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의사진단 위식도역류질환의 규모

위에서 상술한 의사진단 GERD 환자 정의에 따라 2005~2008년의 의사진단 GERD 환자 규모와 발생을 산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산출하는 지표 중 하나인 의사진단 GERD 환자비율은 GERD로 의료이용이 있는 환자가 해당년도의 추 계인구 중에 차지하는 비율이 된다. 연령표준화 비율은 2005년의 인구구성을 기준으로 하여 연령을 10세 단위로 구분하고, 연령비와 성비의 차이를 보정한 결과이다.

가. 건강보험심사청구데이터를 이용한 연간 의사진단 위식도역류질환 환자규모

2005~2008년 건강보험 심사청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의사진단 GERD 환자 는 2005년에 220만명, 2006년 259만명, 2007년 302만명, 2008년 353만명으로 2005년에서 2008년까지 급증하는 양상을 보였으며(표4-2), 이 중 여성 환자가 60%를 차지했다. 연간 인구대비 의사진단 위식도역류질환 환자비율은 인구 1 만명당 2005년 459명, 2006년 536명, 2007년 624명, 2008년 727명으로 의사를 방문하여 의료이용이 있는 GERD 환자의 비중이 매년 16.6%씩 증가하는 양상 을 나타냈다. 2005년을 기준으로 연령구성비를 표준화하면, GERD의 의료이용 증가율은 연평균 15.3%로 위식도 역류 환자의 증가원인 중 일정부분은 연령구 조의 변화에 기인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표 4-1).

제4장 의사진단 위식역류질환 환자의 규모

67

<표 4-1> 의사진단 위식도역류질환 환자비율

(단위: 인구 1만명당)

연도 의사진단 위식도역류질환 환자비율 연령표준화 (2005년 기준)

전체 남성 여성 전체 남성 여성

2005년 458.92 374.73 543.97 458.92 374.73 543.97 2006년 536.39 445.58 628.10 530.88 440.30 619.08 2007년 623.93 520.61 728.26 610.74 507.97 711.12 2008년 727.16 608.96 846.46 703.36 586.07 818.28

나. 연령별 의사진단 위식도역류질환 환자규모

2005~2008년의 의사진단 위식도역류질환 환자(주부상병)의 의료이용은 0세부 터 연령에 따라 증가하여 70세를 기점으로 감소하는 양상을 보인다. 인구 1만 명당 환자비율이 가장 높은 연령대는 60대로 2005년 842명에서 2008년 1394명 으로 증가하였고, 가장 낮은 연령대는 0~10대로 2005년 188명에서 2008년 271 명으로 증가하였다. 연령별로 의료이용이 매해 급증하고 있어 GERD에 대한 인지율이 매우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0 200 400 600 800 1,000 1,200 1,400 1,600

00-19세 20-29세 30-39세 40-49세 50-59세 60-69세 70-79세 80세이상

사진단 위식도 역류질환 환자비율(인구 1만명당)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그림 4-1] 연령별 의사진단 위식도역류질환 환자비율(2005-2008)

68

한국인의 소화성궤양 질환 발생규모 및 의료이용행태에 관한 연구 50〜59세 573,202 245,243 327,959 1002.25 855.48 1149.76 60〜69세 440,616 184,969 255,647 1179.93 1057.49 1287.82 70〜79세 224,618 82,621 141,997 996.44 920.49 1046.69 50〜59세 696,745 300,546 396,199 1157.62 995.50 1320.77 60〜69세 533,780 227,368 306,412 1393.93 1260.58 1512.66 70〜79세 284,316 105,266 179,050 1198.38 1101.00 1264.11 80세 이상 60,340 18,469 41,871 729.72 749.06 721.50

<표 4-2> 연령별 위식도역류질환 의사진단 환자수 및 의사진단율

제4장 의사진단 위식역류질환 환자의 규모

69

연령에 따른 GERD 의료이용률은 여성에서 더 많았으나 성별에 따라서는 비 슷한 형태를 보였다. 즉, 남녀모두 연령이 증가할수록 꾸준히 증가하다가 70세 부터는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이를 통하여 대부분의 환자가 70세 이후 사 망, 기타질병 등을 이유로 GERD로 인한 의사방문을 하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다.

0 200 400 600 800 1,000 1,200 1,400 1,600

00-19세 20-29세 30-39세 40-49세 50-59세 60-69세 70-79세 80세이상

의사진식도 역류질환 환자비율(인구 1만명당)

남자 여자 전체

[그림 4-2] 성·연령별 의사진단 위식도역류질환 환자비율(2008년)

다. 의사진단 위식도역류질환 환자의 세부분류

GERD(KCD-5 K21)는 다시 식도염을 동반한 위식도역류질환(KCD-5, K210)과 식도염을 동반하지 않은 위식도역류질환(KCD-5, K219)으로 분류할 수 있다.

따라서 2007, 2008년의 GERD 환자를 주부상병명으로서 분류하여 조작적 정의 하였다. 즉, 의사진단 식도염을 동반한 위식도역류질환 환자군과 식도염을 동 반하지 않은 위식도역류질환군으로 조작적 정의하여 그 규모를 관찰하였다.

식도염을 동반한 위식도역류질환 환자는 2007년 187만명, 2008년 223만명으로 2007년에 비하여 2008년에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식도염을 동반하지 않은 위식도역류질환 환자 역시 2007년 116만명, 2008년 152만명으로 2007년에 비하 여 2008년에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70

한국인의 소화성궤양 질환 발생규모 및 의료이용행태에 관한 연구

<표 4-3> 연령별 의사진단 식도염을 동반한 GERD 및 식도염을 동반하지 않은 GERD

연도 연령군 식도염을 동반한 위식도역류질환1) 식도염을 동반하지 않은 위식도역류질환2)

전체 전체

2007년 1,870,457 818,136 1,052,321 1,151,022 446,221 704,801 0〜19세 81,281 36,961 44,320 166,121 82,082 84,039 20〜29세 176,701 66,183 110,518 115,657 36,821 78,836 30〜39세 304,209 139,440 164,769 186,178 69,037 117,141 40〜49세 439,943 202,844 237,099 231,336 89,963 141,373 50〜59세 389,156 175,180 213,976 198,539 75,530 123,009 60〜69세 300,385 131,610 168,775 154,113 59,056 95,057 70〜79세 149,862 56,804 93,058 81,407 28,440 52,967 80세 이상 28,920 9,114 19,806 17,671 5,292 12,379 2008년 2,228,260 976,675 1,251,585 1,520,385 591,901 928,484 0〜19세 95,875 44,230 51,645 224,993 112,140 112,853 20〜29세 195,957 72,113 123,844 147,134 46,990 100,144 30〜39세 341,502 155,316 186,186 231,037 85,642 145,395 40〜49세 516,212 238,343 277,869 295,881 114,458 181,423 50〜59세 480,083 217,548 262,535 268,361 102,666 165,695 60〜69세 369,453 164,094 205,359 208,778 80,869 127,909 70〜79세 190,912 73,008 117,904 118,056 41,325 76,731

제4장 의사진단 위식역류질환 환자의 규모

71 50〜59세 746,401 573,202 173,199 1,305.09 1,002.25 302.84 60〜69세 602,271 440,616 161,655 1,612.83 1,179.93 432.90 70〜79세 333,674 224,618 109,056 1,480.23 996.44 483.79

72

한국인의 소화성궤양 질환 발생규모 및 의료이용행태에 관한 연구

서구에서 GERD는 10~20%의 유병률을 보이며 아시아 지역에서는 이보다 빈 도가 낮아 10%이하의 유병률이 보고되고 있다(Dent J 외, 2005). 최근 우리나 라에서도 음식이나 생활양식의 서구화의 영향으로 GERD의 발생이 증가하고 있다(조유경 등, 2010). 국내에서는 연구 방법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2000년대 이후 증상에 근거한 GERD는 5~29%, 내시경에 근거한 미란성 역류질환은 4.4~8%의 유병률이 보고되고 있다.

2000년부터 2001년까지 아산시 지역 주민 2,024명을 대상으로 한 표본인구 설문조사에서는 1주 1회 이상 전형적인 가슴쓰림이나 신물이 넘어오는 증상에 근거한 GERD의 유병률이 3.5%로 보고되었다(Cho 등, 2005). 2002년에 양 등 (2008)이 전화설문조사를 이용하여 1,044명을 대상으로 시행한 연구에서는 주 1회 이상의 가슴쓰림이나 신물이 넘어오는 증상을 가진 GERD 환자가 7.1%로 나타났다. 2006년 건강검진센터 내원 환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김 등의 연구에 서는 내시경 소견과 무관하게 최소 1주 1회 이상의 가장 불편한 증상으로 가 슴쓰림이나 산역류증상을 호소한 GERD 유병률은 5%였다.

본 연구에서 2005~2008년에 걸쳐 의사진단 GERD 환자수는 2005년에 220만 명(4.6%), 2006년 259만명(5.4%), 2007년 302만명(6.2%), 2008년 353만명(7.3%)으 로 급증하는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기존 연구의 추세와 유사 한 결과이나, 이러한 증가에는 최근 GERD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함에 따 라서 위식도 역류증상을 호소하는 사람이 늘어나면서 내시경 시행 의사가 위 식도접합부를 보다 자세하게 관찰하여 진단율이 증가한 경향이 반영되었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식도역류증상을 호소하는 환자에서 내시경 소견이 불확실 한 경우 ‘역류식도염 미세변화’로 진단하는 경향으로 인하여 실제 증가추세보 다 확대해석 됐을 가능성 또한 배제할 수 없다(유승석 등, 2007).

내시경으로 진단된 역류성 식도염의 국내 유병률은 1993년에 건강검진 수진 자 대상의 연구에서 2.4%, 1997년에 3.4%로 나타났으며 1999년에 실시된 연구 에서 위장관 증상이 있던 환자에서 역류성 식도염의 유병률은 5.3%로 나타났 다. 증상의 유무에 관계없이 내시경을 시행한 608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

제4장 의사진단 위식역류질환 환자의 규모

73

2009년의 연구에서는 역류성 식도염의 유병률을 10.5%로 보고하고 있다(Song 외, 2009). 2008년 발표된 건강검진 수진자 대상의 전국적 다기관 공동연구에 서는 전국 40개 병원의 건강증진센터에서 건강검진 목적으로 위내시경을 실시 한 환자 25,000명 중 미란성 역류질환과 비미란성 GERD의 유병률이 각각 8%, 4%로 조사되었다.(Kim N. 외, 2008) 2009년의 연구(김진일 등)에서는 대학병원 에서 위내시경을 시행한 환자에서 역류성 식도염이 9.1%로 나타났다. 이와 같 이 역류성 식도염의 국내 유병률은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는데, 이는 다른 아 시아 국가와 비슷한 수준이다. 싱가포르와 중국에서 종합검진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역류성 식도염은 3.4~9%였고, 일본에서는 1.3~13.7%로 대체적으로 우리나라보다 빈발하였다.

GERD를 식도염 동반 유무에 따라 나누어 환자규모를 파악한 본 연구의 결 과에서 표준질병분류(KCD-5)에 따라 식도염을 동반한 위식도역류질환으로 분 류되어 있는 환자는 2007년 187만명(추계인구 대비 3.86%), 2008년 223만명 (4.57%)이었으며, 식도염을 동반하지 않은 위식도역류질환 환자 역시 2007년 116만명(2.38%), 2008년 152만명(3.13%)으로 조사되었다. 표준질병분류의 ‘식도 염을 동반한 위식도역류질환(K210)'을 역류성 식도염 또는 미란성 역류질환으 로, ’식도염을 동반하지 않은 위식도역류질환(K219)'을 비미란성 역류질환으로 간주할 때, 역류성 식도염의 유병률인 2.4~10.9%와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 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 식도염을 동반한 경우와 식도염을 동반하지 않은 경 우의 비율이 약 4:3정도로 식도염을 동반한 경우가 흔하였는데, 2006년 KIM N. 등의 연구에서 미란성 역류질환과 비미란성 위식도역류질환의 비율을 2:1 정도로 보고하고 있어 기존 연구와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몇 가지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첫 번째로 환자군의 조작 적 정의에 따른 환자규모의 차이에 관한 사항으로, GERD의 질병 특성상 환자 의 증상호소에 의존하여 진단을 내리므로 환자의 증상호소가 질병의 진단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그러나 본 연구는 건강보험심사청구 데이터를 기반으 로 한 연구이므로 환자의 증상에 대하여는 알기 어려운 제한 점이 있다. 따라 서 의사의 진단에 따른 GERD의 규모를 살펴보았는데, 이 또한 질병의 조작적

74

한국인의 소화성궤양 질환 발생규모 및 의료이용행태에 관한 연구

정의에 따라 환자 규모에 큰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다양한 환자군의 정의에 따른 환자규모를 파악하기 위해 시행한 민감도 분석 결과, 환자 정의에 따라 환자규모에 큰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표 4-5). 뿐만 아니라 본 연구에서 는 GERD로 인한 의료이용만을 파악하기 위하여 주상병 및 부1상병으로 인한 의료이용만을 그 대상으로 하였는데, 노령인구에서는 보다 위중한 질병이 공 존하는 경우 GERD보다 위중한 질병이 주 또는 부1상병에 기록되게 되어 일부 환자가 본 연구에서 파악되지 못하였을 수 있다. 두 번째 제한점은 GERD의 사회적 인식 증가에 관한 사항이다. 본 연구에서 GERD 환자는 2005~2008의 4 년간 급속하게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으나, 이것은 실질적인 환자의 증가 뿐 아니라 최근 GERD에 대한 인식이 증가하여 위식도 역류증상을 호소하는

정의에 따라 환자 규모에 큰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다양한 환자군의 정의에 따른 환자규모를 파악하기 위해 시행한 민감도 분석 결과, 환자 정의에 따라 환자규모에 큰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표 4-5). 뿐만 아니라 본 연구에서 는 GERD로 인한 의료이용만을 파악하기 위하여 주상병 및 부1상병으로 인한 의료이용만을 그 대상으로 하였는데, 노령인구에서는 보다 위중한 질병이 공 존하는 경우 GERD보다 위중한 질병이 주 또는 부1상병에 기록되게 되어 일부 환자가 본 연구에서 파악되지 못하였을 수 있다. 두 번째 제한점은 GERD의 사회적 인식 증가에 관한 사항이다. 본 연구에서 GERD 환자는 2005~2008의 4 년간 급속하게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으나, 이것은 실질적인 환자의 증가 뿐 아니라 최근 GERD에 대한 인식이 증가하여 위식도 역류증상을 호소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