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생태학적 관련특성에 따른 양육스트레스 차이

(1) 연령 : 만 연령을 연구자가 직접 기술하도록 하는 한 문항으로 측정하 였다.

(2) 학력 : 낮은 학력의 응답자가 없을 것으로 사료되어, 전문대학교 졸업, 대학교 졸업, 대학원 졸업을 조사하는 한 문항으로 측정하였다.

 (3) 가족의 유형 : 부부핵가족, 확대가족을 조사하는 한 문항으로 측정하였 다.

(4) 자녀수 : 연구자가 직접 기술하는 한 문항으로 측정하였다.

(5)가정 소득 : 400만원 이하, 400∼600만원, 600∼800만원, 800만원∼1000

만원, 1000만원 이상 총 5단계로 조사하기 위한 한 문항으로 측정하였다.

(6)자녀의 연령 : 12개월 이하의 영아기, 13∼36개월 유아기, 37∼72개월 학령전기를 조사하기 위한 한 문항으로 측정하였다.

(7) 내 소득 : 200만원 이하, 200∼400 만원, 400∼600만원, 600만원 이상으 로 총 5단계로 조사하기 위한 한 문항으로 측정하였다.

(8) 근무 장소 : 병동, 외래, 특수부서를 조사하는 한 문항으로 측정하였다.

(9) 직위 : 일반간호사, 주임간호사, 수간호사 이상을 조사하는 한 문항으로 측정하였다.

(10) 월 평균 토·일요일 근무 횟수 : 0회, 1∼3회, 4회 이상을 조사하는 한 문항으로 측정하였다.

(11) 근무형태 : 낮 근무, 2교대, 3교대를 조사하는 한 문항으로 측정하였 다.

(12) 근무경력 : 연구자가 직접 만 경력을 기술하는 한 문항으로 측정하였 다.

(13) 병원 병상수 : 99병상 미만(병원 급), 100∼499병상(종합병원 급), 500 병상 이상(상급병원 급)을 조사하는 한 문항으로 측정하였다.

(14) 낮 시간 양육형태 : 조부모·친척, 개인적인 대리양육, 보육시설을 조사 하는 한 문항으로 측정하였다

내용 문항수

D. 자료수집방법

본 연구의 진행에 앞서 연구 모든 진행과 내용을 본 연구자가 소속된 A대학 교의 연구윤리심의위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에 제출하여 승인 (AJIRB-SBR -SUR-15-407) 받은 후, 연구논문 자료수집 의뢰신청서를 통해 A대학 병원 간호부에 자료수집 허락을 받았다. 자료 수집은 2017년 10월 28일 부터 2017년 11월 7일까지 시행하였다. 설문 결과는 연구목적 외에 사용되지 않음을 명시하였고, 현재 경험하고 있는 양육스트레스정도와 관련요인의 특성 등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21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며, 이 중 회수율 198부를 회 수하였고(회수율 94.2%), 회수된 198부 중 무응답으로 인한 통계처리 불가능한 5부를 제외한 총 193부의 자료를 최종자료 분석에 사용하였다.

E. 자료 분석 방법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1. 종속요인인 간호사의 양육스트레스 정도와, 생태학적 관련 요인과 생태학 적 관련특성의 실태 파악 및 일반적 분포를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 백분율, 평 균,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2. 대상자의 양육스트레스와 생태학적 관련요인의 관련성은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3. 대상자의 생태학적 관련특성에 따른 양육스트레스의 차이는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analysis of variance)와 사후 분석은 LSD test를 실 시하였다.

4. 각 체계 요인들 가운데 양육스트레스에 영향력이 있는 요인들을 분석하 기 위하여, 유기체, 미시체계, 중간체계의 요인, 생태학적 관련특성을 단계적으 로 투입하는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Ⅴ. 연구결과

A. 연구 대상자의 생태학적 관련특성

본 연구 대상자는 총 193명으로 생태학적 일반 특성은 다음의 <표 2>과 같 다.

먼저, 나이는 ‘31∼35세’가 90명(46.6%)를 차지하여 가장 많았고 ‘36세∼40세’

66명(34.2%), ‘25세∼30세’ 22명(11.4%), ‘41세 이상’ 15명(7.8%) 순서로 많았으 며, 학력은 ‘대학교 졸업’이 104명(53.9%)로 가장 많았고 ‘대학원이상’ 49명 (25.4%), ‘전문대 졸업이상’ 40명(20.7%)순서로 높게 나타났다.

가정수입은 크게 ‘600만원 미만’, ‘600~800만원’, ‘800만원 이상’으로 3가지로 나눠졌으며, ‘600만원∼800만원’이 89명(46.1%)로 가장 많았으며, ‘600만원 미 만’ 63명(32.7%), ‘800만원 이상’ 41명(21.2%)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자녀수는

‘1명’이 104명(53.9%)으로 반 이상을 차지하였고 ‘2명’이 75명(38.9%), ‘3이상’이 14명(7.2%) 순으로 나타났다. 끝 자녀 나이는 ‘37∼72개월’ 학령전기가 85명 (44.0%)으로 가장 많았고 ‘13∼36개월’ 유아기 78명(40.4%), ‘12개월 이하’ 영아 기 30명(15.5%) 순으로 많았으며, 가족유형은 ‘핵가족’과 ‘확대가족’ 중 ‘핵가족’

이 171명(88.6%)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확대가족’은 22명(11.4%)을 차지하 였다.

내 수입은 크게 ‘400만원 미만’과 ‘400만원 이상’으로 나눠졌으며 ‘400만원 미 만’ 이 136명(72.0%), ‘400만원 이상’이 53명(28%)를 차지하였으며, 근무 부서 는 ‘병동’이 85명(44%), ‘특수부서’가 72명(37.3%), ‘외래’가 36명(18.6%) 순으로 높았으며, 직위는 ‘주임간호사’ 101명(52.3%), ‘일반간호사’ 78명(40.4%), ‘수간 호사 이상’ 14명(7.3%)으로 나타났다. 토·일 근무 횟수는 ‘4회 이상’이 86명 (44.5%)로 가장 많았으며, ‘1∼3회’ 76명(39.4%), ‘0회’가 31명(16.1%) 순으로 나

타났으며, 근무형태는 크게 ‘상근직’, ‘ 교대근무’로 나눠졌으며, ‘교대근무’가 135명(69.9%), ‘상근직’ 58명(30.1%)으로 나타났고, 근무 경력은 크게 ‘11년 미 만’과 ‘11년 이상’으로 나눠졌으며, ‘11년 이상’ 114명(72%), ‘11년 미만’ 84명 (28%)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병원 병상 수는 ‘500병상 이상’ 상급 종합병원이 113명(58.5%), ‘499병상 이상’ 종합병원 급이 80명(41.5%) 순으로 높게 나타났 다.

낮 시간 주 양육은 ‘보육시설’이 107명(55.4%)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조 부모·친척’이 75명(38.8%), ‘개인적 대리양육’이 11명(5.7%)으로 높게 나타났다.

특성 분류 실수 백분율(%)

근무경력 11년 미만 84 28.0 (11.53±4.38) 11년 이상 114 72.0

병상 수 499병상 이하 80 41.5

500병상이상 113 58.5

낮 시간 주 양육자 조부모· 친척 75 38.8

개인적 대리양육 11 5.7

보육시설 107 55.4

B. 연구 대상자의 양육스트레스와 생태학적 관련요인 정도

본 연구 대상자의 양육스트레스, 유기체 요인인 일-어머니 역할갈등, 미시체 계요인인 배우자 지지, 유아기질, 결혼 생활 만족도, 직무 만족도와 중간체계 요인인 사회적 지지 정도는 <표 3>과 같다.

대상자의 양육스트레스 평균은 98.98점(±16.99) 이었으며 하위 영역 평균으로 일상적 양육스트레스 평균은 39.17점(±7.75), 부모역할 스트레스 31.81점(±6.82), 타인 양육스트레스 25.04점(±5.31) 이었다.

유기체계 요인인 일-어머니 역할갈등 평균은 28.05점(±5.97)이었으며, 미시체 계 요인인 배우자 지지 평균은 46.16점(±7.47), 유아 기질의 평균은 5.50점 (±1.60), 결혼생활 만족도 평균은 12.00점(±2.04), 직무만족도 평균은 79.40점 (±11.02)이었다.

중간체계 요인인 사회적 지지 평균은 43.08점(±7.43)이었다.

연구 변수 가능 점수

범위 M±SD 최솟값 최댓값

종속변인

양육스트레스 32∼160 98.98±16.99 49 133 일상적 양육스트레스 12∼60 39.17±7.75 21 60 부모역할 스트레스 12∼60 31.81±6.82 11 46 타인 양육스트레스 8∼40 25.04±5.31 8 37 생태학적 변인

유기체 요인

일-어머니 역할갈등 8∼40 28.05±5.97 12 40 미시체계요인

배우자 지지 13∼65 46.16±7.47 15 65

유아 기질 2∼10 5.50±1.60 2 10

결혼생활 만족도 4∼6 12.00±2.04 4 16 직무 만족도 25∼125 79.40±11.02 53 121 중간체계요인

사회적 지지 12∼60 43.08±7.43 23 60

▶ 표 3. 연구 대상자의 양육스트레스와 생태학적 관련요인 정도

(N=193)

C. 양육스트레스와 생태학적 관련요인간의 상관관계

본 연구 대상자의 양육스트레스와 생태학적 관련 요인간의 상관관계를 알아 본 결과 <표 4>와 같다.

양육스트레스와 유기체 요인인 일-어머니 역할갈등(r=.468, p<.001)과는 유의 미한 양의 상관이 나타났고, 미시체계 요인 중 유아기질(r=.350, p<.001)에서도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양육스트레스는 미시체계 요인 중 직 무만족도(r=-.263, p<.001)와 중간체계 요인인 사회적 지지(r=-.170, p=.018)와 유의미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양육

D. 생태학적 관련특성에 따른 양육스트레스 차이

각 생태학적 특성에 따른 양육스트레스 차이는 <표 5>와 같다.

나이, 학력, 집 수입, 자녀수, 자녀나이, 가족유형, 부서, 내 수입, 직위, 근무 형태, 토·일 근무 횟수, 근무경력, 병상수의 요인이 있었으나, 내 수입, 부서, 직 위, 토·일 근무 횟수를 제외한 다른 요인들은 유의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내 수입(t=2.36, p=.019), 부서(F=3.34, p=.038), 직위(F=3.99, p=.020), 토·일 근 무 횟수(F=3.75, p=.025)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왔다. 사후검정 결과 부서 중 일반병동 간호사가 외래, 특수부서 간호사보다 양육스트레스가 유의하게 높았 으며, 직위 중 주임간호사가 일반간호사, 수간호사 이상보다 양육스트레스가 유 의하게 높았다. 토·일 근무 횟수 중 ‘0회’ 인 것 보다 ‘4회 이상’이 양육스트레스 가 유의하게 높았다.

특성 분류 n M±SD t or F p

(LSD)

나이 25세∼30세 22 99.91±17.50 2.36 .072 31세∼35세 90 98.61±16.40

자녀수 1명 104 98.00±16.47 0.47 .627 2명 75 100.47±17.50 외래b 36 95.44±18.27 a>b,c 특수부서c 72 96.64±17.50

내수입 400만원 미만 136 100.46±16.15 2.36 .019 400만원 이상 53 94.08±18.03

직위 일반간호사a 78 96.47±17.26 3.99 .020 주임간호사b 101 101.99±15.77 b>a,c 수간호사 이상c 14 91.29±20.34

근무 1 ~ 3회b 76 97.94±16.99 c>a 횟수 4회이상c 86 102.54±16.22

근무 10년 이하 84 98.30±16.73 -.49 .384 경력 11년 이상 109 99.51±17.24

병상수 499병상 이하 80 96.70±15.15 -1.62 .106 500병상 이상 113 100.60±18.07

낮시간 조부모, 친척 75 98.5±16.86 0.09 .913 주양육 개인적 대리양육 107 100.72±15.88

보육시설 11 99.14±17.31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