.05), 참여 적 교수방법(=-.023, p>.05), 강사능력(=.107, p>.05)은 전이효능감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Zhao, Mattila와 Tao(2008), 이은용, 황정현, 이수범(2011), 송인숙, 권상집(2017) 등의 선 행연구들은 교육훈련설계 속성이 전이효능감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보고하고 있으나, 이 연구에서 교육훈련설계 속성으로 다룬 변인 중 과 반수가 전이효능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결과는 선행연구들의 결과 를 전적으로 지지하지는 않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교육훈련설계 속성은 전이효능감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이해할 수 있다. 교육훈련설계 속성과 더불어 전이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설정된 학습 유의미성은 그 어떤 교육훈련설계 속성보다도 전이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는데(=.316, p<.001), 이 는 학습자가 교육훈련 경험이 충분히 만족스럽고 가치가 있었다고 인식한 다면, 교육을 통해 습득한 지식과 행동을 실제로 자신의 현업에 적용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고취시킬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사전정보 구체성을 제외한 교육훈련설계 속성 변인들이 모두 학습 유의 미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고려하였을 때, 학습 유의미성은 교육훈련 설계 속성과 전이효능감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변인이라고 이해할 수 있 다. 후술한 바와 같이, 학습 유의미성은 교육내용 타당성, 참여적 교수방 법, 강사능력, 현업적용계획 수립과 전이효능감의 관계를 실제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관계를 미루어보면, 교육훈련이 학습자의 학습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잘 설계되어 있다면, 학습자는 자신이 경험한 교육훈련이 가치가 있었다고 인식하고, 이를 통해 학습자가 스스로 수준 높은 교육훈련을 받았다고 느끼면 교육훈련을 통해 얻은 지식과 기술을 현업에서 적용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고취시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학습 유의미성이 전이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이 크다고 하더라도 교육 내용 타당성과 현업적용계획 수립이 여전히 전이효능감에 직접적으로 유 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는 주목할 만하다. 이 연구에서 교육내용 타당 성은 교육내용의 업무관련성, 일반적 원리 제시, 다양한 사례 제시의 개 념을 포함하고 있었는데, 교육내용은 교육 프로그램이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 그 자체이기 때문에 그 내용이 학습자의 현업상황을 잘 반영하고 있고, 리더십 행동을 보다 다양한 상황에서 발현하기 위한 원리 또는 원 칙을 다루며, 교육 프로그램에서 다루는 리더십 행동이 실제 현업에 어떻 게 적용될 수 있는가에 대한 다양한 사례를 제공하는 것은 교육내용의 현업적용을 위해 구체적으로 필요한 상황 및 행동에 대한 가이드를 제공 하는 것과 유사하게 작용하여 학습자가 현업에 복귀하여 교육훈련을 통 해 학습한 내용들을 직접 적용해 볼 수 있다는 자신감을 심어줄 것으로 기대된다. 현업적용계획 수립은 교육내용 타당성과는 다르게 보다 학습자 개인에게 초점을 둔 속성으로, 교육내용을 학습자가 스스로 정리하고, 학 습만으로는 막연할 수 있는 현업적용에 대한 청사진을 스스로 설계할 수 있도록 촉진하며, 현업에 돌아가서도 목표의식을 잃지 않도록 학습자가 수행해야 할 행동들을 명확히 제시하도록 함으로써 교육내용의 현업적용 에 대한 학습자의 자신감을 고취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사전정보 구체성은 학습 유의미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 으면서 전이효능감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는 데, 사전정보 구체성은 학습 유의미성의 관계에 대한 논의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교육훈련이 종료된 후보다는 교육훈련 전 교육훈련과 관련된 학습자의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이해된다.

3) 학습 유의미성, 전이효능감 및 교육훈련 전이의 관계

학습 유의미성, 전이효능감 및 교육훈련 전이의 관계를 살펴보면, 먼저 전이효능감은 교육훈련 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426, p<.001), 전이효능감과 교육훈련 전이의 관계를 실증한 많은 연구결과들 을 지지하였다(예: 박영용, 김진모, 2008; 이진화, 2009; 이찬 외, 2013).

학습 유의미성은 교육훈련 전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 로 나타났지만(=.112, p>.05), 교육훈련 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전이효능감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미루어 볼 때, 전이효능감 을 매개로 교육훈련 전이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즉, 학습 유의미성은 반드시 전이효능감을 통해 교육훈련 전이를 촉진한다는 것인데, 후술한 바와 같이, 전이효능감은 학습 유의미성과 교 육훈련 전이의 관계를 실제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 는 전이효능감이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유용성 반응과 과업수행의 관계 를 완전매개한다는 Baron과 Morin(2010)의 연구결과와도 부합된다.

이러한 결과를 해석하자면, 학습자가 교육내용을 현업에 적용하고자 하 는 자신감을 고취시키는 것은 학습자의 실제 교육훈련 전이의 수준을 제 고하는 핵심적인 선행요건이며, 교육훈련설계의 질을 높이는 것과 자신이 참여한 교육에 대한 학습자의 의미감을 제고하는 것이 학습자들의 현업 적용 자신감을 촉진하는 방법의 일환인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나. 교육훈련설계 속성과 교육훈련 전이의 관계에서 학습 유의미성과 전이효능감의 매개효과

교육훈련 전이에 대한 교육훈련설계 속성의 간접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서 교육훈련 전이와 교육훈련설계 속성의 관계에서 학습 유의미성의 단 일매개효과, 전이효능감의 단일매개효과, 그리고 학습 유의미성과 전이효 능감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5개의 교육훈련설계 속성 중 사전정보 구체성을 제외하고 교육내용 타당성, 참여적 교수방법, 강사능 력, 현업적용계획 수립이 교육훈련 전이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변인별로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사전정보 구체성과 교육훈련 전이의 관계에서 학습 유의미성과 전이효능감의 매개효과 사전정보 구체성은 교육훈련 전이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전정보 구체성과 교육훈련 전이의 관계에서 학습

1) 사전정보 구체성과 교육훈련 전이의 관계에서 학습 유의미성과 전이효능감의 매개효과 사전정보 구체성은 교육훈련 전이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전정보 구체성과 교육훈련 전이의 관계에서 학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