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소화성궤양 입원 환자의 규모

◦ 소화성궤양(KCD-5, K25~28)을 주, 부 및 기타상병으로 진단받고 입원한 환자 수는 약 37만 명(2007년)이었으며, 보험 청구 건 수는 약 1백만 건이었음. 이 중, 주상병으로 이용한 환자 수는 연간 7만명, 건 수는 약 18만명 정도임. K25~28로 입원한 환자의 남녀 성비는 비슷하나 출 혈 및 천공 세부상병이 주상병으로 입원한 경우에 남성의 비율이 압도 적으로 높음.

<표 5> 2007년 K25-28로 입원한 환자 규모

xxxii • 한국인의 소화성궤양 질환 발생규모 및 의료이용행태에 관한 연구

요 약

xxxiii

xxxiv • 한국인의 소화성궤양 질환 발생규모 및 의료이용행태에 관한 연구

요 약

xxxv

제9장 소화성궤양의 합병증 환자의 의료이용

1. 소화성궤양 출혈 환자의 의료이용

제9장의 소화성궤양 출혈 환자의 조작적 정의를 이용하여 소화성궤양 출혈 환자의 의료이용(헬리코박터 검사 시행, NSAIDs 및 항응고제의 복용)을 분석하였음.

◦ 소화성궤양 출혈 환자를 대상으로 헬리코박터 검사 실시, NSAIDs 및 항응고제의 복용 행태를 분석하였음.

소화성궤양 출혈 환자의 의료이용의 특성

◦ 헬리코박터 검사를 시행한 환자는 7125명(66.4%)이었으며 남성이 5521명 (67.7%), 여성이 1604명(62.2%)으로 남성에서 헬리코박터 검사를 받은 환자가 많았음.

◦ NSAIDs를 복용한 환자는 3759명(35.0%)으로 남성이 2584명(31.7%), 여 성이 1175명(45.7%)으로 나타났음. 소화성궤양 출혈 환자 중 전 연령군 에서 여성의 NSAIDs의 복용이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음. NSAIDs의 복용은 남녀 모두 20 대에서 복용이 감소하였다가, 연령에 증가함에 따라 함께 증가하여 70~79세에서 가장 많은 복용을 보였음.

◦ 항응고제는 소화성궤양으로 인한 출혈 환자의 12.2%인 1309명에서 복 용하였으며, 남성의 10.8%, 여성의 16.6%가 항응고제를 복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에 따라 증가하는 양상을 보임.

2. 소화성궤양 천공 환자의 의료이용

제9장의 소화성궤양 천공환자의 조작적 정의를 이용하여 소화성궤양 천공 환자의 의료이용 양상을 분석하였음.

xxxvi • 한국인의 소화성궤양 질환 발생규모 및 의료이용행태에 관한 연구

◦ 소화성궤양 천공 환자를 대상으로 헬리코박터 검사 실시, NSAIDs 및 항응고제의 복용 행태를 분석하였음.

소화성궤양 천공 환자의 의료이용의 특성

◦ 소화성궤양 천공 환자 중, 헬리코박터 검사를 시행한 환자는 전체 271명 (14.6%)이었으며, 이 중 남성이 14.7%, 여성이 14.0%로 나타났으며 남 녀모두에서 60대의 헬리코박터 검사 실시율이 가장 높았음.

◦ NSAIDs를 복용한 환자는 302명(20.6%)였으며, 남성(16.4%)에 비하여 여성 (45.6%)에서 NSAIDs의 복용이 높았음. 이러한 차이는 특히 근골격계질 환(관절염)의 호발연령인 50, 60대에서 가장 컸으며, NSAIDs의 복용은 남녀 모두에서 20대부터 연령에 증가함에 따라 함께 증가하여 70대에 서 복용 빈도가 가장 높았음.

◦ 소화성궤양으로 인한 출혈 환자 중 223명(13.9%)에서 항응고제를 복용하 였으며 소화성궤양 출혈 환자 중 남성의 12.1%, 여성의 24.8%가 항응 고제를 복용하였으며, 항응고제의 복용 역시 연령에 따라 증가하였음.

제10장 소화성궤양의 합병증 환자의 건강결과

1. 소화성궤양 합병증 환자의 사망양상

기존 문헌 및 임상 자문에 근거하여 30일 사망률을 산출함

◦ 본 보고서 제 8장에서 제시된 소화성궤양 출혈 및 천공환자의 조작적 정의를 이용하여 소화성궤양 합병증환자의 30일 사망률을 산출함. 30 일 사망률의 규모는 전체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고, 통계적 분석은 2007년 환자군을 대상으로 수행하였음.

요 약

xxxvii

◦ 소화성궤양 합병증 환자의 특징을 분석하기 위하여 소화성궤양 출혈 또는 천공 발생 이전 1년간 소화성궤양(KCD5 K25-28)으로 입원 경험, 동반상병, NSAID

1)

, 전신성 glucocorticoid

2)

, 및 항응고제(warfarin 및 clopidogrel) 등의 약물에 대한 노출을 조사하였음.

2. 소화성궤양 출혈환자의 건강결과

소화성궤양 출혈 환자의 30일 사망률

◦ 소화성궤양 출혈 후 30일내 사망률은 남성에서 1.9%, 여성에서 3.2%로, 여성 환자에서 사망률이 높았으며(2007년 기준), 연령별로 분석한 결과, 30대까지는 소화성궤양 출혈로 인한 사망이 매우 적으나 40대부터 점 차 증가하였음.

◦ 60대 이상의 환자군에서는 남녀 모두 30일 사망률이 높게 나타났으며, 60대 이상에서는 연령이 증가할수록 큰 폭으로 증가하였음.

◦ 연령별로 2005년과 2007년 환자를 비교하면, 소화성궤양 출혈 환자의 규모는 증가하였으나 사망률은 오히려 감소하여 30일 사망률로 평가한 소화성궤양 출혈 환자의 건강결과는 개선된 것으로 평가하였음.

소화성궤양 출혈의 위험요인

◦ 소화성궤양 출혈 환자의 단변량 분석에서 시행한 결과 65세 이상, 여성, 동반상병지수가 높은 환자군에서 30일 사망률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남.

◦ 단변량 분석에서 소화성궤양 출혈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된 요인 들인 연령, NSAIDs의 복용, 스테로이드 복용, 동반질환을 투입하여 다

1) WHO ATC Code M01A로 시작하는 거의 모든 의약품으로, diflunisal, ibuprofen, aspirin, norloxicam, nornoxicam, tiaprofenic acid, tenoxicam, talniflumate, sulpyrin, sulindac, sodium salicylate, salsalate, nimensulide, propacetamol, pyroxicam, pranoprofen, naproxen, nabumetone, meloxicam, mefenamic acid, meclofenamate, loxoprofen, ketorolac, ketoprofen, ibuprofen, glucosamine, flurbiprofen, flufenamic acid, fenoprofen, fenbufenm etofenamate, etodolac, aceclofenac 등 및, Celecoxib, Rofecoxib의 COX-2 저해제 를 포함하고, 제 11장에 제시된 정의와 일관됨

2) WHO ATC code H02AB

xxxviii • 한국인의 소화성궤양 질환 발생규모 및 의료이용행태에 관한 연구

변량 분석을 시행한 결과, 65세 이상, 남성, 스테로이드 투여, 중증 동 반질환이 소화성궤양 천공의 위험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의료보장형태도 사망률에 주요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남.

3. 소화성궤양 천공 환자의 건강결과

소화성궤양 천공의 30일 사망률

◦ 소화성궤양 천공 후 30일내 사망률은 남성에서 1.5%, 여성에서 11.4%로 평균 3.2%였으며 여성에서 소화성궤양에 의한 천공이 약 8배 많이 발 생하는 것으로 나타남(2007년 기준).

◦ 소화성궤양 천공으로 인한 단기사망은 40대 이하의 남성과 여성에서는 거의 발생하지 않으나 50대부터는 연령에 따라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음.

소화성궤양 천공의 위험요인

◦ 소화성궤양 천공의 30일 사망률을 단변량 분석을 시행한 결과 65세 이상, 여성, 소화성궤양 입원력, 동반상병지수가 높을수록, NSAID의 복용력, 항응고제 복용, 스테로이드 복용, 의료급여 대상 환자군에서 30일 사망 률이 높게 나타남.

◦ 단변량 분석에서 소화성궤양 천공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된 요인 들인 연령, 남성, 스테로이드, 동반질환을 투입하여 다변량 분석을 시 행한 결과, 65세 이상, 남성, 스테로이드 투여, 중증 동반질환이 소화성 궤양 천공의 위험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연령 증가시 mortality rate ratio 가 65세 미만 대비 4.2배 증가한 것을 보면 노령이 상당히 중요한 risk factor로 나타났음.

요 약

xxxix

제11장 NSAID 관련 소화성궤양 규모

1. NSAID와 소화성궤양

NSAID 사용증가와 위장관 합병증 문제

◦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는 세계적으로 널리 쓰이는 약으로, 진통, 해열, 소염작용으로 근골격계 질환을 치료하는데 쓰임.

◦ 65세 이상의 사람들 중 35%가 매일 NSAID를 복용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70%는 적어도 일주일에 한번은 복용하고 있음(Talley NJ et al., 1995).

◦ 유익한 약이지만, 소화불량, 소화성궤양과 같은 위장관 합병증을 일으 킬 가능성이 매우 높은데, NSAID를 복용하는 환자 중 최고 25%가 위 장관 부작용을 겪고 있고, NSAID를 복용하지 않는 환자에 비해 위장 관 합병증으로 진행될 위험이 4~7배 높음(Singh et al., 1999; Henry D et al., 1993; Lanas A et al., 2000; Höer A et al, 2007).

NSAID로 인해 유발되는 소화성궤양 질환의 규모를 살펴보고자 함.

2. 건강보험 청구자료를 이용한 NSAID 관련 소화성궤양 정의

가. 연구대상

본 연구는 의료기관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청구한 청구자료를 이용하였음.

분석대상

◦ 요양기관 중 종합전문병원, 종합병원, 병원, 의원, 치과병의원, 보건소 ◦ NSAID는 의약품 등 분류번호에 관한 규정의 분류번호 114(해열진통소

염제)중 acetaminophen 등 제제와, 위령선/관루근/하고초 등의 기타 약물을 제외한 비스테로이드성소염진통제(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을 대상으로 하였음.

xxxx • 한국인의 소화성궤양 질환 발생규모 및 의료이용행태에 관한 연구

◦ 분석대상 기간은 2007년 1년으로, 이 기간 동안 의료이용을 개시한 건 강보험, 의료급여, 보훈 환자를 청구명세서를 대상으로 하였음.

소화성궤양에 대한 조작적 정의

◦ 2007년 1년간 소화성궤양 상병(K25~28)을 주 또는 제 1부상병으로 의 료이용을 한 환자로 정의

나. 약물노출

NSAID 관련 소화성궤양은 본 연구에서 조작적으로 정의한 소화성궤양 환자 중 이전 365일 이내 NSAID 복용유무 파악

◦ 약물노출은 NSAID 사용여부(NSAID 현재 사용, 발생일 1~60일 이전, 발생일 61~365일 이전, 없음), 신환여부(현재 사용시 과거 120일간 사용 없음, 있음), NSAID 성분분류((A, B, F, O, P, 기타), S, C), NSAID 개 수(1개, 2개, 3개 이상), NSAID 사용일수(30일미만, 30~180일 미만, 180 일 이상)로 분류하였음.

◦ 연령은 18~39세, 40~64세, 65~74세, 75세 이상으로 나누었고, event가 발생 한 시점의 질환은 골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허혈성 심질환, 고혈압, 당뇨, 만성폐쇄성폐질환, 신부전, 간질환을 환자의 중증도로 보정하였음.

3. NSAID 관련 소화성궤양의 규모

NSAID 관련 소화성궤양 환자 규모 파악

◦ 비선택적 NSAID, COX-2 저해제 사용과 소화성궤양과의 관련성 파악 ◦ 연령과 성별 등 혼란변수를 통제하여, NSAID 관련 소화성궤양의 규모를

파악하였음.

소화성궤양이 없는 환자 대비 소화성궤양 환자의 NSAID 복용유무 파악

요 약

xxxxi

제12장 NSAID 관련 소화성궤양 예방전략

1. 안전한 NSAID 사용전략의 중요성

NSAID 관련 소화성궤양 예방 및 치료전략

◦ 이미 NSAID에 비해 Cox-2 저해제가 우월하다는 것과, NSAID + PPI가 NSAID 단독사용보다는 좋다는 임상적 결과는 입증되어 왔음. 특히 Ray 등(2007), Patterson 등(2008)의 대규모 청구자료를 이용한 관찰연구 에서도 그 결과가 밝혀졌음.

노령화에 따른 관절염, 심질환 유병률 증가

◦ 골관절염 유병률은 인구 1000명당 102.46명, 류마치성 관절염은 18.05명 으로 19세이상 성인에서 치아우식증, 치주질환, 고혈압 다음으로 높음 (국민건강영양조사 2005년 결과).

◦ 혈전생성을 억제하는 aspirin을 지속적으로 복용할 가능성이 있는 고혈압 유병률은 인구 1000명당 128.67명, 뇌졸중은 15.9명, 심근경색 유병률은 5.60명, 협심증은 11.30명임(국민건강영양조사 2005년 결과).

행정자료를 이용한 국내 역학 연구의 필요성

행정자료를 이용한 국내 역학 연구의 필요성