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B. 양육스트레스 관련 생태학적 요인

Ⅲ. 이론적 기틀

Bronfenbrenner(1979)의 생태학적 이론은 활동적이고 성장하는 인간과 환경 간에 일생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진보적이고 상호적인 적응과정을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것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즉, 생태학적 이론에서는 유기체를 환경과 분리할 수 없으며 상호작용하는 체계라고 보기 때문에, 개인과 환경을 이분화 하는 것을 할 수 있으며, 양자 간의 상호작용에 초점을 둘 수 있게 해준다. 서 로 서로 짜 맞춘 듯 들어 있는 한 세트의 러시아 인형처럼 좀 더 근접한 것에 서 부터 좀 더 광역의 것까지, 유기체를 싸고 있는 환경은 미시체계 (microsystem), 중간(mesosystem), 외체계(exosystem), 거시체계(macrosystem) 로 설명되며, 서로 다른 체계의 특징을 가진다. Bronfenbrenner의 생태학적 이 론을 도식화 하면 <그림 1>과 같다.

▶ 그림 1. Bronfenbrenner의 인간발달 생태학 모형(Santruck, 1997)

본 연구를 위한 이론적 기틀은 생태학적 모형을 근간으로 하였다. 생태학적 모형에 유기체 개인, 미시체계, 미시체계와 미시체계를 이어주는 중간체계, 외 체계, 거시체계가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선행문헌 고찰을 통해(김영란, 2015),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거시체계와 외체계를 제외하고, 유기체 본인에게 최근접 요인인 동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인 유기체 요인과 환경 요인인 미시체계, 중간체계를 선정하였으며, 특별히 미시체계에서는 선행문헌 고찰을 통해 취업모에게 있어서 일과 가정의 양립이라는 것을 고려할 때 가장 큰 영향 을 미치는 환경인 가정과 직장을 선택하여(한정아, 2015), 다음의 <그림 2>와 같은 이론적 기틀을 구축하였다.

각 체계에 속하는 요인은 문헌고찰을 통하여 반복적으로 양육스트레스와의 관련성을 탐색하는 변수들을 선정하였으며, 유기체계 관련요인은 일-어머니 역 할갈등(손수민, 2012; 유미영, 2014)을 선정하였고, 관련특성으로는 나이(편은숙, 2004; 채가영, 2014; 장정화, 2014), 학력(김정연, 2003; 박윤미, 2001; 장정화, 2014), 미시체계 관련요인으로는 배우자 지지(김기원, 2009; 채가영, 2014), 유아 기질(김혜진, 2004), 결혼만족도(최규련, 2007; 손영빈, 최은영, 2009), 직무만족 도(박형경, 문혁준, 2015), 관련특성으로는 가정 수입(이재혁, 2005), 자녀수(박 윤경 외, 2014), 끝 자녀 나이(홍정아, 2010; 엄지원, 2011), 가족유형(최서윤, 2017), 내 수입(이재혁, 2005; 장정화, 2014), 직업특성(권영순, 2006; 장만희, 2015; 장정화, 2014)을 선정하였다. 또한, 중간체계 관련요인으로는 사회적 지지 (이재림, 2001; 문영경, 2012)를, 관련특성으로는 낮 시간 주 양육자(김태홍, 김 남주, 2003)를 선택하였다.

요인 선정 근거를 정리한 표는 다음의 <부록 4>와 같다.

거시체계 (예: 가치관, 문화)

외체계( 예: 지방정부)

미시체계

(예: 가정, 직장, 학교, 또래)

가정 직장

관련요인 유기체관련요인

; 결혼만족도, 관련요인 ; 직무만족도

유아기질, 배우자 지지 ;일-어머니 역할갈등관련특성

관련특성 관련특성 ; 내수입, 근무장소,

; 수입, 자녀수, ;연령, 학력 직위, 근무형태,

자녀 나이, 가족유형 토·일 근무횟수,

근무경력, 병상수 중간체계

관련요인: 사회적 지지,

관련특성: 낮시간 양육형태

▶ 그림 2. 본 연구의 개념적 기틀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