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 농어촌 인구의 감소와 노령화

우리나라 농어촌 지역의 인구는 저 출산과 젊은 층의 도시 전출로 인 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다(이미애, 2010).

1970년 1,800만 명을 초과하던 농촌 거주 인구는 2010년 876만명으 로 40년 만에 47% 수준으로 감소되었으며, 0~14세 유소년 인구는 1970년 800만여 명에서 2010년 약 130만 명으로 6분의 1로 감소한 반 면, 65세 이상 노인 인구는 2.3배가량 늘면서 농촌사회의 인구구조가 삼 각형에서 역삼각형으로 변모 하였다(삼성경제연구소, 2012).

현재 농어촌의 14세 이하 유년인구의 비중은 전국 평균에 미치지 못 할 뿐만 아니라 앞으로도 보다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고, 농촌인구의 고 령화 현상은 앞으로도 계속 빠르게 진행될 것으로 예상되어 2010년 20.6%인 노인인구 비율은 2015년 24.3%, 2020년 27.8%에 이를 것으 로 전망되었다.

구분 1970년 1980년 1990년 2000년 2005년 2010년 농촌인구 18,173 16,002 11,102 9,381 8,764 8,758

유소년

〔그림 2-1〕농촌의 인구변동 추이 및 전망

자료: 삼성경제연구소, SERI 경제포커스, 2012. 재인용.

2. 여성인구의 증가

최근 농어촌 지역의 인구는 저출산과 젊은 층의 도시 전출로 인해 감 소하고 있는 추세이지만 영농형태의 변화와 결혼 이주여성이 늘어나면서 여성 인구는 늘어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강혜정, 2007).

특히, 2000년대 이후 결혼이민자의 농촌 유입이 본격화 되면서 결혼 이민자의 81.1%가 2000년 이후 입국했으며, 2000~2010년간 농촌으로 유입된 여성 결혼이민자는 6만 3,631명으로 집계되었다(삼성경제 연구 소, 2012).

산업화와 도시화에 따른 농촌 노동력의 이출로 인해 농촌의 가족관계 가 부자중심에서 부부중심으로 변화하고 남성 농업 인력의 감소세가 더 커서 여성농업인이 영농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영농형태가 남성노동력 또는 기계의 의존하는 쌀농사 중심에서 주로 여 성노동력에 의존하는 채소, 과수, 화훼 등과 같은 밭작물로 옮겨가고 있 어 여성의 농업노동 참여도는 더욱 증가하고 있다(강혜정, 2007).

지역 유병률(%) 오즈비(Odds ratio)

여자 남자 여자 (95%CI) 남자 (95%CI)

주관적 불건강 상태

농어촌 3.38 2.48 2.30 (2.38~2.40) 1.81 (1.80~1.81) 중소도시 1.70 1.32 1.67 (1.67~1.68) 1.31 (1.30~1.31)

대도시 1.62 1.11 1.52 (1.52~1.53) 1.00 -소계 1.98 1.43 1.39 (1.39~1.39) 1.00

-만성질환

농어촌 7.23 6.15 2.23 (2.22~2.24) 1.52 (1.52~1.53) 중소도시 5.74 5.23 1.77 (1.76~1.77) 1.42 (1.4~1.42)

대도시 5.27 4.49 1.41 (1.42~1.42) 1.00 -소계 5.79 5.05 1.36 (1.35~1.36) 1.00

-급성질환

농어촌 0.92 0.55 1.62 (1.62~1.63) 0.94 (0.94~0.95) 중소도시 0.89 0.51 1.62 (1.61~1.63) 0.89 (0.88~0.89)

대도시 0.97 0.57 1.77 (1.77~1.78) 1.00

지역 미치료율(%) 오즈비(Odds ratio)

여자 남자 여자 (95%CI) 남자 (95%CI)

만성질환

농어촌 15.2 14.3 1.29 (1.28~1.29) 1.14 (1.12~1.15) 중소도시 15.1 15.6 1.11 (1.11~1.12) 1.10 (1.10~1.12)

대도시 12.7 14.1 0.92 (0.91~0.92) 1.00 -소계 14.2 14.7 0.99 (0.99~1.00) 1.00

-급성질환

농어촌 5.0 1.2 2.39 (2.32~2.49) 0.51 (0.49~0.54) 중소도시 2.5 1.2 0.99 (0.96~1.01) 0.49 (0.47~0.51)

대도시 3.5 2.5 1.40 (1.37~1.43) 1.00 소계 3.5 1.9 1.87 (1.85~1.92) 1.00

〈표 2-3〉 지역별‧성별 급만성 질환 미치료율(연령표준화)

자료: 신형철 외, 농촌지역 여성의 건강수준과 의료이용에 대한 연구, 농촌의학‧지역보건학회지 제34권, 2009.

농촌지역 여성이 의료이용이 농촌지역 남성보다 미치료율이 높은 이 유에 대해서는 남성과 여성이 동일한 가구에 속했을지라도 여성의 경우 는 의료서비스의 경제적인 부담을 남성보다 더 유의하게 인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도시보다 의료이용에 장애가 있는 농촌지역 여성은 본인부 담비용에 더욱 민감하게 반응하였을 가능성이 있다(신형철 등,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